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이야기

(463)
바수반두의 쁘라마나 이해- 논궤와 아비달마구사론의 차이를 중심으로-/이길산. 경남大 Ⅰ . 문제의 지평 Ⅱ. 논궤의 지각·추리 논의 Ⅲ. 구사론의 지각·추리 논의 Ⅳ. 구사론의 성취자의 전승 논의 Ⅴ. 결어    Ⅰ. 문제의 지평 ⏉논궤(論軌, Vādavidhi)⏊ 1)에 나타난 지각(pratyakṣa) 및 추 리(anumāna)의 정의가 ⏉아비달마구사론⏊(이하 ⏉구사론⏊)에서 지각 및 추리가 실제로 작동되는 양상과 불일치한다는 점을 본 고에서 정치하게 밝히고자 한다.일찍이 프라우발너는 불교 내 외의 문건들로부터 ⏉논궤⏊ 등의 단편을 수집하며, 인의 3상 규 정2)이라든가 3지작법 창안 등 오랫동안 디그나가에게 귀속됐던 논리학적 성취가 사실 ‘바수반두’에 의해 선취되었다는 점을 밝 힌 바 있다. 3)그러나 카츠라 쇼류가 잘 지적했듯 정작 바수반두 의 주저로 꼽히는 ⏉구사론⏊에서는, 새로..
부파불교에서 바라본 몸과 마음 - 설일체유부 전통을 중심으로 -/최경아.강릉원주大 Ⅰ. 시작하는 말Ⅱ. ‘몸과 마음’에 대한 논의   1. 논의의 시작   2. ‘몸과 마음’에 대한 니까야의 대표적 경문Ⅲ. 부파불교에서의 ‘몸과 마음’   1. ‘몸과 마음’ 문제의 부상   2. 설일체유부의 다르마체계가 보는 세상   3. ‘몸과 마음’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아비다르마 논서들의 해설Ⅳ. 맺음말  Ⅰ. 시작하는 말 본 논고는 인도불교사에 있어 본격적으로 철학적 논의가 시작된국면이라 할 수 있는 부파불교에서 ‘몸과 마음’의 문제를 어떻게조망하고 논의했는지를 다룬다.부파불교는 학파불교라고 치환할수있으며, 아비다르마불교라고도 통칭된다.아비다르마(abhidharma)란 다양한 개념을 분류 정리하고, 자연현상과 심리현상을 자세히관찰하고 치밀하게 분석하여 번쇄한 교의(敎義) 체계를 형성하여가는 ..
한유(韓愈) 배불론의 재해석 /송승훈.성균관大 Ⅰ. 서론Ⅱ. 배불론의 전개    1. 배불론의 배경    2. 배불론의 과정    3. 배불론의 한계Ⅲ. 결론  I. 서론 본 논문은 한유(韓愈, 768∼824)의 배불론(排佛論)을 재해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가 배불론을 제기했던 등장 배경과 한계에초점을 맞추고자 한다.1)     1) 한유의 사상에 대한 연구논문으로는, 고팔미(2008), 「韓愈 시와 불교와의관계」, 중국학 31, 대한중국학회; 김경순(2013), 「韓愈의 哲學과 北宋學의相關性에 관한 硏究」, 동서철학연구 67, 한국동서철학회; 김기영(1999), 「한유의 불교 배척과 여말선초의 배불론」, 倫理硏究 42, 한국국민윤리학회; 박문현(2014), 「思想: 韩愈与郑道传的排佛论」, 퇴계학논총 23, 퇴계학부산연구원; 안찬순..
知訥 頓悟漸修論의 本旨 -返照의 중요성을 중심으로/남영근.서울大 Ⅰ. 문제제기 Ⅱ. 解悟漸修의 趣旨 Ⅲ. 自性門定慧와 隨相門定慧 Ⅳ. 看話徑截門의 返照 修行 Ⅴ. 결론 요약문지눌(知訥)의 돈오점수(頓悟漸修)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성철(性徹)의영향으로 교학(敎學)과 관련 있는 해오(解悟)를 선문(禪門)의 깨달음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해 주로 논쟁하였다.지눌 사상에서 해오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그가 해오점수를 통해서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오히려증오(證悟)라는 궁극적 경지이고, 증오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返照) 수행의 중요성이다.돈오점수론의 목표는 자성문정혜(自性門定慧)라는 증오의 경지에 있으며, 수상문정혜(隨相門定慧)의 반복을 통해 자성문정혜(自性門定慧)에 이르는 과정은 점수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반조의 공덕을 쌓아 해오에서 증오로 나아가는 것이다.지눌이 말년에 제시한 ..
성리학의 中和論辨에서 보이는 불교의 영향과변용: 朱熹의 中和新說 修養論 구축 과정을 중심으로/김종용. 불교의례문화연구소 Ⅰ. 들어가는 말 Ⅱ. 불교의 영향: 南宋 理學의 수양론   1. 도남학파의 默坐澄心   2. 호상학파의 已發察識 Ⅲ. 변용: 中和新說 수양론의 특징    1. 格物致知를 통한 求中     2. 未發涵養을 통한 防閑Ⅳ. 나오는 말   요약문 본 연구는 성리학 성립과정에서 보이는 불교적 영향과 그러한 영향을 극복 또는 유교적으로 재해석한 변용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먼저 도남학파는 인간의 내면에서 ‘리(理)’를 구하고자 하였으며 그 구하는 바는 미발(未發) 시에 가능하다 보았다.이에 도남학파에서는미발구중(未發求中)‧미발체인(未發體認)을 목적으로 묵좌징심(默坐澄心)을 수양 방법론으로 내세웠다. 이러한 도남학파의 내면에서 ‘리’를구하고자 하는 것 그리고 그 구체적인 방법론이 앉아서 내면을 다스리..
디그나가 인식논리에 대한 동아시아 불교논리에로의 변용 - 현장의 유식비량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 /권서용.부산大 Ⅰ. 서론Ⅱ. 유식비량의 주장명제에 대한 입장 차이Ⅲ. 유식비량의 이유명제에 대한 입장 차이Ⅳ. 결론   요 약 문중국 유식법상종(唯識法相宗)의 실질적 개조이며 현장(玄奘)의 제자 규기는, 현장의 유식비량(唯識比量)을 유식법상종의 호교(護敎)를 위한 중요한 전거로 삼고자 하여, 그 자신의 논리학 저서인 『인명입정리론 소』(因明入正理論疏)에서 자세하게 해명하고 있다.이 현장의 유식비량 을 둘러싸고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의 불교계에서는 활발한 논쟁이 전개된다.이에 논문은 현장의 유식비량을 둘러싼 규기의 입론과 원효 의 대론을 중심으로 디그나가의 논리학이 어떻게 동아시아에서 적용되 고 변용되어 가는가를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결론적으로 말하면 디그나가의 인명학은 중국과 한국의 사상가들에 의해 학습되면서 디그..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설법상의 도상과 주역 8괘상 및 12벽괘상의 불교적 해석/유근자.순천大 「차 례」Ⅰ. 머리말Ⅱ. 용문사 목각설법상의 도상 분석Ⅲ. 용문사 목각설법상의 󰡔주역󰡕 8괘상 및 12벽괘상 분석Ⅳ. 용문사 목각설법상과 수경신(守庚 申) 신앙Ⅴ. 맺음말 본 논문은 1684년에 조성된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의 도상과 본존 아미타여래상 광배에 표현된 󰡔주역󰡕의 8괘상과 목각설법상 외곽틀에 새겨진 12 벽괘상을 분석한 것이다.용문사 목각설법상을 조성하는데 텍스트 역할을 한 것으로 󰡔예념미타도량참법󰡕을 주목했다.용문사 목각설법상에 표현된 8대보살의 명칭은 용문사 승려 명연이 1704년에 󰡔예념미타도량참법󰡕의 내용을 발췌해서 만든 󰡔염불보권문󰡕과 일치하고, 참법(懺法)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목각설법상 본존불 광배의 󰡔주역󰡕 8괘상과 외곽틀의 12벽괘상은 당나라..
트라우마 치유를 통한 마음의 변화 메커니즘 연구 - 성장치유모델을 중심으로 - /안환기. 능인대학원大 Ⅰ. 들어가는 말  Ⅱ. 트라우마  Ⅲ. 성장치유모델  Ⅳ. 치유를 통한 성장  Ⅴ. 맺는 말 요 약 문 본 연구는 마음의 상처를 의미하는 트라우마(trauma) 증상을 치유하기 위해, 대승불교 유식학에서 도출한 성장치유모델을 제안하고 그 현대적 유용성을 탐색하였다.성장치유모델은 트라우마 증상을 극복하는 과정을 단지 치료가 아니라 성장의 과정으로 보는 관점에서 제안된 것이다.이를 위해 필자는 트라우마 증상이 고통의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트 라우마를 번뇌로 보고, 유식학에서 분류한 번뇌의 종류 가운데 트라우 마 주요 증상에 해당하는 분노[진(瞋)], 불안[도거(掉擧)], 우울[혼침(昏 沈)]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유식학의 수행오위(修行五位)를 기반으로 성 장치유모델을 구성하였다.성장치유모델은 3단계로서 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