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이야기

(476)
카를 융의 ‘개성화’와 다석 유영모의 ‘바탈타기’로 성서 읽기 ― ‘다시 나지 않으면’(요한복음 3:3)/송화재 .연세大 Ⅰ. 들어가는 말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의 아버지인 카를 융(Carl Jung)은 자신의 생애 전체를 ‘무의식의 자기 실현의 역사’로 회고한다.인간의 잠 재 능력인 무의식에 대한 특별한 관심으로부터 융은 영지주의와 연금술, 동양의 철학들과 요한복음에 풍성하게 나타나는 주요 개념들과 신화, 상 징들을 통해서 인간의 마음 안에 이미 선험적으로 존재하며, 시공을 초 월하여 전체로서 살도록 하는 창조적 원동력인 자기 원형(Self archetype) 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1) 1) 융은 자신의 인생 전체를 ‘나의 생애는 무의식의 자기 실현(Selfstverwirklichung)의 역사다’로 정의 하며 ‘자아’가 무의식의 중심에 있는 ‘자기’의 신호를 듣고 포착하는 여정으로..
참회의 신학 ― ‘메모리아’와 ‘포살’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신은희.경희大 Ⅰ. 시작하며 이 글은 참회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종교 철학적 대화이다.기독교 전통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e of Hippo)의 『고백록』(Confessions)에 나타난 ‘메모리아’(memoria) 이론을 중심으로 참회의 기억을 살 펴본다.1) 1) 본 논의에서 ‘메모리아’의 라틴어 표현은 일반적 개념의 ‘기억’과 구별하고, ‘컨버시오’(conversio)의 통전적 참회의 기억을 내포하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불교의 전통에서는 붓다가 설법한 ‘포살’(uposatha)을 중심으로 초기 불교가 전한 참회의 진정한 의미와 수행 과정을 성찰해 본다.이 대 화를 통해 참회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존재론과 인식론의 유사점과 차 이점을 살펴보고, 미래 지향적인 한국적 참회 신학의 지향점을..
화쟁과 한마음 사상: 원효의 갈등 해소법과 소통의 철학/이종성.충남大 1. 문제의 소재 지난 인류의 역사를 살펴보면 개인과 개인, 집단과 집단, 국가와 국가 간의 갈등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오늘날 한국 사회만 하더라도 좌우의 이념 갈등을 비롯해 인종, 민족, 문화, 환경, 계층, 세대, 젠더, 지역 등 매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심각한 사회적 갈등의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근래의 국제적인 상황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비롯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국가주의적 갈등1) 및 종교적인 분쟁이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음을 보게 된다. 1) 한국의 현대철학자 함석헌(咸錫憲, 1901-1989)은 국가를 이데올로기화 할 경우 국가는 반드시 ‘국가주의’로 변질된다고 본다. 그는 “지배자들은 자기네 야심을 감추고 변명하기 위..
AD 9세기 이슬람 철학에 나타난 인과성에 관한 연구-나잠(Nazzam)과 무암마르(Mu‘ammar)의 인과성 긍정 이론을 중심으로/김요한.전북大 1. 들어가면서 인과성 개념은 이슬람 신학(kalām)과 철학에서 핵심 관심사였으며, 특히 신의 전능성, 결정론, 창조된 실체의 본질을 둘러싼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 무타질라 철학자중 무암마르(830년 사망)와 나잠(845년 사망)은 신의 행위와 창조된 질서에 대한 전통적 이해에 도전하는 독특한 인과성 이론을 발전시켰다.무암마르는 우연자(a‘rāḍ)의 자립성을 주장하면서 우연자들이 창조되면 신의 개입 없이도 독립적으로 지속된다고 주장했다.이 개념은 자연 세계 내에서 인과적 자율성의 한 형태를 의미했다.반면 나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능태-현실대 개념을 차용해서 자연의 인과적 역할을 인정하고 있다.동시에 신이 자연에 내재된 성향을 부여했다고 주장하면서 신의 간접적 개입이나 간섭의 가능성을 열..
화엄경 보살 사상으로 바라본 ‘세계시민보살(Universal Bodhisattva citizenship)’의 덕목- 불교 시민성 정립의 이론적 토대 - /퇴우 정념(박동순).월정사 1. 들어가는 말 ‘시민성1)’ 혹은 ‘시민의 역량’에 대한 논의를 시작함에 앞서 반드시 고려하고 넘어가야 할 주요한 핵심의제가 있다. 1) ‘citezenship’은 ‘시민권’과 ‘시민성’의 두 가지로 번역되고, 혼용되고 있다. 각각 ‘시민의 권리’와 ‘시민적 덕성’을 함의하는 단어이므로 표방하는 사상적 기반이 자유주의 혹은 공화주의[공동체주의]인지의 여부에 따라 다르게 쓰이고 있는 것이다. Kymlicka(2016), 451에서 ‘citezenship’은 ‘시민 덕성’으로 번역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적 시민의 덕성’의 함양을 목적하므로 ‘시민성’으로 통일하여 논의한다; ‘시민의 덕성이란 시민들이 공동의 이익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에 기여하려는 마음가짐과 자세’를 의미한다. ‘덕’이나 ‘역량..
성소수자에 대한 불교윤리적 고찰/김진선外.동국大 1. 서론2. 불교의 젠더 의식3. 성소수자에 대한 불교윤리적 관점4. 이익 동등고려의 원칙과 성소수자에 관한 불교윤리5. 나가는 말 1. 서론2023년 7월 1일, ‘2023 제24회 서울퀴어문화축제’가 개최되었다.코로나19 로 인해 온라인 행사로 진행된 2020년, 2021년을 제외하고 서울퀴어문화축제는 매년 서울광장 및 그 일대에서 진행되어 왔다.그러나 올해는 서울시가 같은 날 짜에 광장 사용을 신청한 타 종교 단체의 청소년 관련 행사를 승인함에 따라 을 지로에서 해당 행사가 개최되었다.1)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조계종 사노위) 소 속 스님들도 부스를 열고 축제에 함께 했다.사노위 부스의 스님들은 방문자들에 게 오색팔찌를 채워주며 “모든 존재가 괴로움에서 벗어나기를, 평등한 세상에서 행복하게 살아가..
한중일 신관 비교를 통해 본 환인 하느님 신관과 한국기독교/허호익.대전신大 목 차 1. 문제 제기 2. 환인(桓因)의 옛 뜻과 한국의 하느님 신앙    1) 환인 하느님설   2) 환인 천부설(天父說)   3) 환인 제석 천신설(帝釋 天神說)    4) 환인 여신설    5) 환인 신 천신설(天神說)    6) 환인 천손족(天孫族)설 3. 중국의 천 사상과 천자   1) 주재적 종교적 천관   2) 통치자로서의 천자의 등장    3) 태황최귀사상과 통치 이념으로서 황제 4. 일본의 천 개념과 천황제도   1) 고대 일본의 천 개념   2) 신도와 천황제도    3) 일본의 천 개념의 정치화 5. 결론 : 한국의 하느님 신관과 한국기독교   1. 문제 제기  남한의 단군상 건립(1999년)과 북한 단군릉 건립(1994년)으로 인하여 한국기독교가 단 군신화를 바라보는 눈이 비판적..
거울에 비친 영상, 인도 밀교 전통에서 신탁의례의 발전/방정란.경상국립大 Ⅰ. 들어가며Ⅱ. 점(占): 신탁과 예지Ⅲ. 샤이바 문헌에서 묘사되는 신탁의례의 기능Ⅳ. 중기 밀교에서 기술되는 관련 의례의 절차Ⅴ. 후기 밀교에서 논의되는 관련 의례의 쟁점Ⅵ. 나가며   Ⅰ. 들어가며 거울에 반사된 대상(object)은 거울 표면에 이미지(image, 像)로 맺힌다.인 간이 비춰진 자신을 마주보고 관찰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거울(혹은 거울의 기 능을 지닌 유리나 광석)이 인류사에 등장한 것은 기원전 수천 년까지 거슬러 올 라간다.산스끄리뜨(Sanskrit, 梵語)에서 거울을 뜻하는 단어 중 하나인 ‘아다 르샤’(ādarśa)는 접두어 ā-에 ‘보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dṛś의 사역형 동사 에서 파생된 단어로, ‘보게 한다’는 거울의 기능에 근거한 용어이다.거울을 뜻하는 또 다른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