다영역전투(Multi-Domain Battle) 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 군사혁신의 관점을 중심으로 -/송진호外.육군3사관학교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Ⅲ. 다영역전투 개념의 등장배경과 본질
Ⅳ. 다영역전투 발전과정에서의 각 군 간 협력
Ⅴ. 결론 : 한국군에의 함의
◀ 국문 초록 ▶
본 연구는 미 육군의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을 군사혁신의 관점에서 조명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 및 발전에는 군사혁 신의 내적 요인 또는 외적 요인 중 한 요인의 우세나 비율적인 균형보다는 두 요인의 조화로운 작용이 주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기에는 정치 지 도자와 고위 관료 즉, 민간 부문의 개입과 지상군 역할 축소에 대한 위기 인식과 이를 타개하고자 하는 군 내부적 혁신의 노력이 주요 추동력으로 작용했다.
또한, 다영역전 투 개념의 구체화 단계인 발전기에는 각 군 간 협력을 통한 군 주도의 노력이 핵심적인 동력이 되었다.
즉, 군 내·외부적 요인은 새로운 작전개념 구상의 강력한 동기가 되었으 며, 각 군 간 협력 및 군 내부적 노력은 내실 있는 발전의 주도 요소였다.
이에 더해 본 연구는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 군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 군이 자체 작전개념 개발 시 학계나 외국 군 등 다양한 주체의 의견수렴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자군우선주의에서 벗어난 군 간 협업의 중요성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다영역작전 개념으로 발전한 다영역전투 개 념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적합한 무기체계의 개발이다.
주제어 :
Ⅰ. 서 론
본 연구는 미 육군의 다영역전투1) 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을 군사혁신의 관점에서 조 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군사혁신의 의미와 함께 다영역전투의 등장 배경, 기원, 그리고 본질에 대해 검토하고 2010년대 중반 미국의 각 군 간 상호작용 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향후 우리 군의 작전개념 형성과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 및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2010년대 미국이 중동의 사막에서 테러리스트와의 대결에 집중하고 있는 와중 중국과 러시아는 군사적 능력 발전을 지속하였다.
이에 따라 두 국가의 군사적 역량은 미국의 역량 을 상당 수준 따라잡게 되었다.2)
미국은 이러한 역전을 허용한 것에 대한 반성과 새롭게 제기된 군사적 위협에 대한 대응을 위해 다양한 군사적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따라 미 해 군과 공군은 2009년 새로운 작전개념3)을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각고의 노력 끝에 2010 년 공해전투(Air-Sea Battle) 개념을 발표하였다.4)
1) ‘Multi-Domain’은 학계에서 ‘다차원’, ‘다전장’, ‘다중영역’, ‘다도메인’ 등 다양한 형태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군과 학계에서 통일된 다영역작전(Multi-Domain Operations)이란 용어를 기준으로 하여 ‘Multi-Domain’을 '다영역‘으로 해석하였다.
2) 지효근, “미국의 새로운 전투수행 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군사연구』, 제147호, 육군군사연구소, 2019, p.157.
3) 작전개념이란 한 국가의 군대가 가용자산을 활용하여 전투력을 운용하는 데 근거가 되는 행동 양식이자 사고의 틀(framework)로서 공지전투, 공해전투, 다영역작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송진호·설인효, “위협인식의 변화가 작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해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67권 제2호, 국가안보문 제연구소, 2024, p.168. 4) Aaron L. Friedberg, Beyond Air-Sea Battle : The Debate over U.S. Military Strategy in Asia (New York: Routledge, 2014), pp.13-14, p.74.
공해전투 개념은 미 해군과 공군이 고도화된 반접근/지역거부 위협에 기존의 공지전투 (Air-Land Battle) 개념으로 대응하는 것에 한계를 느끼고 이를 극복하려는 방편으로 고안 해 낸 작전개념이었다.
미군은 이러한 공해전투 개념을 중 · 러의 반접근/지역거부 역량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설계해 나갔다.5)
미군은 공해전투 개념을 통해 합동성 강화라는 일차원적 목표에서 더 나아가 ‘교차영역 시너지(cross-domain synergy)’6)를 통해 합동 전력의 효과성을 한 단계 높이고 취약점을 극복하고자 했다.7)
하지만, 공해전투 개념은 우주 및 사이버 영역 등 다양한 영역의 통합을 통해서 교차영역 시너지를 추구한다는 목표를 가졌 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는 공중과 해상에 존재하는 전력의 통합에 그치고 말았다.
이 는 지상군의 역할과 기여의 가능성을 사실상 배제했다는 것을 의미했다.8)
이러한 상황에서 미 육군은 합동군 내에서 육군의 역할을 찾기 위한 개념 형성의 필요성 을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합동 차원의 작전개념의 원형인 다영역전투 개념을 구상 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미 육군은 전장 영역을 기존의 육, 해, 공 영역에서 우주, 사이버, 전자기 영역으로 확대하며 공해전투 개념의 결점을 해결하고 합동군의 일부로서 육군의 역 할을 찾고자 했다.9)
다영역전투 개념은 외부의 군사적 위협 변화에 대한 대응과 미 육군 내부적으로 합동군 의 일부로서 지상군의 역할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 작전개념이다.
현재 이러한 다영 역전투 개념은 다영역작전 개념으로 발전10)하여 미국의 동맹 및 우방국에 많은 영향을 끼 치고 있다.11)
5) 김성학·이경혜, “다영역작전 최근 발전 추세와 우리 군에 주는 함의,” 『국방논단』,제1897호, 한국국방연구원, 2022, pp. 2-4.
6) 상호보완적 효과를 조합해서 아군의 취약성을 보완하거나 적에게 딜레마를 부과하여 개별적 역량의 합보다 더 큰 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U.S. Army TRADOC, “The U.S. Army in Multi-Domain Operations 2028,” https://api.army.mil/e2/c/downloads/2021/02/26/b45372c1/20181206-tp525-3-1-the-us-army-inmdo-2028-final.pdf(검색일: 2024. 12. 8.) p.20.
7) 손경호, “미군의 다영역작전 발전과 교리적 고찰,” 『한일군사문화연구』, 제34집,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pp.60-61. 8) Michael E. Hutchens et al., “Joint Concept for Access and Maneuver in the Global Commons: A New Joint Operational Concept,” Joint Force Quarterly 84 (January 2017), p.136.
9) 서강대학교 육군력 연구소,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파주: 한울, 2020), p.79; David G. Perkins, “Multi-Domain Battle: Joint Combined Arms Concept for the 21st Century,” https://www.ausa.org/articles/multi-domain-battle-joint-combined-arms(검색일: 2024.10.11.).
10) 미 육군의 작전개념 개발의 주무를 담당하고 있던 미 육군 교육사령부(U.S. Army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의 사령관인 타운센드(Stephen J. Townsend)는 작전개념의 명칭에 ‘전투’라는 단어의 사용이 작전 개념의 성장을 억제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다영역전투’라는 명칭을 ‘다영역작전’으로 변경하였다. Michelle Tan, “The Multi-Domain Battle,” Defense News, 2024. 10. 11.; Greg Grant & Paul Benfield, “Get out of Your Lane: The End of Discrete Domain,” War on the Rocks, 2017. 1. 26.; Stephen J. Townsend, “Accelerating Multi-Domain Operations Evolution of an Idea,” Military Review (September-October 2018), pp.6-7.
11) 한국을 포함한 영국, 일본, 프랑스는 자국의 작전 환경과 조건 등을 고려하여 다영역작전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 용하고 있다. 원인재·송승종, “美 미래 합동전투개념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합동전영 역지휘통제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학논집』, 제78권 제1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p. 84; 김성학·이경혜, “다영역작전 최근 발전 추세와 우리 군에 주는 함의,” pp.7-8.
이에 따라 다영역작전 개념의 초기 형태인 미 육군의 다영역전투 개념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에 대해 분석한다는 것은 적지 않은 의미를 갖는다.
그 이유는
첫째, 현재 우리 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다영역작전 개념의 원류인 다영역전투 개념을 분석 함으로써 다영역작전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미군 내의 작 전개념 발전과정을 고찰하여 우리 군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군사혁신의 관점에서 다영역전투 개념의 등장 배경, 기원, 본질에 대해 조명하고 형성 및 발전과정 간에 각 군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도 추적하 였다.
이를 통해 미군 내 ‧ 외에서 새로운 작전개념 창안이 어떻게 시작되고 그 동력이 어떻 게 형성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어떤 구성원들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 간의 상호관계는 어떠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다영역전투 개념과 관련 된 선행연구 검토와 군사혁신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3장에서는 다영역전투 개념의 등장 배경, 기원, 본질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다영역전투의 형성 및 발전과 정 간 각 군의 협력은 어떠했는지를 확인했으며, 5장에서는 다영역전투 개념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의 한국군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1. 기존연구 검토
미 육군의 다영역전투 개념은 다영역작전 개념으로 변화하였고 최근에는 합동전영역작 전(Joint All-Domain Operations)으로 발전된 것으로 평가된다.12)
특히, 다영역작전 개 념의 경우 미 육군의 핵심 작전개념으로 채택되어 최근에는 교리화 되었기에13) 국내에서 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12) 설인효, “바이든 행정부 하 인태 군사전략 및 동맹/주둔전략 변화 전망,” 『한국국가전략』, 제7권 제2호, 한국국 가전략연구원, 2022, p.135.
13) Mikayla Easley, “AUSA NEWS: Army Publishes New Doctrine for Multi-Domain Operations,” National Defense, 2022.10.11.
하지만 다영역작전 개념의 근원인 다영역전투 개념에 관한 연 구는 다영역작전 개념과 관련된 연구들과 비교하면 소수에 그치고 있다. 국내에서 연구된 다영역전투 개념에 관한 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강석율(2018)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군사전략의 본질이 합동성 강화와 다영역전 투의 수행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국방전략의 하위 개념으로 군사전략이 위치하며 미국의 경우 각각 국방전략서와 군사전략서를 통해 제시됨을 강조하였다.
또한, 그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국방전략은 2018년 공개된 2018년 국방전략서를 통해 제시되었지만, 미 합참에 의해 작성되는 군사전략서는 대외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음을 조명한다.
이에 그는 군사전략 보다 하위 개념인 작전개념 즉, 당시 대두된 다영역전투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미공개된 당 시 미국의 군사전략의 본질에 대해 추론하였다.14)
그의 연구는 다영역전투 개념에 대해 본 격적으로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던 당시 이를 소개하고 설명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재엽(2019)은 다영역전투 개념이 중국의 반접근/지역거부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발전 된 작전개념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미국이 동아시아 지역 내에서 군사적 패권을 유지하 기 위한 노력으로 2010년대 초반에는 해·공군을 중심으로 하는 공해전투 개념을, 2010년 대 후반에는 군을 넘어선 전장 영역의 통합을 강조하는 다영역전투 개념 개발을 추진하였 음을 조명했다.
그는 2000년대 진행된 중국의 해·공군력 현대화와 반접근/지역거부 전략 의 가시화로 인해서 해·공군 중심의 작전개념인 공해전투 개념의 부침이 초래되었음을 조 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이러한 부침을 타개하고 군사적 주도권을 확보 및 유지를 위해 육, 해, 공, 우주, 사이버, 전자기, 인지 영역을 통합 운용하여 ‘교차영역 시너지’를 창출하 는 것을 중점으로 하는 다영역전투 개념을 발전시켰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다영역전 투의 개념의 핵심은 ‘지상 전력에 기반한 타 영역으로의 전투력 투사’라는 점을 부각한 측 면에서 본 연구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15)
오형철(2019)은 다영역전투 개념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군을 위 한 제언을 하였다.
그는 우리나라와 동맹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새로운 작전개념인 다영역전투 개념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가 미진함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그는 다영역전 투 개념의 등장 배경을 조명하고 다영역전투 개념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며 우리 군에의 적 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그는 다영역전투의 핵심 요소인 작전 수행체계, 전장의 체계, 핵심원리(tenet)16) 등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미국의 변화를 전략적, 작전적, 전술적 수준에서 예측한 뒤 이에 알맞은 우리 군의 준비 방안을 제언했다.17)
14) 강석율, “트럼프 행정부의 군사전략과 정책적 함의: 합동군 능력의 통합성 강화와 다전장영역전투의 수행,” 『국 방정책연구』, 제34권 제3호, 한국국방연구원, 2018.
15) 김재엽,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도전과 미국의 군사적 응전: 공해전투에서 다중영역전투까지,” 『한국군사 학논집』, 제75권 제1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9.
16) 작전 수행체계는 전쟁을 억제하고 무력분쟁 발생 시 신속하게 승리하기 위한 경쟁 → 무력분쟁 → 경쟁으로의 회귀 순서로 진행되는 작전의 수행체계를 말한다. 전장의 체계는 전장을 적 지역으로부터 전략적·작전적 종심화력지역, 종심기동지역, 근접지역, 전술적·작전적·전략적 지원지역 구분한 체계를 말한다. 핵심원리는 부대태세 조정(calibrating force posture), 회복탄력적인 부대구조 운용(employing resilient formations), 융합 (convergence)으로 구성되어 있다. U.S. Army TRADOC, “Multi-Domain Battle: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 https://tradoc.army.mil/wp-content/uploads/2020/10/MDB_Evolutionfor21st.pdf(검색일: 2024.10.11.), pp.3-12.
17) 오형철, “미군의 다영역전투 고찰과 우리군을 위한 제언,” 『합참』, 제78호,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2019.
결론적 으로 그의 연구는 다영역전투에 대한 명확한 통찰을 바탕으로 미국의 미래 군사적 행보를 예견하고 이에 적합한 우리 군의 대응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다영역작전 개념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진척되었지만 다영역 전투 개념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또한, 그동안 진행된 다영역전투 개념에 관한 연구들도 다영역전투 개념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 연구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들이 부각하지 않았던 민간, 국방, 군 간에 어떠한 상호작용 속에서 다영역전투 개념이 형성되고 발전되었는가를 군사혁신의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또 한, 국내 ‧ 외로 많은 연구가 진행된 다영역작전 개념이 아닌 다영역전투 개념에 집중함으로 써 연구의 차별성을 찾고자 하였다.
2. 군사혁신의 정의와 구분
군사혁신은 전쟁을 치르고 승리하는 방식의 큰 변화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군사혁 신의 결과로 군대의 조직, 훈련, 장비 등 군의 전반적인 분야에 다양한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군사혁신으로 인한 변화는 군사 교리와 작전개념 및 조직 편성의 극적인 변화 등과 결합하여 군사작전의 성격과 수행을 근본적으로 바꾼다.18)
즉, 군사작전의 성격과 수행의 변화는 한 국가의 군대가 전투력을 운용하는 행동 양식인 작전개념의 변화를 전제로 한다. 이에 대해 로젠(Stephen P. Rosen)은 작전개념의 중대한 변화나 작전개념의 새로운 창 안을 군사혁신으로 정의하였다.19) 이에 더해 그는 군사기술의 변화로 인한 신무기체계의 도입이 기존에 수행하던 임무에 대한 효율성만을 증진하고 군사조직 편성이나 싸우는 방식 즉, 작전개념 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면 군사혁신으로 간주하지 않았다.20)
18) Elinor C. Sloan,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Implications for Canada and NATO (Montreal: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2), p.3.
19) 스테판 피터 로젠 저, 권재상 역, 『장차전의 승리: 혁신과 현대군대』(서울: 간디서원, 2003), pp.17-18.
20) Stephen P. Rosen, “New Ways of War: Understanding Military Innovation,” International Security Vol. 13, No. 1 (Summer 1988), p.134.
이를 통해 군사혁신은 무기체계의 변화와 같은 하드웨어적 측면도 포함하지만 새로운 작전개념의 형성 과 같은 소프트웨어적 측면이 더 강조된 용어임을 알 수 있다.21)
한편 포젠(Barry R. Posen)은 군사 교리의 변화 즉, 작전개념의 변화가 군사혁신의 지표 라고 보았다.22)
이는 군사혁신이 발생하면 그 여파로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것이 작전개념 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더해 그는 새로운 작전개념으로의 변화는 군의 호응을 얻기는 어렵다고 하였다.
왜냐하면, 변화는 조직의 불안정성을 높이고 기존 방식에 이해관계 를 가진 군 내부 조직원들이 반대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치 지도자나 민간 고위관료에 의한 민간 부문의 개입을 통해 군사혁신 즉, 작전개념의 변화를 이뤄낼 수 있다고 했다.23)
군사혁신을 달성하는 방법은 기술 중심적 방법과 개념 중심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술 중심적 방법은 새로운 과학기술을 군사기술로 변모시켜 이를 통해 군사혁신을 이뤄내 는 방법이다.
특히, 비행기를 전투기와 폭격기로 변모시키고 제공권 및 전략폭격이라는 개 념을 창출해가는 1910년대의 모습을 기술 중심적 방법의 예로 들 수 있다.
개념 중심적 방 법은 먼저 싸우는 방법을 설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군사혁신 을 이루는 방법이다.
즉, 한 국가가 안보 및 작전환경을 평가하고 이에 알맞은 대응전략과 작전개념을 수립한 후,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투수행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군사혁신을 이뤄 내는 것이다.24)
군사혁신은 발생의 근원을 기준으로 내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과 외적 요인에 의한 군 사혁신으로 나눌 수 있다.25)
21) 지효근, “군사혁신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 미군의 공지전투와 다영역작전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안보와 전 략』, 제19권 제4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p.156. 22) Robert Sinterniklaas, Military Innovation: Cutting the Gordian Knot (Netherlands: Netherlands Defense Academy, 2018), p.7. 23) Barry R. Posen, The Sources of Military Doctrine: France, Britain, and Germany between the World War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4), p.59. 24) Serhat Burmaoglu and Ozcan Saritas, “Changing Characteristics of Warfare and the Future of Military R&D,”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 116 (2017), p.151; 장재규, “한국 육 군 사단급 제대의 군사혁신 방향: 다영역작전과 MDTF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군사』, 제14권, 한국군사문제연 구원, 2023, pp.72-73. 25) 이병구, “이라크 전쟁 중 미군의 군사혁신,” 『군사』, 제91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p.164.
이는 군사혁신을 추동하는 원인이 군 내부에 있느냐 군 외부 에 있느냐에 따른 구분이다. 내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은 군 지도부가 외부 환경의 변화를 식별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군의 무기체계, 조직, 작전개념 등을 변화시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26)
반면, 외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은 군 조직에 내재한 필연적인 ‘타성(inertia)’으로 인해 변화를 거부하는 속성이 강하기 때문에 군사혁신은 정치 지도자나 고 위 관료에 의한 민간 부문의 개입으로 실현된다고 본다.27)
위와 같은 내·외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 분류 기준으로 이병구(2014)는 미국의 대반란 전 교리 혁신이 내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보다는 외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의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군사적 전문성이 부족한 군 외부의 민간 지도자가 군 내부 개혁세력의 지원을 받아 군사 교리 혁신을 초래했다는 분석이다.28)
한편, 지효근(2019)은 군사혁신 사례를 이분법적으로 내적 또는 외적 둘 중 한 요소에 의한 군사혁신이라고 구분하는 것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내적 요 인에 의한 군사혁신은 군의 자발적 추동력을 지나치게 강조했지만, 외부 민간 지도자의 영 향력을 과소평가한 문제가 있음을 비판했다.
한편, 그는 외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이 군을 지나치게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경직된 관료집단으로만 상정한 점도 지적했다.
이에 따라 그는 공지전투와 다영역작전 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을 사례로 들어 내·외부적 요소가 균 형되게 작용하는 것이 군사혁신의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고 주장하였다.29)
26) 스테판 피터 로젠 저, 권재상 역, 『장차전의 승리 : 혁신과 현대군대』, p.107.
27) Barry R. Posen, The Sources of Military Doctrine: France, Britain, and Germany between the World Wars, pp.224-227.
28) 이병구, “이라크 전쟁 중 미군의 군사혁신,” p.383.
29) 지효근, “군사혁신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미군의 공지전투와 다영역작전 사례를 중심으로,” pp.159-161.
하지만, 본 연구는 군사혁신의 동인에 대해 내부적 요인의 우세 또는 외부적 요인의 우 세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판단하거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의 균형을 강조하기 보다는 두 요인의 조화로운 작용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두 요인의 조 화가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에서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Ⅲ. 다영역전투 개념의 등장배경과 본질
1. 등장배경
1.1. 국내적 배경
2014년 당시 미 국방부 장관이었던 헤이글(Chuck Hagle)은 새로운 작전개념의 개발과 지속적인 국방예산 감소 상황에서 국방부의 각 군에 대한 투자의 균형을 맞추고자 ‘국방혁신구상(Defense Innovation initiative)’을 발표했다.
헤이글의 ‘국방혁신구상’ 발표와 함 께 미국은 중 · 러와의 군사력 및 기술 경쟁에서 불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3차 상쇄전 략30)을 추진하게 된다.
이때, 헤이글은 당시 미 국방차관인 워크(Robert O. Work)에게 제3차 상쇄전략의 설계를 맡겼다.
상술한 배경하에서 워크는 2015년 4월 미 육군 전쟁 대학에서 육군 수뇌부에게 모든 영 역에 걸쳐 상대에게 다양한 공격 방법을 구사할 수 있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개발하도록 지 시하였다.
이에 따라 미 육군은 제3차 상쇄전략을 지원하며 육군 현대화를 추동하기 위한 새로운 작전개념을 개발하게 되었다.31)
이때, 조직의 존재 목적에 맞게 미 육군 교육사령부는 새 로운 육군의 작전개념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당시 미 육군 교육사령부32)의 사령관 퍼킨스(David G. Perkins) 장군은 다영역 환경에서의 작전을 위한 개념서 작성을 미 육군 교육사령부 실무자들에게 지시하였다.
이에 실무자들은 새로운 작전개념을 개발하 면서 기존의 육, 해, 공 영역에 더해 사이버, 우주 영역을 새로운 전장 영역으로 추가하였 다. 또한, 이러한 영역이 지상 전력의 운용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화하기 시작하였다.33)
이 시기 새로운 작전개념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미 육군 교육사령부 내 조직은 ‘육군 역량 통합센터(Army Capabilities Integration Center)’였다.
육군 역량 통합센터 는 최초 2003년 미 육군 교육사령부 예하 ‘미래센터(Futures Center)’로 창설되었다가 2008년 육군 역량 통합센터로 격상되었다.
이 조직은 창설 이후 줄곧 육군의 미래전 수행 개념을 발전시켜 왔으며34) 그 결실로 만들어진 것이 다영역전투 개념이었다.35)
30) 중국, 러시아와 같은 잠재적 경쟁국들의 군사 분야 추격을 상쇄하고 확실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 이다. 상쇄전략은 총 3차로 구분된다. 이때 각 상쇄전략의 핵심 기술은 제1차는 ‘핵무기’, 제2차는 ‘정밀유도무 기’, 제3차는 무인·AI 체계‘이다. 박준혁,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 추진동향, 한반도 영향전망과 적용방안,” 『국 가전략』, 제23권 제2호, 세종연구소, 2017, pp.41-42.
31) Alex R. Garn, “Multi-Domain Operations: The Army’s Future Operating Concept for Great Power Competition,” MD. Dissertation,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9, p.ⅲ, pp.14-16.
32) 미 육군 교육사령부는 베트남 전쟁 이후 국가안보전략의 초점이 유럽에서의 소련 위협 대응으로 전환됨에 따라 당시 미 육군 참모총장이었던 에이브럼스(Creighton W. Abrams)가 1973년 초 지시하여 설립되었다. 이 조 직은 4성 장군 사령관의 지휘를 받으며 전술 교리 수립을 포함하여 미 육군의 발전, 훈련 및 교육 계획 등을 관리하는 임무를 수행해 왔다. Grant S. Fawcett, “History of US Army Operating Concepts and Implications for Multi-Domain Operations,” MD. Dissertation,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9, p.4.
33) Grant S. Fawcett, “History of US Army Operating Concepts and Implications for Multi-Domain Operations,” pp.23-24.
34) Michael V. Voss, “ARCIC Transitions from TRADOC to AFC,” https://www.army.mil/article/214823/arcic_transitions_from_tradoc_to_afc(검색일: 2024.10.11.).
35) 박휘락, “미 국방전략의 변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다(多)도메인 작전(MDO)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 24권 제4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p.145.
퍼킨스 장군은 2014년 3월 미 육군 교육사령부의 사령관으로 부임하였다.
그는 4년간 임무 수행을 하면서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36)
그는 이임하 기 전까지 다영역전투 형성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고문을 투고하였으며 수많은 언론과 의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각종 토론 등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그는 특유의 주도적인 리더 십을 발휘하며 다영역전투 개념을 홍보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37) 이 러한 노력의 결과 퍼킨스 장군은 2016년 5월 미 육군 협회(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 Army, AUSA)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다영역전투 개념을 처음으로 일반에 소개할 수 있었다.38)
36) Austin Harvill, “TRADOC welcomes new commanding general,” https://www.jble.af.mil/News/Article-Display/Article/844227/tradoc-welcomes-new-commanding-g eneral/(검색일: 2024. 10. 12.); Amy L. Robinson, “Townsend takes command of TRADOC,” https://www.army.mil/article/201435/townsend_takes_command_of_tradoc(검색일: 2024.10.12.).
37) 퍼킨스 장군은 다영역전투 개념과 관련된 다양한 글들을 게재한 것에 더해 관련 영상들을 인터넷상에 올림으로써 다영역전투 개념을 군 관계자들에게 알리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Alex R. Garn, “MultiDomain Operations: The Army’s Future Operating Concept for Great Power Competition,” p.6.
38) 주정율,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Multi-Domain Operations)에 관한 연구: 작전수행과정과 군사적 능력, 동맹과 의 협력을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제36권 1호. 한국국방연구원, 2020, p.12.
상술한 내용에서는 외부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군 외부의 민간 지도자였던 헤이글과 워크라는 국방 고위관료의 지시에 부응하여 군 내부의 개혁세력 인 퍼킨스 장군이 작전개념의 혁신을 추진한 것이다.
국방예산의 감소와 중국과 러시아와 의 군사적 경쟁에서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헤이글은 국방혁신 구 상과 제3차 상쇄전략을 추진하였다.
이에 해당 프로젝트들을 주무하던 국방차관인 워크는 이러한 프로젝트들에 부합한 미 육군의 작전개념 개발을 미 육군 수뇌부에 지시하였다.
그 결과 육군의 개혁을 담당하던 미 교육사령부의 퍼킨스 장군에 의해 작전개념의 혁신이 진 행된 것이다.
1.2. 국제적 배경
다영역전투 개념이 등장하게 되는 데에는 미 국방부 및 육군의 국내적 배경 외에도 국제 적 배경 또한 존재한다.
다영역전투 개념 등장에 영향을 준 주요 위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진핑 집권 이래 2015년부터 ‘군사변혁’을 통한 군사력 증강으로 그 수위가 높아진 중국의 반접근/지역거부 위협이다.
둘째, 2008년 조지아 전쟁과 2014년 크림반도 합병에 서 현시된 러시아의 하이브리드 위협이다.
이는 다영역전투 개념이 “미 육군이 발트해 인근 에서 러시아의 향상된 하이브리드 위협과 경쟁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강조된 점에 서도 알 수 있다.39)
2014년 4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은 미국에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왔다.
그 이유로는 먼저, 9/11 사태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협력적 파트너로 인식되었던 러시아의 배신과 이때 러시아가 수행한 ‘하이브리드전(Hybrid Warfare)’40)은 기존의 전쟁 수행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미국이 중동의 사막에서 비정 규전에 매몰되어 있는 사이 비군사적 · 군사적 수단을 융합한 하이브리드전을 개발하고 이 를 크림반도 합병 시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작전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2014년 이후 미 육군은 러시아의 이러한 행태를 상당한 위협이라고 인식하게 되었고 미 교육사령부와 미 육군협회를 중심으로 러시아의 하이브리드전이 잘 수행된 크림반 도 합병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 2016년에는 미 육군협회 연례회의에서 당시 미 육군 참모총장 밀리(Mark Milley) 장군은 중국과 러시아를 핵심 위협 세력으로 규정 하기도 하였다.
또한, 워크 당시 국방차관은 중 · 러의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다영역에서 우 세 달성’을 위한 작전개념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에 따라 미국은 러시아의 하이브리드전 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다영역전투라는 새로운 작전개념 개발을 추구하게 된 것이다.41)
39) Sean M. Zeigler, et al., Aligning Roles and Missions for Future Multi Domain Warfares,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2021), p.17.
40) 군사적 · 비군사적 수단을 융합하여 침략을 당하는 국가뿐만 아니라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심리 및 인지 영역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외교적 모략, 선전, 기만, 허위 정보 제공 등을 통한 전쟁 수행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러시아는 하이브리드전을 재귀 통제(reflexive control)라고 지칭한다. Maria Snegovaya, “Putin’s Information Warfare in Ukraine: Soviet Origins of Russia’s Hybrid Warfare,” 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September 2015), pp.7-9.
41) AUSA News, “Army Chief: Future War Is 'Almost Guaranteed',” https://www.ausa.org/news/army-chief-future-war-almost-guaranteed(검색일: 2024.10.12.); AUSA News, “U.S. Looks to ‘Multidomain’ to Maintain Dominance,” https://www.ausa.org/news/multidomain-maintain-dominance(검색일: 2024.10.12.).
위협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작전개념 개발의 추구 또한 외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러와의 전쟁에 있어 파트너라고 인식했던 러시아의 패 권주의적 행동은 당시 위협인식의 우선순위를 변화시켰다.
이는 미국의 최고위 정치 지도 자의 견해가 반영된 2015년 미 국가안보전략서(National Security Strategy, NSS)에 명시되었다.42)
그 결과 군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2015년 군사전략서(National Military Strategy, NMS)에도 이와 같은 위협인식의 변화가 반영되었다.43)
이러한 변화는 궁극적으 로 작전개념의 변화를 낳게 되었다.
즉, 최고위 정치 지도자의 인식 변화가 결과적으로 작 전개념의 변화라는 군사혁신의 동인이 된 것이다.
2. 다영역전투 개념의 기원
다영역전투 개념이 새로운 작전개념이라지만 아무런 개념적 기반 없이 창안되지는 않았 다.
다영역전투 개념은 기존의 2012년 최상위 합동작전개념(Capstone Concept for Joint Operations, CCJO), 2014년 육군 운용개념(Army Operating Concept, AOC), 그리고 2016년 해병대 운용개념(Marine Corps Operating Concept, MOC)으로부터 기 원되었다.
각각의 개념들은 교차영역 시너지와 합동성(jointness)44)을 강조하는 특징을 갖는다.
2012년 최상위 합동작전개념(CCJO)에서는 교차영역 시너지를 통해 전체의 효과를 증대시 키고 취약성을 갖는 다른 부분을 보완하는 것을 중시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합동성을 강 조하였다.
2014년 육군 운용개념(AOC)은 미래 육군이 수행해야 할 합동군에서의 역할을 규정하였다.
특히, 미래 육군은 아군에게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적에게는 딜레마를 강 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역에서의 작전을 수행하여 합동군의 일원으로서 이바지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미래의 전장에서는 상황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불확실성이 만연할 것이 므로 이러한 모호한 상황에서의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육군 장병들을 위한 훈련의 필요성 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2016년 발표된 해병대 운용개념(MOC)은 반접근/지역거부 위 협 및 하이브리드 위협이 만연한 경쟁적(contested) 작전환경에 대한 해병대의 인식과 이 의 대응에 필요한 요구사항들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해병대 운용개념(MOC)은 다영역전 투 개념에 반영된 해병대의 관점이 드러난 개념이기도 하다.45)
42) The White House,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Washington: The White House, 2015), p.7.
43)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The National Militar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5 (Washington: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2015), pp.2-9.
44) 각 군의 고유한 역량들을 통합하여 시너지를 창출함으로써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말 한다. U.S. Joint Chiefs of Staff, “JP 1 Doctrine for the Armed Forces of the United States,” https://irp.fas.org/doddir/dod/jp1.pdf(검색일: 2024.12.8.), pⅠ-2.
45) Kelly McCoy, “The Road to Multi-Domain Battle: An Origin Story,” Modern War Institute, 2017. 10.27.
상술한 개념들에 개념적 기반을 둔 다영역전투 개념에는 상술한 개념들이 강조한 교차영역 시너지, 합동성, 경쟁적 작 전환경 인식 등이 포괄적으로 반영되었다.
다영역전투 개념 이전 미 육군의 작전개념은 공지전투, 전범위작전(Full Spectrum Operations), 통합지상작전(United Land Operations) 등이 있었으며, 미 육군은 이 작 전개념들을 열거한 순서대로 기존의 작전개념을 대체시키며 발전시켰다.46) 먼저, 공지전투 는 1973년 욤키프르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발전된 개념이다.
당시 미 육군은 중부 유럽 에서 수적으로 우세한 소련군을 상대로 방어적인 첫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던 적극방어(Active Defense) 개념이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 끝에 8년에 걸쳐서 공지전투 개 념을 발전시켰다.47)
이러한 노력의 결과 미 육군은 공지전투 개념을 1982년 ‘야전교범 (Field Manual, FM) 100-5’에 정식 교리로 반영하게 되었다.48)
46) Rebecca Segal, “Who “Does” MDO? What Multi-Domain Operations will mean for—and require of —the Army’s Tactical Units,” Modern War Institute, 2023.3.10.
47) Bill Benson, “Unified Land Operations: The Evolution of Army Doctrine for Success in the 21st Century,” Military Review, (March-April 2012), p.48.
48) 지효근, “미국의 새로운 전투수행 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pp.167-168.
미 육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르샤바 조약군과의 대규모 정규전에 대한 대응뿐만 아니라 반군 및 테러리스트 그 룹과의 비선형 및 저강도 분쟁(Low Intensity Conflict)에 대한 대응의 필요성도 인식하게 되었다.
미 육군은 저강도 분쟁에 대한 대응방안을 ‘야전교범(FM) 100-5’에 반영함으로써 공지전투 개념을 발전시켰다.
하지만 소련의 붕괴로 인한 바르샤바 조약군 위협 소멸에 따 른 작전환경의 변화와 각 군 간의 경쟁이 과열되면서 공지전투의 개념적 가치가 현저히 저 하되어 갔다.
미 육군은 공지전투 개념을 ‘전범위작전’ 개념으로 대체하였다.
이 작전개념은 1993년 야전교범(FM) 100-5에서 ‘저강도 분쟁’이라는 용어가 ‘전쟁 이외의 작전(Operations Other Than War, OOTW)’이라는 용어로 대체되고 ‘전차원작전(Full-Dimension Operations)’이란 용어가 언급되기 시작하면서 등장하였다.
‘전차원작전’이란 “육군 지휘 관이 가능한 모든 작전 범위에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능력을 활용하는 작전개념”을 뜻한다.
또한, 이 용어는 1990년대 초 소련이 해체된 후 요구되는 군사작전의 형태가 대규모 전면전이 아닌 평화유지, 평화강제, 대(對)전복활동 등이 주가 된 시대적 배경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전차원작전’이란 소규모 분쟁을 종식하는 데 필요한 조건과 유리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해서 군사작전을 가장 잘 결합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담겨있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개념적 배경하에 등장한 ‘전범위작전’은 “공격, 방어, 안정화 또는 민사 지원 작전을 동시에 결합하여 주도권을 장악, 유지, 활용하고 결정적 결과를 달성할 기회를 창출 하는 작전개념”으로 정의되었다.
이 개념은 1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미 육군의 작전개념 으로 자리매김하였고 이 개념 아래서 기존의 ‘전쟁 이외의 작전’이라는 용어도 안정화 작전 (Stability Operations)으로 대체되게 된다.
하지만 미 육군은 ‘공격 및 방어 작전’, ‘안정 화 작전’, ‘민사 지원 작전’ 모두를 수행한다는 ‘전범위작전’ 개념의 초기 구상과는 달리 ‘안 정화 작전’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즉, ‘공격 및 방어 작전’, ‘안정화 작전’, ‘민사 지원 작전’ 간 ‘균형(balance)’의 추구라는 최초 의도에서 벗어난 것이다.
이렇게 미 육군이 ‘안정화 작전’에만 몰두하다 보니 주요 전투 작전(Major Combat Operations) 즉, 공격 및 방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상실하게 되었고 이를 타개하고자 ‘통합지상작전’이라는 개 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통합지상작전’은 상대적 우위를 점유하고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한 동시적인 공격, 방 어, 안정화 작전 수행을 강조하였다. 이는 기존의 ‘전범위작전’의 개념과 유사하다.
이러 한 부분에서 ‘통합지상작전’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통합지상작전’은 기존의 개념 에 대한 무조건적인 배격보다는 ‘공지전투’와 ‘전범위작전’에서의 좋은 아이디어를 유지 하고 발전시켰음을 알 수 있다.49)
49) Bill Benson, “Unified Land Operations: The Evolution of Army Doctrine for Success in the 21st Century,” pp.49-57.
하지만 ‘전범위작전’과의 차이점은 ‘전범위작전’은 결과 적으로 안정화 작전에 매몰된 한계가 있었지만, ‘통합지상작전’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통합지상작전’ 개념도 중국과 러시아라는 동급의(near-peer) 적의 급격한 군사적 발전 으로 인해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다.
특히, 기존의 육, 해, 공과 같은 전통적인 영역의 활 용만으로는 그동안 유지해왔던 미국의 군사 분야에서의 압도적 우위를 지속 ‧ 유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미 육군은 이를 타개하고자 다영역전투라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창안하게 된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 미 육군은 변화하는 작전환경을 적시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주도적인 작전개념의 혁신을 추구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즉 내적인 요인에 의한 군사 혁신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미 육군은 타성에 젖어 변화를 거부하기보다는 급변하는 전 장 환경으로 인해 기존의 작전개념으로 대처가 제한될 경우 주도적으로 혁신을 거듭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미 육군의 기민한 혁신성이 공지전투 개념에서 궁극적으로 다영역전투 개념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한 것이다.
3. 다영역전투 개념의 본질
그동안 다영역전투 개념이 지상군 전투부대가 합동성과 교차영역 시너지를 위해 우주, 사이버, 전자기, 인지 영역을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내용이 많이 강조되어 왔다.50)
이 에 따라 표면적으로 보이기에는 지상군에 의한 물리력 투사보다는 우주, 사이버, 전자기, 인지 자산 및 역량의 활용에 중점을 둔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다영역전투 개 념의 본질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오해이다.
2017년 당시 미 태평양 육군 사령부 사령관이었던 브라운(Robert B. Brown) 장군은 다영역전투 개념의 구현 시 사이버와 우주 자산은 적의 지휘통제체계를 일시적으로 무력화 하는 데 집중한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다영역전투 개념이 사이버 및 우주 자산의 지원 아 래 확보된 교두보에서 공군의 C-17과 C-130으로 수송된 대함 순항미사일을 탑재한 하이 마스(High Mobility Artillery Rocket System, HIMARS) 포대와 초고속 포탄을 탑재한 155mm 곡사포 포대를 통한 물리력 투사가 중점임을 강조하였다.51)
상술한 내용을 정리하 면 다영역전투 개념은 다양한 자산과 역량을 통합하여 교차영역 시너지를 추구한다.
여기서 우주 및 사이버 자산은 적을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합동군의 물리력 투사를 위한 여건을 조 성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여건 아래서 합동군 중 특히 지상군이 강력한 포병 화력을 투사하여 적을 격멸하는 것이 다영역전투 개념의 핵심인 것이다.
다영역전투 개념에서의 물리력 투사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무기체계인 지상 기반 장거리 정밀 화력에 대한 강조는 다영역전투 개념과 관련된 여러 관계자의 인터뷰, 논문, 언론 기 사 등에 잘 나타나 있다.
먼저, 다영역전투 개념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퍼킨스 장군은 다영역전투 개념의 핵심 원칙은 지상, 해상, 공중, 우주, 사이버 공간에서 적이 이점을 얻는 것을 막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이 원칙에 부합하는 주요 무기체계로 미 해군 함정을 보호하기 위한 지상 기반 포병과 로켓을 예로 들기도 하였다.52)
50) Sean M. Zeigler et al., Aligning Roles and Missions for Future Multi Domain Warfares, p.16.
51) Robert B. Brown, “The Indo-AsIa Pacific and the Multi-Domain Battle Concept,” Military Review, (September-October 2017), pp.6-7.
52) AUSA News, “Multi-Domain Battle Concept comes with Challenges,” https://www.ausa.org/news/multi-domain-battle-concept-comes-challenges(검색일: 2024.10.12.).
2017년 당시 미 육군 참모총장이었던 밀리 장군과 미 태평양 사령부 사령관이었던 해리스(Harry B. Harris) 제독도 다영역전투 개념을 바탕으로 한 장거리 정밀 미사일과 같은 무기체계를 통 해서 육군이 배를 침몰시킬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길 바란 바 있다.
이는 기존에 동북아에서의 미국의 군사력은 ‘항모전투단(수상전력)’이 주도했으나, 중국의 반접근/지역거부 전력 (DF-15, DF-21)에 취약해지면서 중국의 해군력에 대한 압도적인 우위를 원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군사 전문 언론에서는 다영역전투 개념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무기 체계로 에이태큼스(Army Tactical Missile System, ATACMS)를 해상 선박을 타격하기 위해 수정한 버전이라고 예를 들었다.
해당 언론에서는 이를 다영역전투 개념이 가져온 변 화의 종류 중 가장 극적이고 가시적인 예라고까지 강조하였다.53)
상술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영역전투 개념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무기체계는 지상 기반의 장거리 정밀 화력이란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은 미래 중국과의 군사적 대결이 태평 양의 바다와 하늘에서 진행될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공해전투’ 개념을 제시 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연안 지역 바다와 하늘에서만 작전을 수행한다면 절대적인 수적 열 세를 극복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미군은 다영역전투 개념을 기반으로 지상군의 포병 전력 을 지상 영역인 중국의 연안 지역의 섬에 이동시켜 고기동성 발사대에 탑재한 미사일 전력 을 운영함으로써 수적 열세를 상쇄하려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54)
다음은 다영역전투 개념이 합동작전 개념을 목표로써 지향한다는 점이다.
공해전투 개념 에서 배제되고 무시되었던 지상군의 역할에 대한 반발심 아래 다영역전투 개념을 육군 중 심의, 육군만의 작전개념으로 만든 것이라고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퍼킨스 장군은 인터뷰 를 통해 “처음부터 우리는 이것을 합동 개념으로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55)
또한, 최초로 다영역전투 개념을 소개한 문서인, 2016년 1월 발간된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다영역전투 : 21세기를 위한 제병협동(Multi-Domain Battle :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백서(white paper)에서도 다영역전투 개념이 합동작전개 념을 지향한다고 밝히고 있다.56)
53) Sydney J. Freedberg, “Army’s Multi-Domain Battle Gains Traction across Services: The Face Of Future War,” Breaking Defense, 2017.3.13.
54) 설인효, “미국의 작전수행개념 변화와 한국군에의 함의,”『군사논단』, 제106, 한국군사학회, 2021, p.45.
55) Sean Kimmons, “Army, Marine leaders bring multi-domain concept closer to reality,” https://www.army.mil/article/181271/army_marine_leaders_bring_multi_domain_concept_closer_t o_reality(검색일: 2024.10.12.).
56) U.S. Army TRADOC, “Multi-Domain Battle: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White paper,” https://imlive.s3.amazonaws.com/Federal%20Government/ID19831026121158752582394001180406 1108474/Multi-Domain_Battle_White_Paper_Final_18_Jan_2017.pdf(검색일: 2024.10.11.), p.1.
마지막으로 다영역전투 개념 개발 당시 타 군과의 협력과 협업 노력을 중시했다는 점에서도 육군을 위한 육군만의 작전개념 개발이 아닌 합동작전 개념 개발을 추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개념 형성 당시 해병대와의 협업과 이후 개념발전을 위한 공군과의 협력 그리고 성사되지는 않았지만, 해군에 협업을 제의한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Ⅳ. 다영역전투 발전과정에서의 각 군 간 협력
미 육군은 다영역전투 개념을 육군만의 작전개념에 머물지 않고 합동작전 개념으로 발전 시키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일례로 미 육군은 미 육군협회에서 주최하는 연례회 의에 국방부 및 타 군의 주요 인사들을 초청하여 다영역전투 개념을 홍보하고 이를 발전시 킬 방안을 패널 토론을 통해 논의하기도 하였다.57)
이를 통해서 미 육군이 각 군뿐 아니라 국방부와 합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영역전투 개념의 존재와 필요성을 지속해서 각인시 키려는 노력을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퍼킨스 장군은 다영역전투 개념은 아직 미완성된 개념이고 언제 완성될지 판단하기는 이 르다고 했다.
그는 과거 공지전투 개념이 처음 도입되고 제대로 구현되기까지 8년이 걸렸 음을 강조하며 다영역전투 개념의 완전한 성숙을 위해서는 타군의 리더들과 더 많은 협력 적 토론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58)
57) 2016년 10월 미 육군협회 연례회의에는 당시 국방차관 워크, 미 공군 참모총장 골드페인(David L Goldfein) 장군, 미 태평양 사령부 사령관 해리스 제독, 미 해병대 사령관 넬러(Robert B. Neller) 장군 등 미 국방부, 육, 해, 공, 해병대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였다. 이듬해인 2017년 10월 미 육군협회 연례회의에도 퍼킨스 장군이 회의를 주도하는 가운데 육, 해, 공, 국방부, 합참의 인사들을 초청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 AUSA, “ILW Contemporary Military Forum: Multi-Domain Battle: Ensuring Joint Force Freedom of Action in Future War,” https://www.ausa.org/events/ausa-annual-meeting-exposition-2016/sessions/cmf-multi-domain-b attle-ensuring-joint-force(검색일: 2024.10.13.); U.S. Army, “Big Final Day Planned at AUSA 2017,” https://www.ausa.org/news/big-final-day-planned-ausa-2017(검색일: 2024.10.13.).
58) Sean Kimmons, “Army, Marine Leaders Bring Multi-domain Concept Closer to Reality,”
육군 내 리더십이 타군과의 협업 및 협력을 중요시 생각하는 바는 미 육군이 해병대, 공군 그리고 해군에게까지 협업을 제의하는 모습으로 나 타나게 된다.
비록 모든 군과 협력을 수행하거나 협력을 수행하더라도 이를 지속하지는 못 했지만 이러한 노력은 다영역전투 개념을 발전시키고 확장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협력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협력은 내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의 모습을 띠고 있다.
이와같 이 구분한 이유는 미 육군과 미 해병대가 협력하게 된 계기에서 찾을 수 있다.
양 군이 협력하게 된 계기는 공해전투 개념이 대두됨으로써 지상군의 역할이 축소되었고 이를 타개하 고자 군이 주도적으로 새로운 작전개념을 형성하기 위해서였다.
즉, 두 군의 협력사례를 통 해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군 내부적 노력의 일환으로 작전개념을 변화시켜 나 가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미 육군은 공해전투 개념의 대두로 인해 역할이 축소된 해병대와의 협업을 통해 서 “다영역전투: 21세기를 위한 제병협동(Multi-Domain Battle: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이라는 ‘백서(white paper)’를 작성하게 되었다.59)
이때 미 육군과 미 해병대는 새로운 작전개념 형성과 이를 위한 백서를 제작하기 위해서 양 군 간의 합동 T/F(joint task force)도 구성하였다.60)
이렇게 구성된 미 육군-해병대 합동 T/F에 의해 작성된 백서의 특징은 중국과 러시아와 같은 동급의(near-peer) 적에 대항하여 작전을 수 행하기 위한 육군과 해병대의 통합된 접근방식을 구상한 점이다.
하지만 이 백서는 다영역 전투 개념이 미 육군과 해병대만의 작전개념이 아님을 강조한다.
즉, 다영역전투 개념은 육·해·공군을 모두 아우르는 합동 수준에서의 작전개념이라는 것이다.61)
이는 백서에서 육 군과 해병대의 통합된 접근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해군 및 공군과 협력하여 다영역전투 개 념을 합동 차원의 작전개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적이라고 강조한 점에서 알 수 있다.62)
이렇게 미 육군과 해병대가 협업을 진행하는 모습은 과거 1970년대 베트남 전쟁의 결과 로 육군의 입지가 바닥으로 치닫고 있을 때 이를 타개하고자 공군에 손을 내밀어 공지전투 개념을 만들게 된 사례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63)
하지만 이후 해병대는 해군과 함께 자 체 작전개념을 발전시키게 되면서 미 육군과 해병대 간의 협력은 끝나게 되었다.64)
59) Sean M. Zeigler et al., Aligning Roles and Missions for Future Multi Domain Warfares, p.16.
60) Sean Kimmons, “Army, Marine Leaders Bring Multi-domain Concept Closer Ro reality,”
61) Army News Service, “White Paper, New Task Force Bring Multi-domain Concept Closer to Reality,” DEFENCETALK, 2017.1.26.
62) U.S. Army TRADOC, “Multi-Domain Battle: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White paper,” p.13.
63) 김유신, “미국 “합동작전 개념”의 결정과정 연구:각 군간 경쟁을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9, pp.64-68.
64) Sean M. Zeigler et al., Aligning Roles and Missions for Future Multi Domain Warfares, pp.22-23.
2. 미 육군과 미 공군의 협력
미 육군과 미 공군의 협력은 내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의 형태를 보인다.
그 이유는 미 육군과 미 공군 간 협력의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미 육군이 그동안 진행해 온 미해병대와의 협력이 제한되자 합동작전 개념 창안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그 대체자로서 미 공군을 선택하였다.
둘째, 외압에 의한 협력이 아닌 양 군의 필요에 따라 협력하였다.
셋째, 기존의 타성에 머무르지 않고 타 군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군의 개념을 변 화시켰다.
이에 따라 미 육군과 미 공군의 협력은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군 자 체적 노력의 사례로서 내적 요인에 의한 군사혁신의 형태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2.1. 31가지 계획(31 Initiatives)
미 해병대는 다영역전투 백서 작성 이후 더는 미 육군과 다영역전투 개념의 발전을 위한 협업을 진행하지 않고 미 해군과 함께 자체 작전개념 발전에 매진하였다.
하지만 미 육군은 낙심하지 않고 다영역전투 개념을 합동 차원에서의 작전개념으로 관철하기 위한 노력을 지 속하였다.
미 육군은 이를 위해 미 공군과의 협업을 진행하였다.
미 육군의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보아 2017년 12월에 미 육군은 미 공군의 전장 영역 인식이 투영된 “다영역전투: 21세기를 위한 제병협동의 진화(Multi-Domain Battle: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라는 소책자를 발간하게 된다.65)
미 육군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미 공군과의 협업 노력을 지속하였다.
그 결과 2018년 당시 미 육군 교육사령 부의 사령관이었던 퍼킨스 장군과 미 공군 전투사령부(Air Force Combat Command, ACC) 사령관인 홈즈(James M. Holmes) 장군은 “다영역전투: 합동 해법을 향한 개념 수 렴(Multi-domain Battle: Converging Concepts toward a Joint Solution)”이라는 기 고문을 게재하기에 이른다.
이 기고문에서 두 장군은 “미 육군 교육사령부와 미 공군 전투사령부는 그들의 전투수행 개념(warfighting concepts)을 미래의 합동교리로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라고 밝혔다.66)
65) U.S. Army TRADOC, “Multi-Domain Battle: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 p.ⅱ.
66) David G. Perkins and James M. Holmes, “Multi-domain Battle: Converging Concepts toward a Joint Solution,” Joint Force Quarterly 88, 2018, p.57.
이에 더해 퍼킨스 장군은 이러한 협력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 1980년대 양 군 간의 성공적인 협업의 사례인 ‘31가지 계획’의 선례를 잘 따라야 함을 강조하기도 했다.
‘31가지 계획’67)은 냉전기 바르샤바 조약 군의 군사적 위협에 대항하기에는 북대서양 조약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군이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않다 는 미 육군과 미 공군의 상호 이해 아래서 비롯되었다.68)
67) ‘31가지 계획’은 공지전투 개념의 7가지 기본 영역인 대공 방어, 후방지역 작전, 적 방공망 제압, 특수작전 부대, 합동 탄약 개발, 합동 전투 기술 및 절차, 전투정보 융합의 분야를 다뤘다. 또한, 최초에는 1번 계획 ‘지역 지대 공 미사일 및 요격기’부터 31번 프로그램 목표 각서 우선순위 목록(POM Priority List)까지의 31개의 계획을 포함하였다. 하지만 1983년 5월 22일 이후 신속 표적화 능력(Rapid Targeting Capability)을 포함한 4개의 계획이 추가됐다. Richard G. Davis, The 31 Initiatives: A Study in Air Force-Army Cooperation, (Washington: Office of Air Force History 1987), pp.47-48.
68) 1986년에 제정된 ‘골드워터-니콜스 법(Goldwater-Nichols Act)’과 같은 법적 수단을 통해 강제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31가지 계획’의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1970년대에는 미 육군과 미 공군은 예산 분야에 대해서 도 협력을 추진하기도 했다. David E. Johnson, Shared Problems: The Lessons of Air-Land Battle and the 31 Initiatives for Multi-Domain Battle,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2018), pp.1-2.
‘31가지 계획’을 통한 미 육군과 미 공군의 협력은 상호 간 노력의 중복을 없애주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낭비를 막았으며 합동 전술 미사일 시스템이나 합동 감시 표적 공격 레이더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자산들을 신속히 개발하고 배치할 수 있게 해주었다.69)
따라서 퍼킨스 장군은 과거 양 군이 협력했 던 이러한 역사적 사례의 교훈을 본받아 앞으로의 다영역전투 개념 발전을 위한 협력에서 도 합동 교리, 무기체계 개발, 예산 문제 협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과거와 같은 협력이 잘 이뤄지길 바랐다.
하지만 양군의 협력이 고조될 당시 다영역전투 개념에 대해 미 공군은 다영역작전 (Multi-Domain Operations), 미 육군은 다영역전투로 서로 다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 다.70)
또한 미 육군은 지상전을 지원하기 위한 우주전, 사이버전, 전자전, 정보전을 수행하 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미 공군은 다영역에서의 우세를 달성하기 위해 항공, 우주, 사이버 능력을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둬 상호 간의 차이가 있었다.71)
이러한 상황 속에도 양 군은 협력을 지속하여 2018년 1월에는 러시아와의 고강도 전투에서 미 육군과 미 공군이 어떻 게 협력할 것인지를 도출하고 최상의 지휘통제(Command and Control, C2) 체계를 개발 하기 위해 다영역 워게임(Multi-Domain War game)을 실시하기도 하였다.72)
69) Ibid., p.3.
70) Sydney J. Freedberg, “Services Debate Multi-Domain: ‘Battle’ or ‘Operations,” Breaking Defense, 2018.4.10.
71) Miranda Priebe et al., Multiple Dilemmas Challenges and Options for All-Domain Command and Control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2020), pp.3-4.
72) ibid., p. 4; Colin Clark, “Gen. Holmes Sketches Multi-Domain Warfare: A-10 Wings Funded in ’19,” Breaking Defense, 2018.1.25.
2.2. 전장 체계의 확장
미 공군과의 협업을 통해 나타난 가장 극적인 변화로는 다영역전투 개념의 전장 체계 (Battlefield Framework) 확장을 들 수 있다.
다영역전투 개념의 전장 체계는 공지전투의 전장 체계에서 비롯되었다.
기존 공지전투 개념의 전장 체계는 종심지역(Deep Area), 근접 지역(Close Area), 후방지역(Rear Area)의 3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공지전투 전장 체 계에 영향을 받은 다영역전투 개념의 전장 체계는 총 6개의 지역73)인, 종심화력지역(Deep Fire Area), 종심지역(Deep Area), 근접지역(Close Area), 지원지역(Support Area), 작전적 지원지역(Operational Support Area), 전략적 지원지역(Strategic Support Area)으 로 확장되어 구분되었다.74)
이에 대해 퍼킨스 장군은 다영역전투 개념에서는 공지전투 개 념에 비해 전장 지역의 물리적인 범위가 확장된 것에 더해 공지전투 전장 체계에는 없던 우주, 사이버, 전자전 영역까지 포함되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러한 범위의 확장은 기 존의 모든 전투발전요소(DOTMLPF)75)들에 대한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 역설하였다.76)
73) 종심화력지역은 재래식 전력의 기동 범위를 벗어난 지역이지만 전략적, 작전적 효과를 위한 국가 수준(외교, 경 제, 정치 등)의 역량과 합동 화력(joint fires)을 운용할 수 있는 지역이다. 종심지역은 근접지역에서의 원활한 작 전을 위해 반드시 격퇴해야 할 도전 요소들이 포함되며, 종심지역에서 아군의 기동부대는 작전 주도권을 확보하 기 위해서 역량을 융합(convergence)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접지역은 직접적인 근접 교전이 펼쳐지는 공간이며 해당 지역에서는 지상군이 주요 지형 점령 및 유지, 적 격멸 및 인명 보호 등과 같은 중요한 임무를 수행한다. 전략적 · 작전적 지원지역 및 지원지역은 다양한 작전지속지원을 통해 근접 및 종심지역에서의 작전을 지원한다. 또한, 해당 지역에는 아군의 각종 합동 화력 및 네트워크 인프라가 자리해있다. David G. Perkins, “Multi-Domain Battle: Driving Change to Win in the Future,” Military Review, Vol. 97, No. 4, (Summer 2017), pp.10-11.
74) Sydney J. Freedberg, “A Wider War: Army Revises Multi-Domain Battle with Air Force Help,” Breaking Defense, 2017.10.12.
75) DOTMLPF는 미 국방부가 적용하고 있는 전투발전요소로 D(Doctrine, 교리), O(Organization, 조직), T(Training, 훈련). M(Material, 물자), L(Leadership and Education, 리더쉽과 교육), P(Personnel, 인사), F(Facility, 시설), P(Policy, 정책)를 의미한다. U.S Joint Chiefs Of Staff,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Instruction,” https://www.jcs.mil/Portals/36/Documents/Library/Instructions/CJCSI%203010.02E.pdf(검색일: 2024.10.13.), pp.A-3-6.
76) David G. Perkins, “Multi-Domain Battle : Driving Change to Win in the Future,” pp.10-11.
한편, 미 공군 측에서는 적 지역을 구분할 때 종심화력지역과 종심지역, 두 개의 지역으 로만 구분한 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미 육군은 다음과 같이 회답했다.
첫 째, 종심화력지역 이상의 범위는 육군 자산의 기동과 화력 범위를 벗어난 공간이다.
둘째, 미국의 영토 및 영해에서와는 달리 동맹국의 영토에서는 미국의 군사력이 서로 다른 교리 적, 법적 체제 아래서 운영된다.
이에 따라 미 육군은 종심화력지역을 넘어선 지역을 포함 하여 전장을 구분할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이 부분을 미 공군과의 협의 끝에 전략적 종심화력지역(Strategic Deep Fires Area)을 추가하여 총 7개의 전장 지역으 로 구분하였다.
이에 더해 화력(fires)을 모든 지역에 투하할 수 있다는 공군의 사거리(reach)와 유연성(flexibility)의 개념을 수용하게 되었다.77)
상술한 전장 체계의 확장은 2017년 12월 발간된 새로운 소책자에 반영되었는데 이때 기존의 종심화력지역과 종심지역이 세 지역으로 분할되어 적 지역에 대한 구분이 기존보다 세분화되었다.
이는 각각 전략적 종심화력지역(Strategic Deep Fires Area), 작전적 종심 화력지역(Operational Deep Fire Area), 종심기동지역(Deep Maneuver Area)으로 구 분되었다.78)
77) Sydney J. Freedberg, “A Wider War: Army Revises Multi-Domain Battle with Air Force Help”.
78) U.S. Army TRADOC, “Multi-Domain Battle: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 p.ⅱ, pp.8-9.
Ⅴ. 결 론 : 한국군에의 함의
본 연구는 미 육군의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을 군사혁신의 관점에서 조명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군사혁신에 있어 내적 요인 또는 외적 요 인 중 한 요인의 우세나 비율적인 균형이 아닌 두 요소의 조화로운 작용의 중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술한 목적에 따라 먼저 다영역전투 개념과 관련된 선행연구 검 토를 통해 본 연구의 당위성을 찾고 연구 진행을 위한 군사혁신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진 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다영역전투 개념의 등장 배경, 본질, 기원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2010년 대 중반 미군의 각 군 간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 성 및 발전과정 간 다양한 요소들이 군사혁신의 동인으로 조화롭게 작용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먼저, 다영역전투 개념의 등장배경을 살펴보면 정치 지도자와 국방 차원의 요구, 그리고 합동군 내에서의 지상군의 역할을 회복하고자 하는 군 내부적 노력에 의해 다 영역전투 개념의 형성이 추동되고 발전의 동력을 얻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다영역전투 개념의 발전기 각 군 간의 협력을 살펴보면 군 자체적 노력이 진행되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 간에 확인할 수 있었던 군사혁신의 과정에서는 내 적 요인의 우세 또는 외적 요인의 우세를 평가하기 어려웠다.
또한, 두 요소가 비율적으로 균형되게 발현되었다고 보기에도 어려웠다.
결론적으로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 모두가 중 요했고, 일정한 역할을 했으며 조화롭게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 사혁신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새로운 작전개념 창출 의 좋은 사례로 평가한다.
다영역전투 개념은 육·해·공·우주·사이버·전자기·인지 영역에서의 합동작전을 위한 방 법론을 제공하는 작전개념이다.
하지만, 다영역전투 개념은 새롭게 전장으로 인식된 우주, 사이버, 전자기, 인지 영역에서의 작전만을 중시하는 것이 아닌 물리적 화력 투사와의 균형 이 강조되는 작전개념이다.
또한, 이 작전개념은 국내적으로는 국방 차원의 요구를 충족하 기 위해, 국제적으로는 중국과 러시아에 의해 새롭게 제기된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형성 및 발전되었다.
이에 더해 다영역전투 개념은 형성 및 발전과정 간 미 육군의 작전개 념임에도 불구하고 타군과의 협력이 잘 행해진 사례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영역 전투 개념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우리 군이 벤치마킹할 수 있고 장차 작전개념 개발 시 참고할 수 있는 많은 함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향후 우리 군이 작전개념을 개발할 경우 다양한 주체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점이다.
미 육군은 다영역작전 개념의 형성 단계에서 자군과 타군은 물론이고 학계와 심지 어 외국군의 의견을 수렴하여 작전개념을 발전시켰다
. 일례로 미 육군은 매년 10월 개최되 는 미 육군협회 연례회의를 통해 다영역전투 개념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 함과 동시에 이 작전개념을 홍보하기도 하였다.
2016년 연례회의에서는 다영역전투 개념 의 발전을 위해 당시 미 국방차관, 미 해군 장관, 미 공군 참모총장, 미 해병대 사령관에 더해 대학교수와 호주군까지 포함하여 패널 토론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또한, 2017년 연례 회의에서는 미 국방부, 미 공군, 미 해군, 미 해병대 및 독일군을 초청하여 패널 토론을 진 행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퍼킨 스 장군은 다영역전투 개념 형성 초기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다영역전투 개념은 새로운 사 고방식의 시작에 가까우며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다른 군의 리더들과 대화를 시작하였 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79)
79) Sean Kimmons, “Battles of the Future Will Be Fought in Multiple Domains, Senior Leaders Say,” https://www.army.mil/article/176230/battles_of_the_future_will_be_fought_in_multiple_domains_s enior_leaders_say(검색일: 2024.11.20.).
즉, 타군과의 협력적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우리 군 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하며 작전개념을 발전시킨 미군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즉, 우리 군도 작전개념을 개발할 때 자군뿐만 아니라 타군 나아가 학계와 외국군 등 다양한 주체의 의견을 종합하여 다각적인 고려가 모두 반영된 작전개념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타군과의 협력 및 협업을 중시하고 자군우선주의와 자군이기주의를 지양해야 한다는 점이다.
미군은 작전개념 개발 및 발전 시 타군과의 협력을 중시하고 이에 초점을 맞 추고 있다.
일례로 미 육군은 다영역전투 개념의 형성 초기 지상군의 역할을 찾고자 해병대 와의 협력을 추진하였고 이후 해병대가 해군과의 협업으로 방향을 선회하자 공군과 협력을 추구했다.
이 밖에도 미군은 공지전투와 공해전투라는 작전개념 형성 시에도 타군과의 협 력을 중시했다.
이와 같은 타군과의 협력을 진행할 때 가져야 할 각 군의 마음가짐은 자군 중심적 사고를 배제하고 합동성 중심의 균형된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 이다.
이를 통해 상호 경쟁과 갈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낭비를 방지하고 제한된 국방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영역전투 개념의 본질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이에 적합한 무기체계의 개발 이다.
최근 국방 차원에서 북핵 대응을 위한 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비물리적 자산 및 역량을 통한 대응이다.
이러한 비물리적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전력화하여 북한의 핵, 미사일 지휘체계를 사이버 · 전자전을 통해 무력화하여 북핵 위협을 억제하겠다는 것이 다.80)
80) 최근 국방부는 한국형 3축 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비물리적 파괴능력’을 증대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우리 군도 다영역전투 개념의 발전된 형태인 다영역작전 개념에 영향을 받아 우주, 사이버, 전자기 영역에서의 무기체계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대한민국 국방부, 『2022 국방백서』 (서울: 대한민국 국방 부, 2023), pp.109-133.
하지만 다영역전투 개념의 본질은 비물리적 능력을 통해 물리적 역량이 적 지역에서 기동하고 화력을 투사할 수 있는 여건을 일시적으로 조성하여 이를 지원하는 것임을 인식 해야 한다.
따라서 비물리적 자산 및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모든 노력과 비용을 집중하기보 다는 균형을 갖춰야 하며, 기존 우리 군의 현무 미사일 체계와 같은 장거리 정밀 화력을 보 강하기 위한 사거리 연장과 정확성 향상에 대한 노력을 계속해서 이어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저서
대한민국 국방부, 『2022 국방백서』, 서울: 대한민국 국방부, 2023. 서강대학교 육군력 연구소,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 파주: 한울, 2020. 스테판 피터 로젠 저, 권재상 역, 『장차전의 승리 : 혁신과 현대군대』, 서울: 간디서원, 2003. David E. Johnson, Shared Problems: The Lessons of Air-Land Battle and the 31 Initiatives for Multi-Domain Battle,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2018. Friedberg, Aaron L., Beyond Air-Sea Battle: The Debate over U.S. Military Strategy in Asia, New York: Routledge, 2014. Posen, Barry R., The Sources of Military Doctrine: France, Britain, and Germany between the World War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4. Priebe, Miranda et al., Multiple Dilemmas Challenges and Options for All-Domain Command and Control,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2020. Sinterniklaas, Robert, Military Innovation: Cutting the Gordian Knot, Netherlands: Netherlands Defense Academy, 2018. The White House,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Washington: The White House, 2015. Zeigler, Sean M. et al., Aligning Roles and Missions for Future Multi Domain Warfares,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2021.
2. 논문
강석율, “트럼프 행정부의 군사전략과 정책적 함의: 합동군 능력의 통합성 강화와 다전장영역 전투의 수행,” 『국방정책연구』, 제34권 제3호, 한국국방연구원, 2018. 김성학·이경혜, “다영역작전 최근 발전 추세와 우리 군에 주는 함의,” 『국방논단』, 제1897호, 한국국방연구원, 2022. 김유신, “미국 “합동작전 개념”의 결정과정 연구: 각 군간 경쟁을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2019. 김재엽,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도전과 미국의 군사적 응전: 공해전투에서 다중영역전투 까지,” 『한국군사학논집』, 제75권 제1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9. 박준혁,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 추진동향, 한반도 영향전망과 적용방안,” 『국가전략』, 제23 권 제2호, 세종연구소, 2017. 박휘락, “미 국방전략의 변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다(多)도메인 작전(MDO)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제24권 제4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설인효, “미국의 작전수행개념 변화와 한국군에의 함의,” 『군사논단』, 제106, 한국군사학회, 2021. ______, “바이든 행정부 하 인태 군사전략 및 동맹/주둔전략 변화 전망,” 『한국국가전략』, 제7 권 제2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2. 손경호, “미군의 다영역작전 발전과 교리적 고찰,” 『한일군사문화연구』, 제34집, 한일군사문 화학회, 2021. 송진호·설인효, “위협인식의 변화가 작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해전과 다영역작 전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67권 제2호, 국가안보문제연구소, 2024. 오형철, “미군의 다영역전투 고찰과 우리군을 위한 제언,” 『합참』, 제78호, 대한민국 합동참모 본부, 2019. 원인재·송승종, “美 미래 합동전투개념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합동전영역지휘통제를 중심으 로),” 『한국군사학논집』, 제78권 제1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이병구, “이라크 전쟁 중 미군의 군사혁신,” 『군사』, 제91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장재규, “한국 육군 사단급 제대의 군사혁신 방향: 다영역작전과 MDTF 적용을 중심으로,” 『한 국군사』, 제14권,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3. 주정율,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Multi-Domain Operations)에 관한 연구: 작전수행과정과 군사적 능력, 동맹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제36권 1호. 한국국방연 구원, 2020. 지효근, “군사혁신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미군의 공지전투와 다영역작전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안보와 전략』, 제19권 제4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Benson, Bill, “Unified Land Operations The Evolution of Army Doctrine for Success in the 21st Century,” Military Review, March-April 2012. Brown, Robert B. “The Indo-AsIa Pacific and the Multi-Domain Battle Concept,” Military Review, September-October 2017. Burmaoglu, Serhat, and Ozcan Saritas, “Changing characteristics of warfare and the future of Military R&D,”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 116, 2017. Fawcett, Grant S., “History of US Army Operating Concepts and Implications for Multi-Domain Operations,” MD. Dissertation,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9. Garn, Alex R., “Multi-Domain Operations: The Army’s Future Operating Concept for Great Power Competition,” MD. Dissertation,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9. Hutchens, Michael E. et al., “Joint Concept for Access and Maneuver in the Global Commons: A New Joint Operational Concept,” Joint Force Quarterly 84, 2017. Perkins, David G. “Multi-Domain Battle: Driving Change to Win in the Future,” Military Review, Vol. 97, No. 4, 2017. ________________, and James M. Holmes, “Multi-domain Battle: Converging Concepts Toward a Joint Solution,” Joint Force Quarterly 88, 2018. Rosen, Stephen P., “New Ways of War: Understanding Military Innovation,” International Security, Vol. 13, No. 1, 1988. Snegovaya, Maria, “Putin’s Information Warfare in Ukraine: Soviet Origins of Russia’s Hybrid Warfare,” 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September 2015. Townsend, Stephen J., “Accelerating Multi-Domain Operations Evolution of an Idea,” Military Review, September-October 2018, 2018. 지효근, “미국의 새로운 전투수행 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군사연구』, 제147호, 육 군군사연구소, 2019.
3. 기타 자료
Army News Service, “White paper, new task force bring multi-domain concept closer to reality,” DEFENCETALK, 2017.1.26. AUSA News, “Army Chief: Future War Is ‘Almost Guaranteed’,” https://www.ausa.org/news/army-chief-future-war-almost-guaranteed (검색일: 2024.10.12.). ___________, “Multi-Domain Battle Concept comes with Challenges,” https://www.ausa.org/news/multi-domain-battle-concept-comes-challe nges(검색일: 2024.10.12.). ___________, “U.S. Looks to ‘Multidomain’ to Maintain Dominance,” https://www.ausa.org/news/multidomain-maintain-dominance(검색일: 2024.10.12.). AUSA, “ILW Contemporary Military Forum: Multi-Domain Battle: Ensuring Joint Force Freedom of Action in Future War,” https://www.ausa.org/events/ausa-annual-meeting-exposition-2016/ses sions/cmf-multi-domain-battle-ensuring-joint-force(검색일: 2024.10.13.). Clark, Colin, “Gen. Holmes Sketches Multi-Domain Warfare : A-10 Wings Funded in ’19,” Breaking Defense, 2018.1.25. Easley, Mikayla, “AUSA NEWS: Army Publishes New Doctrine for Multi-Domain Operations,” NationalDEFENSE, 2022.10.11. Freedberg, Sydney J., “A Wider War: Army Revises Multi-Domain Battle With Air Force Help,” Breaking Defense, 2017.10.12. ____________________, “All Services Sign On to Data Sharing—but Not to Multi-Domain,” Breaking Defense, 2019. 2. 8. ____________________, “Army’s Multi-Domain Battle Gains Traction Across Services: The Face Of Future War,” Breaking Defense, 2017.3.13. ____________________, “Services Debate Multi-Domain: ‘Battle’ or ‘Operations,” Breaking Defense, 2018.4.10. Grant, Greg, and Paul Benfield, “Get out of Your Lane: The End of Discrete Domain,” War on the Rocks, 2017.1.26. Harvill, Austin, “TRADOC Welcomes New Commanding General,” https://www.jble.af.mil/News/Article-Display/Article/844227/tradoc-wel comes-new-commanding-general/(검색일: 2024.10.12.). McCoy, Kelly “The Road to Multi-Domain Battle: An Origin Story,” Modern War Institute, 2017. 10. 27. Perkins, David G., “Multi-Domain Battle: Joint Combined Arms Concept for the 21st Century,” https://www.ausa.org/articles/multi-domain-battle-joint-combined-arms (검색일: 2024.10.11.). Robinson, Amy L., “Townsend Takes Command of TRADOC,” https://www.army.mil/article/201435/townsend_takes_command_of_tra doc(검색일: 2024.10.12.). Rosenberg, Barry, “Distributed Maritime Operations: Dispersing the Fleet for Survivability and Lethality,” Breaking Defense, 2021.9.15. Sean Kimmons, “Army, Marine Leaders Bring Multi-domain Concept Closer to Reality,” https://www.army.mil/article/181271/army_marine_leaders_bring_multi _domain_concept_closer_to_reality(검색일: 2024.10.12.). _______________, “Battles of the Future Will Be Fought in Multiple Domains, Senior Leaders Say,” https://www.army.mil/article/176230/battles_of_the_future_will_be_fou ght_in_multiple_domains_senior_leaders_say(검색일: 2024.11.20.). Segal, Rebecca, “Who “Does” MDO? What Multi-Domain Operations will mean for —and require of—the Army’s Tactical Units,” Modern War Institute, 2023. 3.10. Tan, Michelle, “The Multi-Domain Battle,” DefenseNews, 2024.10.11. U.S. Army TRADOC, “Multi-Domain Battle :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 https://tradoc.army.mil/wp-content/uploads/2020/10/MDB_Evolutionfo r21st.pdf(검색일: 2024.10.11.). ____________________, “The U.S. Army in Multi-Domain Operations 2028,” https://api.army.mil/e2/c/downloads/2021/02/26/b45372c1/20181206-t p525-3-1-the-us-army-in-mdo-2028-final.pdf(검색일: 2024.12.8.). ____________________, “Multi-Domain Battle: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White paper,” https://imlive.s3.amazonaws.com/Federal%20Government/ID198310261 211587525823940011804061108474/Multi-Domain_Battle_White_Paper_ Final_18_Jan_2017.pdf(검색일: 2024.10.11.). U.S. Army, “Big Final Day Planned at AUSA 2017,” https://www.ausa.org/news/big-final-day-planned-ausa-2017(검색일: 2024.10.13.). U.S. Joint Chiefs Of Staff,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Instruction,” https://www.jcs.mil/Portals/36/Documents/Library/Instructions/CJCSI% 203010.02E.pdf(검색일: 2024.10.13.). ________________________, “JP 1 Doctrine for the Armed Forces of the United States,” https://irp.fas.org/doddir/dod/jp1.pdf(검색일: 2024.12.8.).
Abstract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Multi-Domain Battle Concept: Insights from the Perspective of Military Innovation
Song, Jin-ho (Korea Army Academy at Yeongcheon) Soel, in-hyo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U.S. Army’s Multi-Domain Battle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military inno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ulti-Domain Battle concept emerged was not from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of military innovation alone, but from their harmonious interaction. In the establishment phase, political leaders, high-ranking officials, private-sector intervention, a sense of crisis regarding the diminishing role of ground forces, and internal military reform efforts were the main driving forces. In the development phase, during the Multi-Domain Battle concept was being refined, military-led efforts through interservice cooperation were the key drivers. In other word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played crucial roles in the initial conception of new operational concepts, while interservice cooperation and internal military efforts were pivotal in their further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Multi-Domain Battle concept, this study was able to provid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OK military. First, the ROK military should gather input from various actors, including academia and foreign militaries, when developing its own operational concepts. Second, it must emphasize interservice cooperation over service parochialism. Lastly, the development of suitable weapon systems based on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Multi-Domain Battle concept, which has evolved into the current concept of Multi-Domain Operations.
Key Words: Military Innovation, Multi-Domain Battle, Multi-Domain Operations, Operational Concepts, Interservice Cooperation
한국군사제16호
논 문 접 수 일: 2024.10.22 논 문 심 사 일: 2024.11.13 최종수정일: 2024.12.08 게재확정일: 202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