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이야기

(431)
에픽테토스와 장자의 자유론-프로하이레시스(prohairesis)와 안명(安命) 개념을 중심으로/제갈건.카톨릭大 1. 서론2. 에픽테토스의 프로하이레시스3. 장자의 안명4. 프로하이레시스와 안명 비교5. 결론 1. 서론 에픽테토스는 스토아학파 후기 사상을 적나라하게 대변하는 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인 동시에 노예 철학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장자는 전국(戰國) 중기에 노자 의 사상을 계승하여 도가철학의 시류에 구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새로운 지평을 열 었던 인물이다.이 두 인물 사이에는 모종의 공통점이 산재하는 듯하다.그 가운 데 필자가 주목하는 두 인물의 유의한 공통점은 에픽테토스와 장자 모두가 인간 의 자유를 무척 중시하였다는 것이다.이는 에픽테토스를 떠올릴 때면 으레 함께 부상하는 타이틀, ‘왕보다 자유로운 노예’에도 십분 반영되어 있다.장자 역시 마찬가지다.󰡔장자󰡕의 첫 편명이기도 한 소요유(逍遙遊)에는 장..
플라톤 국가론의 건축 미학/변상출.대구大 1. 들어가는 말: 톺아보기2. 유럽 근대의 ‘국가’에 대한 꿈과 현실3. ‘폴리스’에 대한 플라톤의 꿈: 아름다운 나라(kallipolis)4. ‘아름다운 폴리스’의 기초: 협업5. ‘아름다운 폴리스’의 골조: 균형과 조화6. ‘아름다운 폴리스’의 목적: ‘행복’을 위하여7. 플라톤의 󰡔국가󰡕를 나서며: ‘행복’을 찾아서 1. 들어가는 말: 톺아보기 플라톤의 사상적 스펙트럼은 넓고 깊다. 그의 대표작 󰡔국가(Politeia)󰡕 하나만 해도 행복론⋅정의론⋅국가론⋅교육론⋅인식론⋅체제론⋅예술론 등속을 아우 를 정도로 다채롭다. 다채로운 만큼 접근하기가 까다롭다. 그러나 매력적이다. 매력적이지 않다면 지난 2,400여 년 동안 유럽의 철학적 전통이 “플라톤에 대한 일련의 각주”1)로 채워졌을 리가 없..
정신분열시대의 소통과 무의식-들뢰즈와 가타리의 정신분열분석을 중심으로-/오창호 .부경大 1. 문제의 제기2. 소통과 의식, 무의식3. 욕망하는 기계4. 무의식의 정신병리: 신경증과 정신병5. 정신분열증의 언어6. 기관없는 신체에 이르는 길7. 결론 1. 문제의 제기 기본적으로 소통을 주제로 논의하는 사람들은 소통 행위를 인간의 의식적인 행위로 전제한다.말하는 자는 전하고자 하는 분명한 생각이 있을 것이고, 듣는 자는 전해 들은 내용의 분명한 뜻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것으로 그리고 이해 가능 할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그래서 만약 소통에 성공한다면 서로는 뜻이 통하여 오해가 없을 것이다.이러한 전제하에서 사람들은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 고 그러한 소통(疏通)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불통(不通)의 원인 을 화자나 청자에게 돌린다.화자나 청자는 소통하려는 의지가 없거나, 소통의..
원효와 퇴계 사이의 대화 /한형조.한국학중앙연구원 -목 차 - 1. 학문의 두 거장 2. 원효의 스타일, 󰡔대승기신론소󰡕 첫머리를 읽어 보자 3. 無我(?)의 코드로 읽는 퇴계 4. 中乘, 다시 책을 통한 불교를… 5. 원효와 퇴계 사이의 교감 6. 어디서 갈라지는가, 理의 객관성    1. 학문의 두 거장 한 사람은 7세기 동아시아 불교의 최고봉, 또 한 사람은 16세기 조선 유학의 최심층이다.두 사람을 어떻게 비교할 것인가. (1) DNA : 천재들의 게임? 원효가 천재형이라면 퇴계는 노력형이라면 실례가 될까?   生而潁異, 學不從師. (원효, 「탑비」)生而大癡 壯而多疾 中何嗜學 晩何叨爵. (퇴계, 「自銘」) 그러고 보니, 다산도 율곡도 천재형임을 스스로, 혹은 타인이 인정했다. 幼而潁悟, 長而好學 (다산, 「自撰 墓誌銘」)生而穎悟絶倫。 學語便知..
존재와 감정 -하이데거와 중관사상을 통해 본 존재와 감정의 상호연관에 관한 철학적 탐구-/오흥명.동국대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전후기 철학 속에 나타난 감정이론을 분석함으로써 존재와 감정의 상호연관을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논문은 감정이 어떻게 인간 존재의 완성에 개입하고 가장 근원적인 존재의 진리와 본래적 존재양식의 실현에 구성적 계기로 기능하는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감정의 존재론적 함축과 위상을 조명하는 데 주력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이 글은 하이데거 철학에서 확인되는 존재와 감정의 상호연관을 불교의 공(空) 사상 및 자비의 감정과 대조함으로써, 하이데거와 불교, 양 진영 모두의 존재론적 감정이론에 관한 이해의 확장과 심화를 도모한다. 이러한 시도는 무엇보다 존재물음의 ‘존재론적’ 수행을 고수했던 하이데거의 접근이 상대적으로 소홀..
마왕퇴백서오행편의 심성론 구조를 통해 본 ‘천도’·‘인도’의 의미/석미현.경북대 1. 문제제기 본고의 목적은 마왕퇴백서오행편(이하 ‘백서오행’)의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백서오행편의 경우 1장에서부터 ‘천도’와 ‘인도’에 대해 정의하며, ‘오행(五行)’과 ‘사행(四行)’, ‘형어내(形於 內)’와 ‘불형어내(不形於內), ‘덕지행(德之行)’과 ‘행(行)’, ‘덕(德)’과 ‘선(善)’ 등의 개념들과 함께, 전편에 걸쳐 하나의 심성론을 구성하고 있다. 물론 그 속 에는 인식론,1) 정치사상 등의 여러 철학 사상들도 내포되어 있지만,2) 본고에 서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심성론, 특히 심성론의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백서오행편에 대한 연구가 대략 50년에 가까운 만큼 중국과 일본에서 많 은 성과가 도출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여전히 몇 편의 ..
헤겔의 시원론(始原論)과 주희(朱熹)의 태극론(太極論)에 관한 비교연구-존재론적 관점의 차이를 중심으로-/권기환.경희대 1. 들어가는 말서로 다른 철학을 비교하려는 시도는 특정한 공통의 철학적 주제에 대한논의 및 소통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상호 접목의 필요성 때문에 많은 논의가 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비교철학을 논의하는 수준이 서로 다른 철학이 서로의 사유 방식 혹은 방법만 다를 뿐 종국에는 동일하다는방식으로 결론을 맺게 된다면, 그것은 철학에 대한 체계적 물음을 통해서 숙고된 것이라기보다 한갓 기존의 배경상식을 통해 형성된 무비판적 사고의 생산물을 만들어 낸 것에 불과하다.1) ​ 1) 이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박연규, 「‘차이’ 찾기로서의 비교철학」, 󰡔철학⋅사상⋅문화󰡕,제11호, 동국 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1, 12쪽 참조​이것보다 좀 더 생산적인 비교철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비교를 통해 철학..
장자철학에서 ‘도’의 존재론적 지위/윤천근.안동대 1. 행위론적 도- 포정해우 이야기​ ‘도’는 말하기 어려운 주제이다. ‘도’는 중국사상의 전 영역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개념이다. 아마도 ‘도’만큼 널리, 다양하게, 일상적으로, 그리고 신비롭게 사용되는 개념도 따로 찾기 어려울 것이다. ‘도가’철학이 ‘도’를 내세워 그들 사상 유파를 표시하는 이름으로 삼고 있기는 하지만, 이것을 그들의 전유물이라 말할 수는 없는 일이다. 우리가 ‘도’에 대해 이야기하기 어렵게 하는 것 중에는 이미 모든 영역에 걸쳐서, 일상적 차원에 있어서까지, 너무 익숙하게 이 말을 사용하는 우리의 언어 환경도 하나 손꼽을 수 있다. 다들 잘 알고 있다고 여기니 달리 특별한 생각을 담아내기 어려운 것이다. 도가철학의 특징을 보여주는 ‘도’는 존재론적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너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