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이야기

(471)
성소수자에 대한 불교윤리적 고찰/김진선外.동국大 1. 서론2. 불교의 젠더 의식3. 성소수자에 대한 불교윤리적 관점4. 이익 동등고려의 원칙과 성소수자에 관한 불교윤리5. 나가는 말 1. 서론2023년 7월 1일, ‘2023 제24회 서울퀴어문화축제’가 개최되었다.코로나19 로 인해 온라인 행사로 진행된 2020년, 2021년을 제외하고 서울퀴어문화축제는 매년 서울광장 및 그 일대에서 진행되어 왔다.그러나 올해는 서울시가 같은 날 짜에 광장 사용을 신청한 타 종교 단체의 청소년 관련 행사를 승인함에 따라 을 지로에서 해당 행사가 개최되었다.1)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조계종 사노위) 소 속 스님들도 부스를 열고 축제에 함께 했다.사노위 부스의 스님들은 방문자들에 게 오색팔찌를 채워주며 “모든 존재가 괴로움에서 벗어나기를, 평등한 세상에서 행복하게 살아가..
한중일 신관 비교를 통해 본 환인 하느님 신관과 한국기독교/허호익.대전신大 목 차 1. 문제 제기 2. 환인(桓因)의 옛 뜻과 한국의 하느님 신앙    1) 환인 하느님설   2) 환인 천부설(天父說)   3) 환인 제석 천신설(帝釋 天神說)    4) 환인 여신설    5) 환인 신 천신설(天神說)    6) 환인 천손족(天孫族)설 3. 중국의 천 사상과 천자   1) 주재적 종교적 천관   2) 통치자로서의 천자의 등장    3) 태황최귀사상과 통치 이념으로서 황제 4. 일본의 천 개념과 천황제도   1) 고대 일본의 천 개념   2) 신도와 천황제도    3) 일본의 천 개념의 정치화 5. 결론 : 한국의 하느님 신관과 한국기독교   1. 문제 제기  남한의 단군상 건립(1999년)과 북한 단군릉 건립(1994년)으로 인하여 한국기독교가 단 군신화를 바라보는 눈이 비판적..
거울에 비친 영상, 인도 밀교 전통에서 신탁의례의 발전/방정란.경상국립大 Ⅰ. 들어가며Ⅱ. 점(占): 신탁과 예지Ⅲ. 샤이바 문헌에서 묘사되는 신탁의례의 기능Ⅳ. 중기 밀교에서 기술되는 관련 의례의 절차Ⅴ. 후기 밀교에서 논의되는 관련 의례의 쟁점Ⅵ. 나가며   Ⅰ. 들어가며 거울에 반사된 대상(object)은 거울 표면에 이미지(image, 像)로 맺힌다.인 간이 비춰진 자신을 마주보고 관찰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거울(혹은 거울의 기 능을 지닌 유리나 광석)이 인류사에 등장한 것은 기원전 수천 년까지 거슬러 올 라간다.산스끄리뜨(Sanskrit, 梵語)에서 거울을 뜻하는 단어 중 하나인 ‘아다 르샤’(ādarśa)는 접두어 ā-에 ‘보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dṛś의 사역형 동사 에서 파생된 단어로, ‘보게 한다’는 거울의 기능에 근거한 용어이다.거울을 뜻하는 또 다른 용..
불교의 중음세계와 지옥관 - 지장시왕경 ‧ 예수시왕생칠경과 정법념처경을 중심으로 -/김명우.동의대 Ⅰ. 들어가는 말 우리는 삶에 집착한다. 내 몸과 영혼이 영원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영원하기를 바란다.하지만 인간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 죽음으로 그 생을 마감한다.죽음은 누구에게나 예외 없이 확실하고 공평하게 찾아오며, 언제 찾아올지 알 수 없으며, 직접 체험할 수도 없다.그래서 부처님 은 모든 인간은 언젠가 죽습니다. 다만 목숨은 정해져 있지 않아, 그때가 언제인지 알 수 없 습니다. 애처롭고 고통스럽습니다. 태어나 죽지 않고자 하지만 그럴 방도가 없습니다. 죽음 은 반드시 닥치는 것입니다. 이것이 인간의 운명입니다. 과일이 익으면 떨어지는 것처럼, 태어난 자들은 반드시 죽음을 맞이합니다. 항상 죽음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옹기장이가 빚어낸 질그릇이 마침내 모두 깨어지듯이 인간 의 ..
깨달음 담론구성의 첫 관문- ‘본각本覺/참됨/온전함’에 대한 두 가지 사유방식 -/ 박태원.울산大 1- 목 차 -    1. 깨달음 담론의 의미와 전망 - 통섭通 攝적 깨달음 담론의 구성을 위하여    2. 깨달음 담론과 본각本覺    3. ‘참됨/온전함’에 대한 두 가지 사유 방식    4. ‘참됨/온전함’에 대한 우파니샤드의 사유방식     5. 󰡔대승기신론󰡕과 원효의 본각    6. 깨달음 독법의 새로운 모색  1. 깨달음 담론의 의미와 전망  - 통섭通攝적 깨달음 담론의 구성을 위하여- 불교경론을 본격적으로 탐구하는 출/재가 학인들에게 ‘깨달음’은 당연 한 궁극 관심사이다.그들에게는 ‘깨달음’ 문제가, 불교에서는 시작부터, 한국불교에서는 한반도 전래 이래 불교 학인들의 일반적 관심사였을 것 으로 여겨질 것이다.특히 원효나 지눌, 선어록들을 직접 읽으면서 공부 해 가는 학인들은 ‘깨달음’이 ..
원효의 공성과 중도관에 대한 인도 중관학파적 리뷰: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김현구.전남大 목 차Ⅰ. 서론Ⅱ. 인도 중관학파의 공성 해석Ⅲ. 원효의 공성에 관한 입장Ⅳ. 중관학파와 원효의 중도Ⅴ. 결론 Ⅰ. 서론 원효(元曉, 617-686)의 사상 가운데 중관(中觀) 사상만을 가려 뽑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사유의 특징상 한 전통만을 고집하지 않았으며 대승의 양대 산맥인 중관·유식(唯識)을 아우른 그의 횡보를 쫓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다만 그의 활동 시기를 통해 유추해 볼 때, 원효 사상의 윤곽은 그가 접한 대승 문헌들과 그가 직접적으로 인용하고 있는 논서들을 통해 중관사상과 유식사상의 특징들을 파악하고 적절히 종합하 려는 지점에서 그려진다.이러한 관점은 중관학파(Madhyamaka)의 청변(靑 辨: Bhāviveka, 490-570경)과 유식학파(Vijñānavādin)의 호법(護..
분황 원효 금강삼매경론의주요 내용과 특징― 반야 중관(空性)의 이제설과 유가 유식(假有)의 삼성설의 一味적 通攝:기신론소 ‘一心’과 삼매경론 ‘本覺’의 유기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고영섭(동경大) - 목 차 -Ⅰ. 서언Ⅱ. 일심과 본각의 상의성과 역동성   1. 󰡔금강삼매경󰡕의 편찬 주체와 󰡔금강삼매경론󰡕의 간행   2. 󰡔대승기신론󰡕과 󰡔금강삼매경󰡕의 상관성Ⅲ. 정설분 6품 및 제7품 총지품의 유기성   1. 금강과 삼매의 정의와 상호 관계   2. 정설분 6품의 구조와 풀이   3. 총지품의 정설분 편제와 의미Ⅳ. 중관 이제설과 유식 삼성설의 일미적 통섭   1. 일미관행의 요체와 십중법문의 종지   2. 반야 공관과 유가 유관의 화회적 통섭   3. 진제 유식의 구식설과 아마라식   4. 일각, 본각과 시각의 관법Ⅴ. 일심지원과 일심본각의 상호의존성    1. 일심지원과 일심    2. 일심본각과 일각Ⅵ. 결어  Ⅰ. 서언 고타마 싯다르타(BCE. 624~544)는 ‘중도’(中..
원효와 세친의 주석서에 나타난 일심의 여래장설/강명희.서울불교대학원大 - 목 차 -Ⅰ. 들어가는 말Ⅱ. 여래장 사상의 전개와 󰡔대승기신론󰡕    1. 여래장 사상의 전개    2. 󰡔대승기신론󰡕의 중생심과 여래장Ⅲ. 원효의 일심의 여래장설과 세친의 여래장설 비교   1. 여래장의 이문회통과 일심   2. 원효와 세친의 여래장설Ⅳ. 나가는 말   Ⅰ. 들어가는 말 󰡔대승기신론󰡕(이하 󰡔기신론󰡕으로 함)은 저자, 제작연대, 인도찬술 진위 여부에 대하여 학계에 활발한 논의를 제공한 논서이며, 아직도 단정적 결론을 내리지 못한 논서이다.그러나 이 논서의 사상이 동아시아불교에  강명희: 원효와 세친의 주석서에 나타난 일심의 여래장설 7 지대한 영향을 준 점은 의심치 않는다.동아시아 불교권에서 많은 주석 과 연구가 진행되었고, 특히 신라의 원효는 󰡔기신론소󰡕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