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4.12일(현지시간) 스리랑카 정부가 IMF 구제금융 제공 전까지 510억달러 규모의
대외부채 상환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히며 일시적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
ㅁ [배경] 지난 수년간 일대일로 사업 추진 과정에서 대외부채 증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상·재정수지 악화, 우크라이나 사태발 인플레이션 압력 고조 등 악재가 중첩 발생하고
이에 따른 충격이 누적되며 최악의 경제난에 직면
ㅁ [전망] 우방국의 긴급자금 지원은 고무적이나, 내주 IMF와의 협상 시작이 구제금융
지원으로 이어지기까지 상당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당분간 경제위기가 지속될 소지
ㅁ [시사점] 스리랑카의 경제규모 등으로 세계경제 영향은 제한적이나, 주요국 통화긴축
본격화 속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일부 취약 개도국을 중심으로 디폴트 위험이
확대될 수 있음에 유의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Ⅲ)(22-12-31)/신동원 外.KEI (0) | 2022.04.18 |
---|---|
산림훼손 환경비용 추정연구 : 석회석광산 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22-3-31)/이혁중(선문대) 외.KEI (0) | 2022.04.18 |
2022 Korean Wealth Report(22-4-13)/하나금융경영연구소 (0) | 2022.04.15 |
자동차 수출 차종, 친환경차 중심의 변화(22-4-11)/곽병근.KDB미래전력연구소 (0) | 2022.04.15 |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22-4-13)/KIET (0) | 202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