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커머스 시장의 급속한 디지털화로 금융소비자가 이용하는 지급결제수단의 다양화 수준이 디지털 커머스 활성화의 핵심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미국에서는 금융소비자의 지급결제수단 이용트렌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급결제수단 다양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로 차별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세대 및 연간소득수준, 금융생활방식의 차이가 다양화 수준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세대별 차이가 지급결제수단 다양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밀레니얼세대가 가장 다양하게 지급결제수단을 채택해 활용하고 있는 반면, 베이비부머・고령층은 단일한 지급결제수단을 고정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한편, 안정된 금융생활을 영위하는 금융소비자의 지급결제수단 다양화 수준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소득변동성이 낮을 때 디지털 기반 신규 지급결제수단 대비 현금・카드 등 전통적 수단에 대한 선호가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디지털을 포함한 여러 지급결제수단에 우호적인 금융소비자와 달리, 지급결제수단 다양화 수준이 낮은 경우 현금, 신용・직불카드 등에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지급결제수단을 이용할수록 상거래 채널 유형 또한 오프라인・모바일 등으로 다변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계산 시점에 지급결제 거절, 금융사기 등 지급결제 관련 문제 상황을 경험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분쟁 향방 및 국제질서 영향(22-7-19)/김기봉 外.KCIF (0) | 2022.07.22 |
---|---|
최근 중국의 전력난 재발에 따른 리스크 요인 점검 (22-7-21)/김기봉 外.KCIF (0) | 2022.07.22 |
이머징 이슈를 발견할 기회의 창: 갈등 관련 10대 이머징 이슈와 시사점(22-07-18)/박성원 外.국회미래연구원 (0) | 2022.07.21 |
북한의 '아동용 단백질 공급정책' 추진 현황(22-7-18)/김미연.KDB 미래전략연구소 (0) | 2022.07.21 |
채무자 재기지원의 효과분석을 위한 선행연구 (22-07-14)/강영신.주택금융연구원 (0) | 2022.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