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풍경예술

돌아온 탕자(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 렘브란트(Rembrandt van Rijin 1606-1670)

돌아온 탕자(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 렘브란트(Rembrandt van Rijin 1606-1670)

https://t1.daumcdn.net/thumb/R720x0/?fname=http://u1.daumcdn.net/brunch/service/user/2zW/image/EUZDA7RDLCe2hLj1dXVx4GA4oJk

https://t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u1.daumcdn.net/brunch/service/user/2zW/image/EUZDA7RDLCe2hLj1dXVx4GA4oJk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3/Rembrandt_Harmensz_van_Rijn_-_Return_of_the_Prodigal_Son_-_Google_Art_Project.jpg/450px-Rembrandt_Harmensz_van_Rijn_-_Return_of_the_Prodigal_Son_-_Google_Art_Project.jpg

Pompeo Batoni 1773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0/Pompeo_Batoni_003.jpg/330px-Pompeo_Batoni_003.jpg

James Tissot 1862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b/James_Tissot_-_The_Return_of_the_Prodigal_So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9/Brooklyn_Museum_-_The_Return_of_the_Prodigal_Son_%28Le_retour_de_l%27enfant_prodigue%29_-_James_Tissot.jpg/330px-Brooklyn_Museum_-_The_Return_of_the_Prodigal_Son_%28Le_retour_de_l%27enfant_prodigue%29_-_James_Tissot.jpg

Rubens 1618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c/De_verloren_zoon%2C_Peter_Paul_Rubens%2C_%281618%29%2C_Koninklijk_Museum_voor_Schone_Kunsten_Antwerpen%2C_781.jpg/330px-De_verloren_zoon%2C_Peter_Paul_Rubens%2C_%281618%29%2C_Koninklijk_Museum_voor_Schone_Kunsten_Antwerpen%2C_781.jpg

렘브란트는 17세기 지금의 네델란드에서 활동한 화가로 1606년 레이던에서 태어나 10대에 리틴 학교와 레이던 대학교(大學校)에서 공부하였고 재콥 반 스완넨버그와 피에터 라스트만과 같은 당대 유명한 화가(畵家)들 밑에서 도제(徒弟) 훈련을 받았다. 18살에 자신의 화실(畵室)을 차리고 작품제작과 함께 제자(弟子)들을 양성하였다. 대부분의 당대 화가들과는 달리 이태리 유학을 하지는 않았지만 이태리 유학을 한 Dutch화가들의 영향(影響)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631년 암스텔담으로 옮긴 후 국제적(國際的)인 교역(交易)의 중심지(中心地)인 이곳에서 렘브란트는 초상화가(肖像畵家)로, 화상(畵像)으로 크게 성공하였으며 네델란드 미술사에서는 가장 중요한 화가로 꼽힐 뿐 아니라 세계적(世界的)으로도 위대한 예술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다른 화가들과는 달리 다양(多樣)한 분야(分野)와 다양한 주제(主題)의 그림들을 그린 것으로도 유명한데 초상화(肖像畵)들과 함께 풍경화(風景畵), 풍속화(風俗畵), 역사적 장면들과 함께 성경(聖經)을 소재로 종교적(宗敎的)이고 신화적(神話的)인 주제의 그림들을 많이 그렸다.

여기에 소개하는 <탕자의 귀환>은 렘브란트의 말기(末期) 작품의 하나로 죽음을 앞두고 그린 것으로 생각된다. 신약(新約)의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유명한 탕자(蕩子)의 비유(比喩) 가운데 탕자가 집에 돌아와 아버지의 품에 안기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미술사가 Kenneth Clark은 가장 위대한 그림 가운데 하나라고 극찬(極讚)하였다.

이 그림에서 탕자는 모든 유산(遺産)을 탕진(蕩盡)하고 비참한 몰골로 아버지 앞에 무릎을 꿇고 참회(懺悔)하는 마음으로 용서(容恕)를 바라고 있다. 늙은 아버지는 아주 부드러운 모습으로 아들을 맞이한다. 아들의 어깨를 감싸 안은 두 손은 큼직하고 억센 왼손과 작고 부드러운 오른손으로 탕자 아들을 용서(容恕)하려는 아버지의 강인한 의지(意志)와 어머니의 부드러운 마음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오른쪽에는 그러한 동생의 꼴이 못마땅한 형(兄)이 두 손을 잡고 서있고 아버지의 어깨 너머에는 어머니인 듯한 여인이 서 있으며 어머니와 형 사이에는 옷을 잘 차려 입은 남자가 앉아 있는데 동네의 유지(有志)인 듯하다.

렘브란트는 <탕자의 비유>에 무척 감명을 받은 듯 30대인 1636년부터 죽기 직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탕자에 관한 그림을 그렸다. 이 그림은 특히 순간(瞬間)을 영원(永遠)으로 연결하는 감동적인 그림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

렘브란트(1606~1669)의 ‘탕자의 귀환’(1669년 작)은 한때 암스테르담 시민 전체가 초상화(肖像畵) 주문을 위해 달려들었을 정도로 성공(成功)했던 렘브란트가 실패(失敗)와 환멸(幻滅), 슬픔을 지나 이윽고 도달한 인생의 황혼기(黃昏期)에 그린 작품이다. 방탕에 젖어 재산을 탕진하고 빈털터리가 되어 아버지에게 돌아온 탕자(蕩子), 모든 허물을 다 용서하는 연민(憐憫)의 몸짓으로 아들을 껴안고 있는 아버지, 이들과 얼마쯤 거리를 두고 서있는 여인과 이 상황을 냉정하게 지켜보고 있는 큰 아들과 또 한 남자의 모습이 마치 한편의 드라마를 보는 것 같다.

렘브란트의 그림을 보면서 부모 된 지 이리도 오래지만 탕자의 아버지처럼 자식들의 태도를 온전히 받아들이는 부모(父母)가 될 수 있을까 다시금 성찰(省察)해본다. 성탄절 즈음이어서인지 이 한 점의 그림이 수많은 일상의 번민(煩悶)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아버지’의 조건(條件) 없는 용서(容恕)와 사랑이 우리를 새롭게 일으켜 세우는 따스한 위로(慰勞)와 의미(意味)로 다가온다. (김은영 광주시립미술관 학예관 미술사박사, 광주일보 2019. 12. 26)
*****

인간이 타인(他人)의 마음을 꿰뚫어보지 못해 불행해지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인간이 불행(不幸)에 빠지는 건 ‘나’의 마음속 움직임을 주시(注視)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명상록>의 아우렐리우스의 말입니다. 불행(不幸)은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데서 옵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된 것일까요? 가장 큰 원인(原因) 중 하나는 아버지의 부재(不在)입니다. 아버지가 없다는 것, 긍정적(肯定的)인 역할(役割)을 하는 아버지가 없다는 것, 그것이 우리를 울지도 못하게, 외롭지도 못하게 하는 거 아십니까?

렘브란트의 ‘탕자(蕩子)의 귀환(歸還) ’을 보았을 때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여기선 울어도 되는구나, 외롭다고 하소연할 수 있구나, 하는 느낌! 무엇보다도 걷잡을 수 없이 허물어진 아들의 영혼(靈魂)을 만져주는 아버지가 피로에 지친 아들의 생(生) 전체를 따뜻하게 덥히고 있습니다. 아들에 대한 기다림으로 아예 눈이 먼 것 같은 무표정(無表情)한 아버지의 따뜻한 손, 그 손에 몸을 맡긴 채 이제 평온(平穩)을 찾은 듯 무릎을 꿇고 앉은 탕자, 탕자의 헤진 옷과 감출 수 없는 더러운 발바닥이 고된 방황(彷徨)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그것은 나의 모습이었습니다. 더러는 체면(體面) 때문에, 더러는 생에 대한 긴장을 늦출 수 없어 외면하고 억눌러 왔던 남루한 내 영혼(靈魂)입니다. 나아갈 수도, 주저앉을 수도 없는 우리들의 영혼(靈魂)인 거지요.

알려졌듯 탕자는 실패(失敗)한 아들입니다. 아버지에게 받을 유산(遺産)을 미리 받아가지고 나가 모두 탕진(蕩盡)하고 빈털터리 거지로 돌아온 초라한 자 아닙니까? 그러고 보면 실패(失敗)하지 않는 게 생(生)의 목적(目的)은 아닌가 봅니다. 더구나 아버지 곁에서 못마땅한 질시(嫉視)의 눈으로 탕자를 바라보는, 성실하기만 한 형(兄)의 싸늘한 눈길을 보면 반듯하게만 살아온 선(善)한 삶이 오히려 위태로울 수 있겠구나, 싶기도 합니다.

탕자를 안아주는 아버지의 표정(表情)을 보십시오. 무엇보다도 저 눈을 보십시오. 그리움이 켜켜이 쌓인 자의 눈입니다. 과거를 규명하려 드는 냉정하고 싸늘한 눈이 아니라 기진맥진(氣盡脈盡)한 아들의 아픔 속으로 그저 스며들고자 하는 자의 포근한 눈이지요? 저런 눈을 가진 아버지가 있어야 기진맥진한 인생이 쉴 곳이 있을 것입니다. 그런 아버지가 있어야 있는 그대로의 ‘나’의 모습이 부끄럽지 않을 것입니다.

자식에게 많은 것을 요구(要求)하는 아버지가 많습니다. 왜 그것도 못하느냐고? 자식의 미래(未來)가 걱정되는 아버지는 성급하고 공격적(攻擊的)입니다. 자식이 맘에 걸리는 아버지는 이래라저래라 간섭하면서 자식이 기대(期待)에 미치지 못할 때마다 야단치는 것으로 사랑을 대신합니다. 아버지는 자신들의 인생에서 두려워했던 것을 자식들에게 금지(禁止)하는 거지요. 그런데 그럴수록 아버지는 자식들에게서 자신이 금지했던 것을 볼 것입니다. 그런 아버지들은 폭력적(暴力的)입니다. 그런 아버지 밑에서 아이들은 기를 펴지 못합니다. 주눅이 든 아들이 아버지의 기대(期待)에 미치기 위해 노력(努力)할수록 스스로에게는 오히려 파괴적(破壞的)이지요. 아버지가 있어 행복(幸福)한 것이 아니라 아버지가 있어 두려운 아들들이 너무 많습니다. 그런 아들들은 자기 자신을 믿지 못하고 자기 자신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남을 믿지 못합니다.

아버지는 굴종(屈從)을 요구하는 지배자(支配者)여서는 안됩니다. 아버지는 자식들이 자기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아버지가 갖춰야 할 가장 큰 능력은 기다려주는 것입니다. 아버지는 기다려주는 자입니다. 저 탕자의 아버지는 바로 긍정적(肯定的)인 아버지의 원형입니다.

다시 한 번 탕자의 등에 얹힌 따뜻한 아버지의 손을 보십시오. 진짜로 신(神)의 손길 같지 않습니까? 탕자가 자기 안의 눈물을 모두 토해내고 새롭게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지 않습니까? 저런 손길을 알아야 실패(失敗)에 좌절(挫折)하지 않고 다시 자기를 추스를 수 있습니다. 저런 품에 안겨봐야 생을 압니다. 생(生)이란 잘못하지 않고 낭비하지 않는 게 목적(目的)이 아니라는 것을. 방황(彷徨)하지 않는 것이 좋은 게 아니라는 것을. 생(生)의 의미(意味)는 자기 자신을 긍정(肯定)하는 데서 올 것입니다. 자기 자신을 긍정하게 되기까지 생에는 지름길이 없습니다.

누구나 한번쯤 탕아(蕩兒)가 됩니다. 세상의 아버지는 둘입니다. 탕아를 기다리는 아버지와 탕아를 버리는 아버지. 당신은 아버지가 있어 행복(幸福)하셨습니까? 당신은 행복(幸福)한 아버지이십니까? (이주향 수원대 교수 철학, 경향신문 2011.02.20 18:49)
*****

용서(누가복음 15:11~32)

누가복음 15장 11∼32절에 나오는 집 나간 아들 비유는 둘째아들이 아버지께 재산상속(財産相續)을 요청함으로 시작합니다. 당시 문화로 볼 때 둘째아들의 태도는 더 이상 방탕할 수 없을 정도로 패륜적(悖倫的)입니다. 재산상속(財産相續)을 할 시기(時期)는 아버지가 정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유언(遺言)을 통하여 하거나 혹은 법적인 재산분할을 미리 해놓아도 돌아가신 후에 상속(相續)받는 것이 관례(慣例)인데 둘째아들은 얼마나 이기적(利己的)이고 자기중심적(自己中心的)입니까?(12절) 더구나 둘째가 재산상속을 먼저 요구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둘째아들은 또 부모(父母) 생각, 가족(家族) 생각은 조금도 하지 않았습니다. 가족중심적인 유대 사회의 질서를 어지럽혔습니다. 둘째아들은 더불어 미래(未來)를 위한 지적(知的) 준비(準備)나 사업계획(事業計劃)을 갖고 있지 않았습니다. 돈만 있으면 자기 마음대로 다 되는 줄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아버지가 얼마나 수고하고 희생(犧牲)하며 모은 재산(財産)인가를 생각하지 않고, 노동과 관리로 돈 쓰는 계획(計劃)도 하지 않은 채 매우 짧은 시간에 상속받은 재산을 쾌락(快樂)을 추구하는 허랑방탕(虛浪放蕩, 언행이 허황하고 착실하지 못해 주색에 빠져 행실이 저속함)한 생활로 낭비하고 다 써버렸습니다(13절).

둘째아들은 마침내 거지가 되었고 유대인들이 가장 혐오하는 돼지농장의 노예(奴隸)가 되어 처참하게 살면서도 돼지가 먹는 쥐엄열매조차 마음대로 먹을 수 없는 비참한 바닥인생이 되었습니다(14∼16절). 그러자 둘째아들은 아버지 집의 풍요(豊饒)를 생각하고(17절), 거지 모습 그대로 아버지께 돌아가기로 결심합니다(18∼19절).

둘째아들의 마음은 이러했지만, 아버지는 다른 마음으로 둘째아들을 맞이합니다.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들을 향해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춥니다. 아버지도 울고 아들도 웁니다. 22∼24절에서는 더 놀라운 영접(迎接)을 합니다.

예수님께서 왜 이 비유(比喩)를 말씀하셨을까요? 탕자의 비유를 듣는 대상은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입니다(눅 15:2). 그들은 1절에서 모든 세리와 죄인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러 가까이 가고 그들에게 말씀을 들려주고 가르치는 예수님이 죄인(罪人)들과 함께 음식을 먹고 교제(交際)하는 것을 보고 비방(誹謗)했습니다.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의 입장에서 죄인(罪人)들과 세리(稅吏)들은 용서(容恕)할 수 없고, 교제해서는 안 될 죄인(罪人)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세상에서 버림받고 실패하고 죄인이라고 담을 쌓고 받아주지 않는 사람들까지 하나님의 잃은 자라고 하시며 찾으라고 하십니다.

조건 없는 하나님의 사랑

집을 나가 허랑방탕한 삶으로 거지가 되어 돌아온 둘째아들의 비유는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容恕)는 한계(限界)가 없다’는 것입니다. “나는 너무 멀리 와버렸어” “큰 죄를 지었기에 너무 멀리 와버렸어” “집에 돌아갈 수 없을 만큼 멀리 와버렸어” “나 같은 사람이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 교회를 다닌다는 것은 하나님을 욕되게 하고 교인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야. 난 너무 멀리 와버렸어”라고 생각하여 극단적(極端的)인 선택(選擇)을 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만나지 않고 스스로를 격리시키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렇게 고통(苦痛)받으며 살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 아버지를 오해(誤解)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저지른 일이 용서받지 못할 죄이고 너무 멀리 와버려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다고 벽을 쌓아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는 한계가 없으십니다. 하나님의 용서와 사랑을 표현하는 말은 오래 참으심입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우리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오래 참고 기다리십니다.

아들이 집을 나가 있는 동안 아버지는 아들의 빈방을 보며 눈물을 훔쳤고, 아들이 나간 방향을 보며 매일 돌아오기를 기다렸습니다. 하나님의 우리에 대한 사랑은 간절하십니다. 다른 사람을 의식(意識)하지 않고 달려가 아들을 끌어안는 아버지의 마음이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거지아들을 끌어안은 아버지는 아무것도 묻지 않았습니다. “재산은 어떻게 했니?” “돈 떨어지니 기어들어 오는구나”라고 묻지 않았습니다. 잔치를 벌여주는 아버지의 관심은 아들이 무얼 하다 왔느냐? 돈은 어떻게 했느냐? 왜 거지가 되어 왔느냐?에 있지 않습니다. 허랑방탕하게 살다가 거지가 된 동생을 위해 잔치해주는 아버지를 원망(怨望)하며 “아버지는 일만 시켰지 내게 해준 것이 뭐가 잇어요?”라고 불평(不平)하는 큰아들의 말도 괘념치 않았습니다.

사랑은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있든지 사랑입니다. 용서는 어떤 상황(狀況)이든지 용서(容恕)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 용서에 어떤 조건(條件)도 없습니다. 비틀거리며 오는 아들을 아버지가 측은히 여기고 달려가 안아준 것처럼(20절) -아들이 먼저 용서해달라고 고백(告白)하지 않았어도 측은히 여기신 아버지가 먼저 달려가 측은히 여겨 안아 주었습니다- 우리의 고백(告白)보다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矜恤, 불쌍히 여겨 돌보아 줌)이 먼저입니다. 우리가 죄의 고백, 곧 회개를 근거로 구원(救援)을 받는다면 구원은 우리의 공로가 됩니다. ‘하나님 제가 죄인입니다’라고 말했기에 용서(容恕)하신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이 먼저 불쌍히 여기시고 사랑과 용서를 준비해 놓으셨기에 죄인(罪人)을 받아주시고 구원(救援)하시어 하나님의 자녀가 되게 하신 것입니다.

용서는 우리의 고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십자가(十字架)에 근거합니다. 회개는 용서받는데 필요한 것이기는 해도 용서받는 근거는 아닙니다(엡 1:7). 예수님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십니다. 예수님의 품은 누구든지 안아줄 수 있는 넒은 사랑의 품, 용서(容恕)하시는 품입니다. 세상에서 버림받고 방황(彷徨)하는 어떤 사람도 예수님은 받아주시고 안아주십니다. (김창환 목사 춘천 온누리교회, 기독신문 2014.03.07 10:28)
*****

누가복음 15:11~32

11또 이르시되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12그 둘째가 아버지에게 말하되 아버지여 재산(財産) 중에서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 하는지라 아버지가 그 살림을 각각 나눠 주었더니

13그 후 며칠이 안 되어 둘째 아들이 재물(財物)을 다 모아 가지고 먼 나라에 가 거기서 허랑방탕(虛浪放蕩)하여 그 재산(財産)을 낭비(浪費)하더니 14 다 없앤 후 그 나라에 크게 흉년(凶年)이 들어 그가 비로소 궁핍(窮乏)한지라

15가서 그 나라 백성 중 한 사람에게 붙여 사니 그가 그를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는데 16그가 돼지 먹는 쥐엄 열매로 배를 채우고자 하되 주는 자가 없는지라 17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糧食)이 풍족(豊足)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18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罪)를 지었사오니 19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하리라 하고

20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21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罪)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2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3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25맏아들은 밭에 있다가 돌아와 집에 가까이 왔을 때에 풍악과 춤추는 소리를 듣고 26한 종을 불러 이 무슨 일인가 물은대 27대답하되 당신의 동생이 돌아왔으매 당신의 아버지가 건강(健康)한 그를 다시 맞아들이게 됨으로 인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았나이다 하니

28그가 노하여 들어가고자 하지 아니하거늘 아버지가 나와서 권한대 29아버지께 대답하여 이르되 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30아버지의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이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

31아버지가 이르되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 것이로되 32이 네 동생은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얻었기로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