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잠재력이란 현재 또는 미래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성장 요인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경제시대의 핵심 성장 잠재력은 인적자본 역량과 지역의 혁신 역량에 기반하여 발현되는 기업·산업 역량에서 찾아야 한다. 따라서 지역 성장 잠재력(RGP, Regional Growth Potential)은 지역 성장 성과(Y), 기업·산업 역량(K), 인적자본 역량(H), 지역혁신 역량(I), 지역사회 역량(S)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지역 성장 잠재력의 지표체계를 구성하고, 초광역권과 광역시·도 단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① 지역 성장 잠재력은 ‘인적자본/지역혁신/지역사회 역량 ⇒ 기업·산업 역량 ⇒ 지역 성장 성과’로 발현되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② 지역 성장 잠재력의 발현 메커니즘은 광역시·도의 공간 범위보다 초광역권의 공간 범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③ 수도권/충청권과 그 외 초광역권 간의 성장 잠재력 격차가 더욱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④ 우리나라 주력제조업의 집적지역인 동남권과 대경권의 상대적 성장 잠재력 저하가 심각한 문제로서 국가 산업정책 차원의 주요 과제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⑤ 광역시·도별로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지역과 열위의 지역 간 특성이 분명하게 나타난다는 점 등이다. 이에 기반하여 지역산업정책 과제로서 첫째, 기존 주력산업에 대한 혁신투자 확대 및 신산업육성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경제시대 혁신을 선도할 인력을 양성하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인력 중심의 혁신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에 특화된 제조업 연계형 지식서비스산업 중심으로 고부가가치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넷째, 벤처창업기업과 인재가 선호하는 지역 만들기가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출산, 그리고 주거 지원 ( 강영신)外(22-3-31)/주택금융연구원 (0) | 2022.04.07 |
---|---|
최근 글로벌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방위산업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22-3-31)/장원준 外.KIET (0) | 2022.04.07 |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서방의 경제제재와 러시아의 대응 세계 경제의 블록화 위기(22-3-31)/김학기.KIET (0) | 2022.04.07 |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22-3-31)/강성우.KIET (0) | 2022.04.07 |
'사회참여소득' 제도의 개념과 현실 적용방안(22-3-31)/윤성원.국회입법조사처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