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은 항공기와 엔진, 부품을 생산하고 군 및 항공사 등에 제품을 공급 하며 정비·개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국가전략산업, 기술집약산업, 고부가 산업, 장주기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통상 선진국형 전략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국내 항공산업은 ’ 70년대 중반 이후 면허생산부터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되었고, 독자개발 기종을 확보하여 수출산업화까지 이르는 등 비교적 짧은 시간에 성장을 하여 왔으나,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민항기 부품 수주감소에 따른 매출감소 및 수익성저하, 인력난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글로벌 항공우주업체들은 기종 다변화, 전기비행체 및 하이브리드 엔진 등을 적용한 친환경 항공기와 UAM/AAV 등 신개념 비행체의 기술개발 강화 및 디지털 전환 및 스마트 제조를 통한 원가절감 등으로 제품 및 산업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항공업계는 산업 고도화를 위해 완제기 수출경쟁력 강화와 부품 국산화 확대 및 핵심부품 경쟁력 확보, 국제공동개발 참여 확대, 제조공정 전반의 스마트화, 고부가 MRO 분야 확대, UAM/AAV분야의 혁신적 친환경 신기술 개발·적용, 융합형 무인기 분야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항공산업은 국가전략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금융분야의 각종 지원정책이 매우 필요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NPL 급성장에 따른 소비자피해 우려와 해외주요국 규제 동향(22-9-29)/임윤화.여신금융협회 (0) | 2022.10.07 |
---|---|
미국 인플레이션 예측 오류 원인과 시사점(22-10-6)/강봉주.KCIF (0) | 2022.10.07 |
중앙아시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과 협력방안(22-10-4)/박지원.KOTRA (0) | 2022.10.06 |
2022년 인공지능 동향(22-9-29)/이현진.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0) | 2022.10.06 |
미국 MBS와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MBS 발행구조의 발전방향 모색(유동화) 外-주택금융리서치(2022년 제27호)(22-09-30)/주택금융연구원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