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쟁군사이야기

한국군 공중중계전력 발전방향/박지훈.KIDA

<배경과 목적>

한국군 공중중계전력의 운용개념 정립 및 작전효과 분석 등을 통한 발전방향 제시

◎ 연합·합동작전 수행 간 공군의 역할 증대, 평시 전방위 위협에 대한 효과적 억제와 전시 다 영역(Multi-domain) 전장에서의 작전 수행능력의 지속적인 보장 중요

◎ 특히, 우리 군 작전에 필수적인 전술데이터링크 운영능력의 지속 보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이를 지원하는 현 중계전력의 능력보완 방안 강구 필요

 

<수행 결과>

한반도 전장환경, 연합 및 합동작전 요구능력을 고려한 공중중계전력 발전방향 제시

◎ 미군을 비롯해 영국, 호주, 중국군 등 주요 선진 군은 공중중계전력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 제약을 극복하고 현행 및 미래 네트워크화된 전력의 전투 능력을 보장하려는 노력 중

◎ 우리 군도 전술데이터링크를 탑재한 네트워크 전력이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연합 및 합동작전에 있어서 그 중요성 더욱 확대될 것이며, 다변화된 위협양상과 다양한 전력과의 동시통합작전이 요구되는 상황 고려 시 네트워크 연결성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중계능력 확보 필요

◎ 더욱이 2030년 이후 미래 안보환경, 위협양상, 미래전 양상 및 미래 합동작전 목표 고려 시 공중중계 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판단됨

◎ 향후, 한반도 전장환경, 연합/합동 요구능력, 지원영역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기존 및 미래 지상중계, 위성중계 전력과의 상호보완적 운용개념 하에서 공중중계 능력의 발전방향 수립이 요구됨

KIDABrief_20-18-복사.pdf
0.69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