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君子有九思 (군자유구사)

君子有九思 (군자유구사)

 

 

 

1. 시사명 (視思明)

사물을 볼 때에는 분명하게 보기를 생각하라.

모든 사물은 바로 분명하게 보아야 하며, 사심 없이 평심으로 원견을 보아야 한다.

 

2. 청사청 (聽思聽)

들을 때는 빠뜨리지 않고 똑똑히 들을 것을 생각하라.

어중간 하거나, 적당히 흘겨듣지 말고,

싫은 소리, 좋은 소리, 나쁜 소리 다 겸손히 잘 들어야 한다.

 

3. 색사온 (色思溫)

얼굴빛은 온화한지를 생각하라.

얼굴 표정은 따뜻하게 안온하게 편안하게 미소 띤 얼굴로 겸손하고 공손하게 대하라.

 

4. 언사충 (言思忠 )

말을 할 때는 진심으로 할 것을 생각하라. 성실하게 진실하게 차별 없이 존칭어로 말하라.

 

5. 사사경 (事思敬)

일을 할 때는 신중한지를 생각하라. 신중하게 정직하게 열정을 갖고 최선을 다하라.

 

6. 의사문 (疑思問)

의심날 때는 물어볼 것을 생각하라.

의심나면 겸손하게 질문하라. 그래도 이해가 안 가면 예의를 갖춰서 여쭈어라.

꿍하고 접어두면 평생 모른다. 질문도 알아야 하는 것 알고 보면 마음이 편안하다.

 

7. 분사난 (忿思難)

성낼 때는 겪게 될 어려움을 생각하라.

분노하거든 그다음을 생각하라 분노는 불길 같다 무엇이든 태워서 재만남긴다.

 

8. 모사공 (貌思恭)

몸 가짐을 낮추어 공손할 것을 생각하라.

늘 자신을 낮추고 겸손하라. 세상을 편안하게 사는 지혜이다.

 

9. 견득사의 (見得思義)

이득을 볼때는 먼저 의로운 가를 생각하라 .

의롭지 않은 이득은 독이 되나니 사욕이나 물욕에 너무 집착하면 결국은 불행하다.

 

 

사람으로써 사람답게 산다는 것,

사람구실을 다 한다는 게 그렇게 호락호락하질 않다.

사람은 다 자기만의 버거운 십자가가 있다.

 

하지만 사람답게 살아야 한다.

힘들고 괴로울때면 '군자유구사(君子有九思)'마음에 추스르면서 참하게 살아야겠다.

 

 

視思明, 聽思聰, 色思溫, 貌思恭, 言思忠, 事思敬, 疑思問, 忿思難, 見得思義.

시사명, 청사총, 색사온, 모사공, 언사충, 사사경, 의사문, 분사난, 견득사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아홉 가지 생각이 있다
1.視思明 보는 데는 분명할 것을 생각하고,
2.聽思聰 듣는데는 똑똑할 것을 생각하고,
3.色思溫 안색은 온화할 것을 생각하고,
4.貌思恭 모습은 공손할 것을 생각하고,
5.言思忠 말은 참될 것을 생각하고,
6.事思敬 일을 함에는 공경할 것을 생각하고,
7. 疑思問 의심나면 물을 것을 생각하고,
8.忿思難 분하면 어려움을 겪을 것을 생각하고,
9.見得思義 이득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하는 것이다.

 

‘君子有九思 ( 임금 군 아들 자 있을 유 아홉 구 생각할 사)

군자 즉 어진사람이 생각해야 할 9가지 생활신조로

논어 계씨편(季氏篇)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庸의 反武俠傾向 /정동보.순천대  (0) 2021.05.24
朝鮮朝 漢詩 敎育의 實際와 百聯抄解/조창록.성균관대?  (0) 2021.05.23
古典名句篇(365句)  (0) 2021.05.17
君子有三戒  (0) 2021.05.17
放下屠刀 立地成佛  (0) 2021.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