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388)
日本文化學報 第88-99輯(23-12-7)/한국일본문화학회
5·18 소설의 정치미학 연구 -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에 바탕해-/ 양진영.서강대 Ⅰ. 서론 Ⅱ. 봄날의 문학 정치 - 말과 사물의 과잉 Ⅲ.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에서 허구(fiction)의 정치성 Ⅳ. 결론 이 글은 기존의 역사주의적 고찰과는 다른 접근법을 통해 5·18 문학을 살펴보려 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광주항쟁을 대표하는 두 소설을 대상으로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가 이론화한 용어와 개념을 적용해 보려고 한다. 그의 * 정치미학은 참여문학과 순수문학, 정치적 예술과 미학적 예술 등의 이항대립적 경계 를 넘어서고 있어 5·18문학을 새롭게 해석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이다. 이를 위해 랑시에르가 발자크(Honoré de Balzac)의 신비로운 도톨 가죽(La Peau de chagrin) 과 플로베르(Gustave Flaube..
계급 재생산을 위한 문학 -발리바르와 마슈레의 이데올로기 형체로서의 문학에 대하여-/고부응.중앙대 1. 다시 부르는 마르크스주의 노동 계급의 혁명은 자본주의가 성숙한 이후 자본주의 체제에서 내파의 과정으 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마르크스의 역사관이었다. 그러나 봉건 체제를 채 벗어나지 않은 제정 러시아에서 발생한 볼셰비키 혁명과 이어 나타난 소련 체제는 마르크스 주의자들의 입장에서는 역사적 난제였다. 1991년의 소련 해체는 마르크스주의자들 의 역사적 난제를 해결하여 주었다. 현재 완성된 전 세계적 자본주의 체제는 마르 크스주의 이론가들에게는 축복이기도 하다.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에게는 자본주의의 비판(critique; 칸트적 의미에서의 분 석과 평가)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가 본격화될 수 있는 조건이 이제 갖추어진 셈이 다. 물론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체제를 종식시키는 혁명에 관심이 없었다고 볼 수는 없다1)..
일본학연구제69집/단국대일본학연구소 지역의 역할 강화를 위한 일본 문화재보호법 개정에 대한 연구 - 김현정 근대 일본 국민도덕으로서의 교육칙어의 의미와 현재 일본에서의 교재 사용 논의 ― 『칙어연의』및 일본 학계의 성명문을 중심으로 ― - 이인화 1900년대 한일 성교육 지식의 흐름과 재편 ― 나카지마 한지로의 『교육학원리(教育学原理)』와 번역본 유근의 「교육학원리」를 중심으로 ― - 배홍철 여성 지식인 기각(綺閣)의 『기각한필(綺閣閒筆)』 연구 - 김묘정 개항기 서양인의 기록을 통해 본 한국 종교 인식 ― 불교를 중심으로 ― - 최보영
일본문화학보(90-95집)/일본문화학회
기억과 망각의 서사로서의 만주 배경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읽기- 최척전(崔陟傳) ․ 강로전(姜虜傳) ․ 김영철전(金英哲傳) 을 중심으로-/이민희.강원대 차 례 1.머리말 2.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 3.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의 존재 양상 4.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비의도적 기억과 망각 5.맺음말 국문초록 17세기 초 만주 일대에서 후금과 명,그리고 조선이 군사적으로 충돌했 다.이때 강홍립의 군대가 명나라 군을 지원하기 위해 출정했다가 후금에 투항한 소위 ‘심하(沈河)의 원정’이 일어났다.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 속 에서 백성들은 전란의 고통과 이산의 슬픔을 처절히 맛보았고,그러한 체험 담이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작품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나타났다.그 대표적인 작품이 최척전(崔陟傳)․ 강로전(姜虜傳)․ 김영철전(金英哲傳) 등이다.본고에서는 이 세 작품에 담긴 전란 서사 속 고통과 분노..
문학 속의 종교, 종교 속의 문학(22.7.14)/한국문학종교학회 ▍ 학술대회 일정표 ▍ [기조강연] ▘임우기(문학평론가) “예술에서의 귀신(鬼神)의 존재와 작용에 관한 시론(試論): 유역문예론의 서(序)” ································································································································· 9 [종교 간 대담] ▘김윤환(백석대)·고영섭(동국대)·최대환(대신학교) “종교 경전의 텍스트성과 성스러움의 기원” ······ 61 제1세션 제1분과 ▘박선화(건국대) “더글러스 스튜어트의 『셔기 베인』에 나타난 구원 이야기” ······················· 75 토론: 윤수현(경상대) ▘이현경(이화여대) “기독교적 관점에서..
晦峯 河謙鎭의 「和陶詩」와 東坡 蘇軾의 「和陶詩」比較硏究/李永淑 .경상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