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
70호
훈민정음
訓民正音
서울
성북동 간송 미술관
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며
조선 왕조 제4대
임금인 세종이 그때까지 사용되던 한자가 우리말과
구조가 다른 중국어의
표기를 위한 문자체계여서 대다수 백성들이
배워 사용할 수 없는
사실을 안타까워하여 세종 25년(1443)에
우리말의 표기에 적합한
문자체계를 완성하고 "훈민정음"이라 명명하였다.
세종
28년(1446)에 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설명한 한문해설서를
전권 33장 1책으로
발간하였는데 책의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하였다.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현존 본은 1940년경
경북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국내에서 유일한
귀중본이다.
國寶 76호
이충무공 난중일기부 서간첩임진장초
李忠武公
亂中日記附 書簡帖壬辰狀草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현충사
이 책은 태종(재위
1400∼1418)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펴낸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 수 없고 다만
조선 태종
3년(1403)에 주조한 동활자인 계미자를 사용하였다.
國寶
151호 조선왕조 실록
朝鮮王朝
實錄
이 책은 조선
태조에서부터 조선 철종 때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역사적
사실을 일어난 순서대로 기술하는
역사서술의 한 방식)로
기록한 책이다.
총 1,893권
888책으로 되어있는 방대한 역사서이다.
실록을 편찬하는 작업은
다음 왕이 즉위한 후 실록청을 열고
관계된 관리를 배치하여
펴냈으며,
사초는 임금이라 해도
함부로 열어볼 수 없도록 비밀을 보장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일부소실되었지만
20세기 초까지
태백산, 정족산, 적상산, 오대산의
사고에 남아서 전해내려
왔다.
정족산, 태백산 사고의
실록은 1910년 일제가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하였다가, 광복 후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國寶
32 호 해인사 대장경판
(海印寺大藏經板)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10 해인사
이
대장경판(大藏經板)은 고려(高麗) 고종(高宗) 때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새긴 목판(木板)이다.
대장경은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 또는 일체경(一切經)을
말하며
불교경전(佛敎經典)의 총서(叢書)를 가리키는 말이다.
8만 4천
법문(法文)을 수록했다 하여
8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고도 한다.
해인사 대장경판은 현존
최고의 대장경판일 뿐 아니라
가장 완벽하고 정확한
대장경판으로
우리 민족이 남긴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문화유산(文化遺産)
가운데 하나이다
;;
國寶 303호 승정원일기
丞政院日記
인조 1년(1623)
3월부터 1910년 8월까지 왕명을 담당하던 기관인
승정원에서 처리한 여러
가지 사건들과 취급하였던
행정사무, 의례적 사항
등을 매일 기록한 것이다.
이 책의 수량은 총
3,243책 393,578장에 이르며,
종이질은
닥나무종이이다
國寶
152호 비변사 등록부의 정부등록
備邊司 謄錄附議
政府謄錄
이 책은 조선 중기이후
나라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최고의결기관인
비변사에서 처리한 사건을 기록한 것으로,
『승정원일기』,
『일성록』등과 함께 실록보다 앞서는
기본적인
역사자료이다
현존하는 것은
광해군
9년(1617)∼고종 29년(1892) 사이의 273책이다
國寶
153호 일 성 록
日省錄
이 책은 조선 영조 36년(1760) 1월부터 1910년
8월까지
조정과 내외의 신하에
관련된 일기이다.
國寶
110호 익재영정
益齋
影幀
고려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익재
이제현(1287∼1367)의 초상화이다.
이제현은 원나라의
만권당에서 조맹부 등과 교류하며
고려에 신학문과 사상을
소개하고,
성리학을 전파,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호는 익재·역옹으로,
『국사』, 『역옹패설』 등을 남겼다.
國寶
111호 회헌 영정
晦軒
影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