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물리적 위험이 보험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25-6-30)/이석호外.한국금융연구원
<요 약>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 발생이 빈번해지며 막대한 경 제적·인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보험산업은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위험 보장 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물리적 위험에 직접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특히 극한 호우가 국내 보험회사의 경영 실적에 미치는 영향 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이에 기반하여 보험사 및 금융당국의 대응 과제를 도출 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1세기 전반기 (2021~2040)를 대상으로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의 4가지 기후변화 시나리오(SSP1-2.6, SSP2-4.5, SSP3-7.0, SSP5-8.5)별 로 자연재해 피해액을 추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농작물재해보험, 가축재해보험, 풍수해보험의 지급보험금 및 손해율을 추정·전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분석기간 동안 세 가지 보험 모두에서 보험사의 지급보험금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농작물재해보험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14.99~ 32.11% 증가하였고, 가축재해보험은 15.06~37.84%, 그리고 풍수해보험은 15.58 ~28.5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율의 경우에도, 동 기간 동안 4가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농작물재해보험은 15.01~28.33%, 가축재해보험은 15.61 ~28.44%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기후변화 위험이 심화될수록 보험회사가 지급해야 할 보험금 규모 및 손해율이 크게 확대될 가능 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주요국 보험사들의 기후변화 위 험과 관련한 성공적인 대응 사례 등에 기반하여 국내 보험산업에서 기후변화 위 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보험상품의 개발 및 위험 보장 기능 강화, 기후변화 예측 및 평가 역량 제고, 전사적 위험관리 및 기후 공시 확대 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국내 보험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위험이 보험산업의 경영 실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고 제시된 실증분석 결과와 대응 방안들은 기후변화 위험과 관련하여 보험회사뿐만 아니라 투자자, 보험소비자 및 정책⸱감 독 당국 등에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