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人生如白駒之過隙(인생여백구지과극)

-人生如白駒之過隙(인생여백구지과극) -

 

 

"인생이란 흰망아지가 좁은 문틈을 지나는 것 처럼 순식간이다."

-'백구과극 (白驅過隙)'(白驹过隙 , bái jū guò xì )

 


"사람이 세상에 사는 것은 마치 흰 말이 지나가는 것을 좁은 문틈으로 보는 순간처럼 순식간이다

(人生天地之間, 若白駒之過隙 , 忽然而已).

모든 사물은 물이 솟아오르듯 생겼다가(注然勃然, 莫不出焉)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사라져버린다(油然 然, 莫不入焉).

사물은 모두 자연의 변화에 따라 생겨났다가 또 자연의 변화에 따라 죽는다

(已化而生, 又化而死).

모든 생명체는 이를 슬퍼하고, 사람들도 이를 슬프게 여긴다

(生物哀之, 人類悲之).

죽음이란 활집을 풀거나 칼집을 떨어내 듯 아무 것에도 얽매임이 없이, 혼백이 떠나면 육신도 혼백을 따르는데,

이를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뜻에서 '대귀'라고 한다(解其天弢, 墮其天帙, 紛乎宛乎, 魂魄將往, 乃身從之, 乃大歸乎).

형체는 없다가도 생겨나고, 있다가도 사라진다는 사실은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는 바이다

(不形之形, 形之不形, 是人之所同知也).

이 이치는 결코 힘써 추구해야 할 '도'는 아니며, 대중이 함께 담론하는 주제이다

(非將至之所務也, 此衆人之所同論也).

'도'에 이른 사람은 이를 논하지 않으며, 이를 논하는 사람은 진정한 '도'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彼至則不論, 論則不至). "

 

  -《莊子》<지북유>-

 

*「인생의 한 세상은 마치 흰말이 달려가는 것을 문틈으로 보는 것처럼 순식간이다. 어찌 스스로 괴로워하는 데 이르는 것이 이와 같은가.(人生一世間, 如白駒過隙, 何至自苦如此乎.)」

-《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

 

*공자(孔子)가 노담(老聃, 노자)에게 물었다. “지도(至道)에 대해 감히 묻습니다.” 노자가 대답했다. “그대는 먼저 재계(齋戒)하고 마음을 씻어 내고, 그대의 지식을 깨뜨려야 합니다. 무릇 도라는 것은 깊고 멀어서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 박식이 반드시 참된 앎은 아니며, 능변이 반드시 참된 지혜는 아닙니다. 도를 터득한 성인은 그런 것을 버립니다. 깊은 바다와 같이, 높은 산과 같이 끝나는 데서 다시 시작되어, 만물을 운행하며 다함이 없는 것이 군자의 길입니다. 만물이 모두 이것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다함이 없으니, 이것이 바로 도라는 것입니다. ······

「사람이 하늘과 땅 사이에 나서 산다는 것은 마치 흰말이 문틈으로 지나가는 것처럼 순간일 뿐입니다. 모든 사물들은 물이 솟듯 문득 생겨나서 물이 흐르듯 아득하게 사라져 가는 것입니다. 변화하여 태어났다가 또한 변화하여 죽을 뿐인데, 살아 있는 것들은 이를 슬퍼하고, 사람들은 이를 애달파합니다. 죽음이란 활 통을 풀고 옷 주머니를 풀듯 분분히 흩어지는 것이며, 혼백이 가려 하면 몸도 이를 따라가는 것이니, 이는 곧 위대한 자연으로의 복귀인 것입니다. 삶이란 형체가 없이 흩어졌던 것들이 모인 것이고, 죽음이란 모여 있던 것이 흩어지는 것이니, 이는 사람들이 모두 알고 있는 것이지만 도에 이르려는 자가 힘써 추구할 바는 아닙니다. 도는 뚜렷이 보려 하면 만날 수 없고, 말로 설명하기보다는 침묵을 해야 합니다. 도는 귀로 들을 수 없으니 차라리 귀를 막는 것이 더 나은데, 이를 일러 크게 터득했다 하는 것입니다.(人生天地之間, 若白駒之過隙, 忽然而已. 注然勃然, 莫不出焉. 油然漻然, 莫不入焉. 已化而生, 又化而死, 生物哀之, 人類悲之. 解其天弢, 墮其天制, 紛乎宛乎, 魂魄將往, 乃身從之, 乃大歸乎. 不形之形, 形之不形, 是人之所同知也, 非將至之所務也, 此衆人之所同論也. 彼至則不論, 論則不至. 明見無値, 辯不若默. 道不可聞, 聞不若塞. 此之謂大得.)”」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疎而不漏(소이불루)  (0) 2020.04.08
古典名句  (0) 2020.04.06
두목(杜牧) -청명절(淸明)  (0) 2020.04.05
구호탄랑  (0) 2020.04.03
서장관의 구련성 운을 따라 짓다/박승임 소고집(嘯皐集)   (0) 202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