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동향] 미국 무역대표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되고 있는 고율 관세에 대한 법적 재검토에
착수한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관세 인하를 시사
ㅁ [전망] 바이든 행정부는 전면적인 중국산 수입관세 인하보다 소비재에 대해 일부 관세 인하를,
비소비재에 대해 비관세 조치를 동시에 취할 가능성(Nomura)
ㅁ [평가] 중국산 수입관세 일부 인하의 미국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바이든 행정부의 비관세 조치는 양국 간 2차 무역분쟁의 신호탄이 될 우려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gue Waves: Climate Change and Firm Performance (22-05-27)/Serhan Cevik 外.IMF (0) | 2022.05.31 |
---|---|
Private sector debt and financial stability (22-05-23)/Philip Lowe 外.BIS (0) | 2022.05.31 |
AI의 경제적 영향 측정 방법론 사례 및 시사점 (22-5-19)/오연주.NIA (0) | 2022.05.27 |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의 핵심 과제와 정책 제언(22-5-20)/정일영 外.STEPI (0) | 2022.05.27 |
건설업 ESG 경영 실태와 대응 방안(22-5-24)/최은정.건설산업연구원 (0)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