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이야기 (471) 썸네일형 리스트형 거울에 비친 영상, 인도 밀교 전통에서 신탁의례의 발전/방정란.경상국립大 Ⅰ. 들어가며Ⅱ. 점(占): 신탁과 예지Ⅲ. 샤이바 문헌에서 묘사되는 신탁의례의 기능Ⅳ. 중기 밀교에서 기술되는 관련 의례의 절차Ⅴ. 후기 밀교에서 논의되는 관련 의례의 쟁점Ⅵ. 나가며 Ⅰ. 들어가며 거울에 반사된 대상(object)은 거울 표면에 이미지(image, 像)로 맺힌다.인 간이 비춰진 자신을 마주보고 관찰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거울(혹은 거울의 기 능을 지닌 유리나 광석)이 인류사에 등장한 것은 기원전 수천 년까지 거슬러 올 라간다.산스끄리뜨(Sanskrit, 梵語)에서 거울을 뜻하는 단어 중 하나인 ‘아다 르샤’(ādarśa)는 접두어 ā-에 ‘보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dṛś의 사역형 동사 에서 파생된 단어로, ‘보게 한다’는 거울의 기능에 근거한 용어이다.거울을 뜻하는 또 다른 용.. 불교의 중음세계와 지옥관 - 지장시왕경 ‧ 예수시왕생칠경과 정법념처경을 중심으로 -/김명우.동의대 Ⅰ. 들어가는 말 우리는 삶에 집착한다. 내 몸과 영혼이 영원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영원하기를 바란다.하지만 인간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 죽음으로 그 생을 마감한다.죽음은 누구에게나 예외 없이 확실하고 공평하게 찾아오며, 언제 찾아올지 알 수 없으며, 직접 체험할 수도 없다.그래서 부처님 은 모든 인간은 언젠가 죽습니다. 다만 목숨은 정해져 있지 않아, 그때가 언제인지 알 수 없 습니다. 애처롭고 고통스럽습니다. 태어나 죽지 않고자 하지만 그럴 방도가 없습니다. 죽음 은 반드시 닥치는 것입니다. 이것이 인간의 운명입니다. 과일이 익으면 떨어지는 것처럼, 태어난 자들은 반드시 죽음을 맞이합니다. 항상 죽음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옹기장이가 빚어낸 질그릇이 마침내 모두 깨어지듯이 인간 의 .. 깨달음 담론구성의 첫 관문- ‘본각本覺/참됨/온전함’에 대한 두 가지 사유방식 -/ 박태원.울산大 1- 목 차 - 1. 깨달음 담론의 의미와 전망 - 통섭通 攝적 깨달음 담론의 구성을 위하여 2. 깨달음 담론과 본각本覺 3. ‘참됨/온전함’에 대한 두 가지 사유 방식 4. ‘참됨/온전함’에 대한 우파니샤드의 사유방식 5. 대승기신론과 원효의 본각 6. 깨달음 독법의 새로운 모색 1. 깨달음 담론의 의미와 전망 - 통섭通攝적 깨달음 담론의 구성을 위하여- 불교경론을 본격적으로 탐구하는 출/재가 학인들에게 ‘깨달음’은 당연 한 궁극 관심사이다.그들에게는 ‘깨달음’ 문제가, 불교에서는 시작부터, 한국불교에서는 한반도 전래 이래 불교 학인들의 일반적 관심사였을 것 으로 여겨질 것이다.특히 원효나 지눌, 선어록들을 직접 읽으면서 공부 해 가는 학인들은 ‘깨달음’이 .. 원효의 공성과 중도관에 대한 인도 중관학파적 리뷰: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김현구.전남大 목 차Ⅰ. 서론Ⅱ. 인도 중관학파의 공성 해석Ⅲ. 원효의 공성에 관한 입장Ⅳ. 중관학파와 원효의 중도Ⅴ. 결론 Ⅰ. 서론 원효(元曉, 617-686)의 사상 가운데 중관(中觀) 사상만을 가려 뽑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사유의 특징상 한 전통만을 고집하지 않았으며 대승의 양대 산맥인 중관·유식(唯識)을 아우른 그의 횡보를 쫓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다만 그의 활동 시기를 통해 유추해 볼 때, 원효 사상의 윤곽은 그가 접한 대승 문헌들과 그가 직접적으로 인용하고 있는 논서들을 통해 중관사상과 유식사상의 특징들을 파악하고 적절히 종합하 려는 지점에서 그려진다.이러한 관점은 중관학파(Madhyamaka)의 청변(靑 辨: Bhāviveka, 490-570경)과 유식학파(Vijñānavādin)의 호법(護.. 분황 원효 금강삼매경론의주요 내용과 특징― 반야 중관(空性)의 이제설과 유가 유식(假有)의 삼성설의 一味적 通攝:기신론소 ‘一心’과 삼매경론 ‘本覺’의 유기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고영섭(동경大) - 목 차 -Ⅰ. 서언Ⅱ. 일심과 본각의 상의성과 역동성 1. 금강삼매경의 편찬 주체와 금강삼매경론의 간행 2. 대승기신론과 금강삼매경의 상관성Ⅲ. 정설분 6품 및 제7품 총지품의 유기성 1. 금강과 삼매의 정의와 상호 관계 2. 정설분 6품의 구조와 풀이 3. 총지품의 정설분 편제와 의미Ⅳ. 중관 이제설과 유식 삼성설의 일미적 통섭 1. 일미관행의 요체와 십중법문의 종지 2. 반야 공관과 유가 유관의 화회적 통섭 3. 진제 유식의 구식설과 아마라식 4. 일각, 본각과 시각의 관법Ⅴ. 일심지원과 일심본각의 상호의존성 1. 일심지원과 일심 2. 일심본각과 일각Ⅵ. 결어 Ⅰ. 서언 고타마 싯다르타(BCE. 624~544)는 ‘중도’(中.. 원효와 세친의 주석서에 나타난 일심의 여래장설/강명희.서울불교대학원大 - 목 차 -Ⅰ. 들어가는 말Ⅱ. 여래장 사상의 전개와 대승기신론 1. 여래장 사상의 전개 2. 대승기신론의 중생심과 여래장Ⅲ. 원효의 일심의 여래장설과 세친의 여래장설 비교 1. 여래장의 이문회통과 일심 2. 원효와 세친의 여래장설Ⅳ. 나가는 말 Ⅰ. 들어가는 말 대승기신론(이하 기신론으로 함)은 저자, 제작연대, 인도찬술 진위 여부에 대하여 학계에 활발한 논의를 제공한 논서이며, 아직도 단정적 결론을 내리지 못한 논서이다.그러나 이 논서의 사상이 동아시아불교에 강명희: 원효와 세친의 주석서에 나타난 일심의 여래장설 7 지대한 영향을 준 점은 의심치 않는다.동아시아 불교권에서 많은 주석 과 연구가 진행되었고, 특히 신라의 원효는 기신론소와 .. 불교 창작 판소리 <불타전> 연구/최원섭.대행선연구원 - 목 차 -Ⅰ. 서언 : 전통과 계승Ⅱ. 판소리 개요 1. 창작 판소리와 불교 2. 판소리 의 창작 경위와 음원Ⅲ. 에 보이는 한국불교의 신행 1. 불타 전기 전통의 수용 2. 법회의 구현Ⅳ. 결어 Ⅰ. 서언: 전통과 계승 역사가 오래되어 ‘전통’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에는 필연적으로 어떻 게 그 전통을 ‘계승’할 것인가 하는 고민이 있다.전통 그대로의 모습을 계승하자니 자칫 현대인에게 수용되기 어려운 점이 있을 것 같고, 그렇다 고 현대인이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하자니 이것은 또 전통을 훼손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석가모니 붓다의 깨달음으로 출발한 이래 불교는 2,600년이 넘는 역 사 속에서 지역과 시간을 거치면서 다양한 변화를 겪어 왔다. 시간적으 로 초기불.. 분황 원효의 중도일심과 퇴옹 성철의 중도무심 ― 붓다·원효·성철의 연속과 불연속 ― /고영섭.동국大 - 목 차 - Ⅰ. 풀어내는 말 Ⅱ. 고타마 붓다의 깨침 _ 중도연기 1. 초전법륜과 중도 즉 팔정도 2. 사성제와 삼전십이행상 Ⅲ. 분황 원효의 깨침 _ 중도일심 1. 중도와 일심 _ 일중도관과 중도제일의제관 2. 제일중도지와 중도일미 3. 중도법과 중도일실 4. 중도정혜명 5. 무이중도와 삼공 _ 속제중도와 진제 중도와 비진비속무변무중지중도 Ⅳ. 퇴옹 성철의 깨침 _ 중도무심 1. 중도와 무심 _ 오매일여 몽중일여 숙면일여 2. 가무심과 진무심 3. 쌍비쌍역과 쌍차쌍조 4. 실제중도와 쌍민쌍존 5. 차조동시 진공묘유 Ⅴ. 원효와 성철의 중도 이해 1. 원효의 중도일심 2. 성철의 중도무심 Ⅵ. 매듭짓는 말 국문요약이 논문은 붓다.. 이전 1 2 3 4 ··· 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