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쟁군사이야기

공격헬기 운용에 대한 소고/김윤정외.KIDA

예상하지 못한 시간과 장소에서 치명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공격헬기의 전투능력은 이미 다수의 전투에서 검증되었다. 베트남전에서 효용성이 입증된 이후 공격헬기는 세계 각국에서 운용하는 핵심전력이 되었으며, 우리나라도 1970년대 500MD 공격헬기 도입을 시초로 현재는 세계 4위의 공격헬기 보유국이 되었다. 최근에는 공격헬기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미국은 공격헬기와 드론을 유무인팀(MUM-T) 체계로 운용하고 있으며, 2050년을 목표로 차세대헬기사업을 추진 중이다. 유럽 주요 국가들은 노후 헬기의 성능개량과 신형 헬기 교체 사업을 추진 중이며, 러시아는 특수작전용 공격헬기를 개발하고 개량된 공격헬기를 추가 도입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도 현용 공격헬기의 노후화로 이를 대체할 소형무장헬기를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해병대 상륙공격헬기의 신규 도입, 대형공격헬기 추가 도입 사업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공격헬기는 운영유지비 부담 등 운용 시 문제점도 상당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공격 헬기 전반에 관해 도입과 운용 간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1867E-복사.pdf
0.6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