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최근 중국의 수입 증가율이 정체되면서 작년의 고성장 기조와 크게 대비
ㅁ [배경]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에도 불구, 코로나19 봉쇄로 인한 소비 침체가 수입을 크게 제약
했으며 중국의 자국 소비재 선호 증대도 일부 원인으로 작용
ㅁ [전망 및 시사점] 중국 당국의 수출입 안정 노력에도 불구, 부동산 침체 등으로 수입 둔화가
지속되면서 수출 및 경제성장이 동반 둔화될 소지. 또한 수입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對中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및 신흥국의 충격이 상대적으로 커 대비할 필요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감소지역의 인구변화 실태와 유출인구 특성 분석(22-5-25)/최예슬.국토연구원 (0) | 2022.05.27 |
---|---|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22-5-23)/안병선.국제무역통상연구원 (0) | 2022.05.27 |
대북제재의 영향력과 북한의 경제적 미래(21-12-30)/이석 外.KDI (0) | 2022.05.27 |
중국경제 리스크 요인 및 국내 영향(22-5-23)/이지현 外.IBK경제연구소 (0) | 2022.05.27 |
The recipe for the outperformance of Swiss businesses-Common sense and low taxes make the Alpine nation a corporate haven(22-5-24)/Economist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