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891) 썸네일형 리스트형 생존경쟁과 영토 팽창 - 칠박사 집단이 제시한 러일전쟁 개전론의 사상적 배경 검토 - /박해운.성균관大 I. 머리말 II. 생존경쟁, 헤켈의 진화론과 라첼의 레벤스라움III. 메이지 시대 집단주의적 사회진화론의 일본 유입과 형성 과정: 칠박사 사건 이전 시대적 상황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IV. 칠박사 집단의 개전론에 투영된 영토 팽창 논리 V. 맺음말 I.머리말 한반도와 만주를 둘러싼 일본과 러시아의 대립과 갈등이 고조되고 있던 1903년 6월 24일,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 법학부 교수 도미즈 히론도(戸水寛人), 오노즈카 기헤이지(小野塚喜平次), 다카하시 사쿠에(高橋作衛), 가나이 노부루 (金井延), 도미이 마사아키라(富井政章), 데라오 도루(寺尾亨)와 가쿠슈인대학 (學習院大學) 교수 나카무라 신고(中村進午)는 지난 6월 10일 정부에 제출했던 대러시아 정책에 대한 건의서를 『도쿄아사히신문(東京朝日新.. 1894년 조선 정부의 청나라 군대 파병 요청에 이르게 된 정책 결정 과정 재고/모리 마유코(森万佑子).도쿄여자대학 I. 머리말 II. 조중 관계의 긴밀함에 따른 갑신정변 처리: 김옥균과 박영효 암살 시도III.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한 청군 차용의 결정 과정 IV. 맺음말 I.머리말 청일전쟁은 세계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불린다.청일전쟁은 조선을 둘러싸 고 일본과 청 사이에서 서구적 군사 방식과 국제법에 근거해 벌어진 최초의 전 면전이었다.또한 이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함으로써, 기존의 동아시아 질서였 던 중국 중심의 중화 질서(화이 질서)가 무너지고, 서양식의 새로운 조약 체제로 국제 관계가 재편되었다.일본에서 청일전쟁에 대한 선행연구는 매우 방대하게 축적되어 있으며, 특 히 개전 과정(개전 요인)에 큰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1이러한 연구들은 일본의 정치 외교사적 관점에서 일본이 왜, 언제, 어떻게 출병하게 되었는.. 1900년대 초, 서양 선교사들이 직접 기록한 조선 https://youtu.be/_Y-9TzXG8MM 조선잡사(8)/받은 글 >>301회가을 저녁 강가에서 소세양은 시를 읊는다.쓸쓸하네 외로운 그림자 하나 노을진 강가붉은 여뀌꽃 남은 송이 강 기슭 양쪽이 어둡다서풍을 향해 느리게 걸으며 옛 짝을 부르네만겹이나 될 만큼 깊은 운우(雲雨, 섹스)의 정, 알 수 없어라蕭蕭孤影暮江심(水+尋)소소고영모강심紅蓼殘花兩岸陰홍료잔화양안음만(言+曼)向西風呼舊侶만향서풍호구려不知雲水萬重深부지운수만중심이 시는 소세양이 호남에 은퇴한 시절좌의정 상진(尙震)이 가져온 그림족자에 써준 화제(畵題)이다.상진이 좌의정이 된 것은 1551년이니소세양 나이 65세 이후에 쓴 것이다.그림 속에는 기러기 한 마리가 그려져 있었다.저무는 강 위를 날아가는 기러기 하나. 그 그림자가 고요한 강에 어른어른 비친다.강둑에 핀 여뀌꽃은 거의 다 졌다. 여뀌꽃을 아는가.꽃같지.. 조선시대 기자조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조원진.한양대 I. 머리말 Ⅱ.조선 전기 기자조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 Ⅲ.조선 후기 기자수봉설과 기자조선 평양설 비판 Ⅳ.맺음말I.머리말 기자조선에 대한 연구는 크게 상말주초 기자의 역사성 및 동래의 실제 여부를 검토하는 연구와 기자조선이 한국사의 체계로 자리 잡은 후대의 기자·기자조 선 인식을 살펴보는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갑골·금문에 나오는 기자 자료와 기후방정을 비롯한 요령성 객좌에서 출토된 상·주청동기에 대한 분석 과 한대 이후 기자동래설의 형성을 다루는 고대사의 영역에 해당된다.1 후자의 경우 주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기자·기자조선에 대한 인식을 다루며 사학사 와 사상사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2 성리학을 건국 이념으로 성립된 조선은 기자 동래를 인정하고 기자조선을 정사에 편입시켰다. 따라서 .. 조선후기 8도 감영의 입지 특징과 관원 구성에 대한 비교 고찰/이선희.중앙대 Ⅰ. 머리말Ⅱ. 8도 감영의 입지 연혁과 이전 배경Ⅲ. 8도 감영의 관원 구성 체계와 도별 특징Ⅳ. 맺음말[국문요약]이 연구는 8도제 운영의 균질성 정도와 지역적 특수성을 고찰하기 위해 조선후기 감영의 여러 요소 중 입지와 관원구성을 비교분석한 것이다.이를 통해 조선후기 지방행정을 입체적 으로 추적하는 일단이 되고자 한다.입지 연혁에 따라첫째 조선 초기 감영이 설치된 후 변동 없이 유지된 감영,둘째 전란으 로 이전된 감영,셋째 변동이 잦았던 감영 등으로 분류하여 입지 특징을 분석했다.이로써 감영 입지 기준으로 서울과의 거리, 지역이 갖는 위상, 겸임지와의 일치, 도내 중앙부 등이 작용했음을 확인했다.감영이라는 위상은 도마다 동일하지만 도내 행정 상황과 지역적 특징 이 감영의 입지에 반영되었음을 살폈다.. 광해군, 두 개의 상반된 평가/계승범.서강대 목 차Ⅰ. 머리말Ⅱ. 광해군, 탁월한 외교정책을 펼친 군주Ⅲ.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Ⅳ. 맺음말 국문초록】광해군(r. 1608-1623)은 한 조카가 주도한 계해정변(인조반정)으로 왕좌에서 강제로 축출되었다. 정변 바로 다음날 대비의 이름으로 반포된 반정교서에 따르면, 정변의 명분 곧 광해군의 죄상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있다. 하나는 군부의 나라인 명을 배반하고 이적인 후금과 화친을 도모한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후를 핍박하고 형제를 살해했다는 것이다. 광해군에대한 이런 부정적인 평가는 조선왕조가 망할 때까지 동요 없이 거의 절대적인 평가로 자리 잡았다. 이런 전통적 평가에 대한 비판은 1930년대에 처음 등장했다. 이른바 근대 역사학자들은 명과 후금 사이에서 광해군이 취한 외교노선을 중립정책이.. 17~18세기 일본산 담배의 조선 유입과 그 영향/신경 미.동국대 ꠙ 차례1. 서론2. 조선 내 담배 유입과 전파 경로3. 일본산 담배의 유행과 영향4. 결론 【국문초록】이 글에서는 조선에 담배가 전해진 시기와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고 일본산 담배가 조선의 담배 발전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담배의 전파시기를 추적한 결과, 일본으로부터 1610년 이전에 잎또는 가공품 형태의 담배가 전해졌으며 1614~1618년 사이에 담배의 씨앗이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물론, 조선과 일본의 몇몇 사료에 임진왜란 이전에 전해졌을 가능성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현재까지는 17세기 초반 유입되었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주지하였듯이 담배는 유입 초기에는 담뱃잎이나 가공품의 형태로 전해졌는데 이때 들어온 가늘게 썬일본산 담배 ‘지삼’은 조선뿐만 아니라 .. 이전 1 2 3 4 ··· 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