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칼럼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와 사업화 요건(22-5-6)/고태우.KDB미래전략연구소

메타버스의 개념은 디지털 기술 발전, 비대면 콘텐츠 소비에 대한 거부감 완화,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 과정에서 점차 진화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메타버스화를 시도함에 따라 마케팅 또는 체험의 단계에서 사업화 단계에 진입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 콘텐츠 제작 솔루션의 제반 기술 및 플랫폼으로 구조화된 생태계를 형성하는 도입기에 있다. 메타버스 산업의 주요 특징은 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활발한 M&A, ② 디지털 기술과 메타버스 산업의 공진화, ③ 기술 사회적 트렌드가 성장 촉진 동인, ④ 새로운 수요가 생겨나고 다양한 분야에 걸친 특허 출원 추이 증가세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타버스 산업 싸이클은 ‘초기 기술사업화 단계 - 활발한 자본 투자 단계’ 에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모멘텀을 형성 후 ‘투자 과잉 단계’에서 급속도로 성장하는 시장을 기술과 에코시스템이 수용하지 못하고 사업검증 과정에서 시행착오 반복으로 인해 시장 기대치의 변동성이 커지는 특징이 있으며, 회복기에 접어들면서 사회적 산업적으로 촉발된 시장의 수요에 대응하여 기업들이 성숙된 인프라 기술 도입을 통해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필드 리서치(선도기업, 메타버스 펀드 운용 중인 기관투자자, 협회 등)를 통해 파악한 인프라 기술 및 사업화 요건, 플랫폼 구현의 주요 도전과제, ‘메타버스화’의 현실적 접근, 수익모델 유형을 기반으로 향후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지원 방향을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① 투자 단계에 있는 요소기술을 가진 기업 발굴과 적극적인 투자, ② 국내외 법 규제에 대한 관심과 대응이 필요하다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와 사업화 요건.pdf
2.9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