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347)
백거이(白居易)다시(茶詩)소고(小考)/이경일.전북대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唐代 茶文化 背景 Ⅲ. 白居易 茶詩 創作 內容 제1장. 官職生活에 대한 懷疑 제2장. 淸淡한 삶에 대한 熱望 제3장. 知人들과의 交流의 매개체 Ⅳ. 나가는 말 Ⅰ. 들어가는 말 白居易는 中唐時代를 대표하는 詩人으로 삼천 여수의 시 작품을 창작했는데 그 많은 작품 들을 諷諭詩, 閑適詩, 感傷詩, 雜律詩 네 가지로 직접 분류했다. 중국이나 한국의 학계에서는 諷諭詩, 閑適詩, 感傷詩, 雜律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반면 이 분류법과 상 관 없는 白居易 茶詩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상황이다. 白居易 시 중에서 茶와 연관 있는 시는 60여수로 동시대의 다른 문인들에 비하면 茶詩 창작이 많은 편으로, 중국에서는 陳顯望의 , 李娜의 , 周聖弘 의 등 몇 편의..
寒山詩가 한국고전문학에 끼친 영향/김영진.동국대
眉巖 柳希春의 漢詩 硏究 /송재용.단국대
納凉/王維 더위를 식히며納凉/왕유王維 喬木萬餘株, 큰키나무 만 여 그루 淸流貫其中. 맑은 강물 그 사이를 꿰뚫고 흐른다. 前臨大川口, 앞으로 큰 강어귀를 마주하고 豁達來長風. 확 트여 장풍 불어온다. 漣漪涵白沙, 잔물결은 흰모래 속으로 잠겨들고 素鮪如游空. 은백색 물고기 허공을 헤엄치는 듯. 偃卧盤石上, 너럭바위 위에 드러누워 있으니 翻濤沃微躬. 출렁이는 물결이 미천한 몸 씻어준다. 漱流復濯足, 흐르는 물로 양치하고 발 씻으며 前對釣魚翁. 앞쪽에 고기 낚는 노인을 마주한다. 貪餌凡幾許, 미끼 탐내는 물고기 얼마나 될까? 徒思蓮葉東. 그저 연잎 동쪽만 생각할 텐데.
매화梅花/송宋 왕안석王安石 墻角數枝梅 담장 위의 매화 몇 가지 凌寒獨自開 겨울 추위에 홀로 피었네 遙知不是雪 멀리서 봐도 눈은 아니군 爲有暗香來 향기가 예까지 오는 걸 보면
종남산終南山/왕유王維 종남산終南山/왕유王維 太乙近天都 태을산은 높아 하늘에 가깝고 連山到海隅 이어진 산은 바닷가에 닿았네 白雲回望合 돌아보니 산은 흰 구름으로 덮였고 靑靄入看無 들어가니 푸른 이내는 보이지 않네 分野中峯變 하늘의 별자리는 중봉에서 나뉘고 陰晴眾壑殊 골짜기에 따라 날씨마저 다르네 欲投人處宿 인가를 찾아들어 묵어가려고 隔水問樵夫 물 건너편 나무꾼에게 물어보네
이색의 세화 십장생시(歲畫十長生詩) 연구/황수정.조선대
사선정四仙亭/서산대사 휴정 海枯松亦老 바다도 마르고 솔도 늙어 가고 鶴去雲悠悠 학이 떠난 뒤에 구름만 유유해라 月中人不見 달 속에 사람은 보이지 않고 三十六峯秋 서른여섯 봉우리에 가을빛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