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재 신채호의 철학과 그 인간상 /김병민.중국연변대
2.근대 민족사학의 전통 역사학 평가 재검토-신채호와 백남운을 중심으로- /이윤갑.계명대
3.신채호 연구의 잃어버린 한 고리 - 「大東帝國史敍言」의 발견 - /임상석.고려대
4.신채호의 「독사신론」의 구성과‘ 민족사’의 재구성/김 수 자.이화여대
5.신채호 역사전기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장경남.숭실대
6.申采浩前後三韓說의 의의/조인성.경희대
7.신채호의 근대국가사상 연구/우남숙.우석대
8.대한제국기 신채호의 ‘아(我)’ 개념의 재검토/노관범.한림대
9.20세기 신채호의 18세기 안정복에 대한역사인식-안정복의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김수자.이화여대
10.조선후기 역사학과 신채호, 그리고 21세기 /배우성.서울시립대
11.大東歷史(古代史)를 통해 본 신채호의 초기 역사학/김종복(성균관대 박물관)外
12.번역된 근대 주체와 민족*- 신채호의 ‘아(我)’와 ‘아(我)의 확장’ 재인식/송병삼.조선대
13.申采浩의 在中獨立運動 /한시준.단국대
14. 단재 신채호의 문학과 무정부공산주의 /두전하.인하대
15.단재 신채호의 러시아 연해주 독립운동/노병율.한국외대
16.天鼓考古편에 보이는 신채호의고대사 인식 /최광식.고려대
17.근대 계몽기 민족주의 형성의 아이러니-신채호의 ‘국수(國粹)’ 이념을 중심으로-/김병구.숙명여대
18.불교 무정부주의적 폭력과 유대교 무정부주의적 폭력-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과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을 위하여」/김용하.동의대 지천캠퍼스
19. 한국 근대 역사개념의 성립—‘국사’의 탄생과 신채호의 민족사학— /김기봉.경기대
20.신채호의 소설의 전도적 상상력과 그 서사적 효과― 「백세노승의 미인담」과 「용과 용의 대격전」을 중심으로/이정석.숭실대
21.동아시아 담론과 민족주의 -신채호의 논의와 관련하여 /한기흥.학술진흥재단
22.근대 자유주의의 문학적 수용 양상 연구-신채호, 이광수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이평전.서원대
23.신문연재 역사·전기소설의 대중성 연구- 신채호의 최도통전 을 중심으로 - /송명진.서강대
24.신채호의 이태리건국삼걸전 번역 목적과 ‘영웅상’/김수자.이화여대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의 후궁 元嬪洪氏(홍국영의 동생)의 생애와 상장례 /이미선.한신대 (0) | 2022.02.09 |
---|---|
일본의 침략주의와 문명론의 아포리아*: 福澤諭吉의 文明論之槪略?과 그 동아시아적 계기/유준필.인하대 (0) | 2022.01.24 |
산송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 司法制度 운용 실태와 그 특징 /전경목.전북대박물관 (0) | 2022.01.19 |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의 동향과 河명의 역할/정현섭.경상대 (0) | 2022.01.14 |
墓誌銘을 통해 본 北魏 여성에 대한 단상 - 자유와 굴레의 양면성 -/김성희.한양대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