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선시대 族譜의 入錄階層 확대와 한계 -凡例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권기범.서울대규장각연구소
2.13~16세기 호적과 족보의 계보형태와 그 특성 /손병규.성균관대
3.일본현대문학자의 식민지 지배인식 연구-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의 이조잔영(李朝残影),족보(族譜)를 중심으로 ‒ /조미경.가천대
4.金達寿의 「族譜」를 통해 본 근대 한국인의 민족의식의 경계 /서기재(건국대)김순전(전남대)
5.동아시아세계 속의 한국 족보/宮嶋博史.성균관대
6.族譜를 통한 北宋 士大夫의 內面意識 探究*- 歐陽修의 ?歐陽氏譜圖?를 중심으로 -/박준수.한양대
7.中國 族譜의 譜式과 書法/廖 慶 六
8.조선왕조 1600년경 편찬 족보의 계보형태와 특성*―1606년 편찬 ?晉陽河氏世譜(萬曆本)?의 분석을 중심으로/손병규.성균관대
9.우리나라 가계기록의 세 가지 유형 /윤현숙.목원대
10.韓國의 傳統社會와 族譜읽기 - 葛藤과 一體化, 差別과 同化의 二重的 컨텍스트 - /박병련.정신문화원
11.조선후기 양반층의 立後 양상과전략적 繼子 선택-安東金氏 文正公派, 延安李氏 館洞派,眞城李氏 退溪후손들을 중심으로- /한상우.성균관대
12.산 자와 죽은 자의 기재*-戶籍과 族譜에 대한 역사인구학의 관점- /손병규.성균관대
13역사인구학에서의 족보― 논의와 전망 /.Jan Kok.Radboud University, Nijmegen
14.琉球王國과 朝鮮王朝 族譜의 비교연구/손병규.성균관대
15.20세기 초 한국의 族譜 편찬과‘同族集團’ 구상*― 경상도 丹城地域 安東權氏 몇 가계의 사례 /손병규.성균관대
16.20세기 전반의 족보편찬 붐이 말하는 것/손병규.성균관대
17.繼後謄錄과 족보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후기 입후의 특징 /한상우.성균관대
18.조선후기 족보 入錄의 정치․사회적 의미 /권기석.서울대규장각연구소
19.朝鮮後期 女性의 譜學敎育/차장섭.강원대
'사회·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지 프리드먼'이 본 21세기의 美.中.日.韓/조선일보 (0) | 2021.03.15 |
---|---|
미국독립선언서와 행복추구권/이영효.전남대 (0) | 2021.03.03 |
김재준과 1960~70년대 민주화운동의 정치사상/문지영.인제대 (0) | 2021.02.18 |
한국 헌법의 정신사 헌법전문의 “4・19 민주이념 도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서희경.서강대 (0) | 2021.02.18 |
성인의 재탄생과 성왕 대 폭군 구조의 형성/장현근.용인대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