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2. 북한의 ‘코로나19’ 현황과 정책
(1) 북한의 ‘코로나19’ 방역 정책 경과
(2) 북한의 ‘코로나19’ 확산 현황
3. 국제사회의 백신 지원 경과 및 전망
(1) 국제기구를 통한 백신 지원 경과
(2) 백신 및 방역물품 지원 전망
4. 나가며
북한은 2022년 5월 12일 정치국 회의를 통해, 코로나19 관련 확진자 발생을 공개하고, ‘최대비상방역체계’를 선언했다. 그러나 북한은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제안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북한의 코로나19 관련 대북지원을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주의적관점에서 인식하면서, 장기적으로 남북간 보건협력을 남북대화의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성장-고물가 함정에 빠진 한국 경제 - 최근 경제 동향과 경기 판단(2022년 2분기) /주원 外.HRI (0) | 2022.06.10 |
---|---|
경제환경 대전환 시대의 지역산업경제 정밀진단과 정책개편방안(21-12-28)/김선태 外.KIET (0) | 2022.06.10 |
한국 창업생태계 진단과 지원방향(22-5-31)/김선우 外.STEPI (0) | 2022.06.10 |
도로시설 국고보조금 개편방안(22-6-2)/김강수.KDI (0) | 2022.06.10 |
The conflict in Ukraine is settling into a war of attrition-But who can keep going longest?(22-6-8)/Economist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