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뱃갑 은지에 새겨진, 이중섭의 평화주의 ]
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2/09/13/115417952.2.jpg
< 이중섭의 ‘게와 가족’(1950년대). 이중섭의 은지화 속에는 계급도 없고 차별도 없다. 아이들과 물고기, 게들이 동급을 이뤄 함께 어울리며 끈과 같은 소도구로 연결돼 있다. 공동체 정신과 평화 정신, 범생명주의 가치관이 담겨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
“행복이 무엇인지 대향은 비로소 깨달았다오.
그것은… 천사처럼 훌륭한 남덕 씨를 진정한 아내로 삼아
사랑의 결정체 태현이, 태성이 두 아이를 데리고…
끝없는 감격 속에서 크게 숨을 쉬고, 그림으로 표현해내면서…
화공 대향 현처 남덕이
하나로 녹아
진실하고 생생하게 살아가는 것이라오. 나만의
훌륭하고 사랑스럽고 소중한 아내,
나의 남덕 씨,
힘을 냅시다.
남덕 대향의 결합은… 우주의 의지이며 온갖 생명을 기름지게 하는
올바른 삶의 지표가 될 것이오.
생명의 환희가 솟구치는 샘이며
별처럼 끝도 없이 신비하며
태양처럼 밝은 빛이라오.
더, 더 서로 사랑하며
뜨겁고 격렬하게 하나로 녹아야 하오.
나의 멋진 천사 남덕 씨와
화공 대향의 만남은
그 자체로 신비이며
참으로 신기한 기적이라오.”
대향(大鄕) 이중섭이
두 아들과 함께 일본에서 살고 있는 아내(야마모토 마사코·한국명 이남덕)에게 1953년 9월에 보낸 편지이다.
전쟁은 이들 가족의 삶을 깼고,
‘화공(畵工) 대향’은 ‘멋진 천사’를 그리워하면서
어렵게 하루하루를 견디고 있던 시절의 연문(戀文)이다.
이중섭의 아내 사랑. 이들의 사랑은 인류사의 모든 사랑을 합쳐도
비교할 수 없을 것 같다고 표현할 정도였다.
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2/09/13/115417953.2.jpg
< 이중섭의 ‘부인에게 보낸 편지’(1954년). 이중섭은 일본에 사는 아내와 두 아들을 그리워하다가 불과 40세에 숨을 거뒀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
가족에 대한 그리움은 그림으로 응축되었다.
전시하고 돈 벌어
일본의 처자를 만나러 가려 했으나
그림은 팔리지 않았다.
정신적·육체적 피폐함은 날로 심해졌다. 결국
아무도 돌보는 이 없는 병상에서
이중섭은 마지막 숨을 거두었다.
나이 불과 40세(1916∼1956),
너무나 안타까운 생애였다.
도쿄의 부인은 두 아들을 어렵게 키우면서, 또 먼저 간 이중섭을
60년도 넘게 그리워하다가
최근 이승을 떠났다.
그의 나이 101세였다.
20대의 젊은 나이로
도쿄문화학원 캠퍼스에서 만난 이들 한 쌍은
20세기 질곡의 현대사와 함께하면서 개인사적 비극을 안아야 했다.
비극은 한 예술가의 탄생에 촉매제 역할을 했다.
불행한 환경도 잘 가꾸면 훌륭한 작품으로 승화된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는
‘MMCA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이중섭’을 개최하고 있다.
기증품 약 1500점 가운데
이중섭의 작품이 100점 정도 포함돼 있어 가능한 전시였다.
6·25전쟁 당시 원산에서 갑작스럽게 월남했기 때문에
전쟁 이전의 이중섭 작품은 보기 어렵다. 오늘날 서울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은
대부분 전쟁기의 피란지에서,
그리고 처자를 일본으로 보낸 다음 1956년 요절할 때까지의
불과 5년가량의 제작에 해당한다.
이들 가운데
1940년대 초반의 마사코에게 보낸 사랑의 그림엽서는 매우 소중하다.
그리고 이중섭 예술의 정수라 할 은지화는 더욱 소중하다.
이건희 컬렉션의 이중섭 작품은 엽서화와 은지화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번 특별전을 마련하면서,
나는 은지화에서 새삼스러운 감동을 안았다.
정말 이중섭 세계의 핵심이 다 들어 있기 때문이었다.
물론 이중섭 예술은
전쟁기의 열악한 환경에서 탄생된 독특한 사례에 해당한다.
은지화는 담뱃갑을 감싼 종이다.
전쟁과 전후 복구 시기의 물자난은
화가로 하여금 그림 재료를 쉽게 확보할 수 없게 했다.
그래서 이중섭 그림의 대부분은
작은 종이에 그린 것이고,
게다가 담뱃갑의 은지에 상당수 그림을 그려야 했다.
엽서화만 해도 이중섭 특유의 필치는 아직 숙성되지 않았다.
하지만 은지화는
무엇보다 유려하면서도 일필휘지의
역동감 있는 선묘(線描)가 특징을 이룬다. 못 같은 뾰족한 도구로 음각하여
검은 물감을 집어넣은 그림이다.
마치 청자의 상감기법을 응용한 것 같다. 손바닥만 한 작은 크기에
이중섭은 자신의 모든 것을 담았다. 소재상의 특징은 무엇보다 아이들의 세계를 집약했다.
벌거벗고 엉켜 있는 천진무구한 동심의 아이들.
그들은 어떤 격식도 없는 자유,
그 자체의 자세를 보이고 있다.
아이들의 세계는
이중섭의 대향, 바로 커다란 마을,
즉 이중섭의 이상향이다.
거기에는 계급도 없고 차별도 없다.
그래서 물고기나 게들도
동급을 이뤄 함께 어울리고 있다.
바로 범생명주의의 도해이다.
이중섭 그림의 소재들은
박수근과 달리
원형 구도를 이루면서 함께 공동체 정신을 담았다.
이들은 끈과 같은 소도구로 연결돼 인연설을 입증하기도 한다.
네가 있어 내가 있고,
내가 있어 네가 있다.
바로 전쟁기에 피어난
이중섭의 평화 정신이다.
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2/09/13/115417951.2.jpg
< 이중섭의 ‘두 아이와 물고기와 게’(1954년). 이중섭의 인간관계는 ‘축복’에 가까웠고, 이것이 가족애, 인류애로 이어졌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나는 이중섭 작품에서 ‘관계’를 생각한다. 오산학교 시절
당대 최고의 지성 임용련 백남순 부부 화가를 만난 것,
시인 백석의 후배라는 것,
그리고 도쿄 시절
이쾌대 등 신미술가협회 화우들과 만난 것 등
이중섭의 인간관계는 축복이기도 했다. 이런 사회적 관계는
작품세계로 연결돼 ‘가족’을 각별하게 강조하게 되었고,
가족애는 인류 사랑의 범생명주의로 확장되었다.
이는 생사를 다퉈야 했던
전쟁 시기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작은 그림 은지화에서
이중섭의 절규를 들을 수 있다.
아주 작은 그림,
그 속에 뜨거운 예술정신이 가득 담겨 있다. 은지화를 보면서
작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겠는가.
“모든 생명체는 하나다.
네가 있어 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날로 각박해지는 현대사회에서
이중섭의 메시지는 소중하다.
그래서
그를 두고
국민화가라고 부르는지 모르겠다.
국민화가 이중섭!
( 윤 범 모 / 국립현대미술관장 )
ㅡㅡㅡㅡㅡㅡㅡ
[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 ]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TA1MTJfMjE2/MDAxNjIwODAzNjAyMzQ4.Ui1j9TO5K_Z7Y0rBqGV-tm4Vu9BM8zn0oxn2U4GiQeAg.C-da09N9rhfbLrwj1S_bq1MOD-2QZW8CZU8wefWV7b8g.JPEG.enna86/%EC%9D%B4%EC%A4%91%EC%84%AD%EC%9D%98%EC%95%84%EB%82%B4_NonDRM_FHD_0000345549ms.jpg?type=w420
< 이중섭의 아내 야마모토 미사코 >
2022년 8월 13일,
화가 이중섭(1916∼1956)의 아내 야마모토 마사코(山本方子·1921∼2022) 여사가
향년 101세(한국 나이 102세)로 별세했다.
그의 둘째 아들 야스나리(泰成) 씨는 나에게 전화로 이처럼 그녀의 인생과 가시는 모습을 전했다.
한국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는 국민화가 이중섭의 그림에는
힘찬 소, 은박지나 엽서에 꽃게와 물고기와 노는 아이들,
그리고 사랑하는 부부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 그림 속의 여인이
바로 아내 마사코다.
이중섭은 그녀를 ‘이남덕(李南德)’이란 한국식 이름으로 부르며 무척 사랑했다.
두 사람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일본 도쿄 소재 문화학원(文化學院)에서 선후배로 만나 깊은 사랑에 빠졌다. 1943년 이중섭이 귀국하자
마사코는 광복 직전 현해탄을 건너
그의 고향 원산에서 결혼했다.
두 아들을 두며 평온하게 지낸 것도 잠시였다.
6·25전쟁이 터지자 부산과 제주도로 계속 거처를 옮기며 지냈다.
결국 1952년 마사코는
친정아버지의 사망과 가난을 이유로
두 아들을 데리고 일본으로 귀국했다. 그다음 해 이중섭은
일주일간 일본에 가 가족들과 함께 지내기도 했지만,
그 후 만나지 못하고
1956년 서울에서 4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이중섭과 마사코의 결혼생활은 10년,
그중 같이 살았던 기간은 7년.
마사코는 어린 두 아들을 가진 채 35세에 과부가 됐다.
양재를 직업으로 삼았고,
생명보험 회사에 근무한 적도 있으며, 환갑의 나이에
도쿄 긴자(銀座)의 기독교용품점에서 일을 시작해 80세까지 근무하며 지냈다.
나는 언제부턴가 이중섭 그림을 좋아했다. 1989년 대학원에 다니며,
그곳에서 친해진 친구의 아버지인
나전 작가 이성운 선생이
경남 욕지도에서 이중섭과 같이 그림을 그리며 지냈다는 이야기를 듣고
더욱 그를 가깝게 느끼게 됐다.
그리고 부인 마사코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2016년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전시 ‘이중섭, 백년의 신화’에서다. 이 전시에서
가족과 일본어로 주고받은 꽤 많은 엽서가 공개됐다.
“내가 사랑하는…”,
“내가 아주 좋아하는…”,
“나의 착한…” 등으로 시작하는 편지(엽서)글들에는
가족에 대한 사랑이 그득했다.
나는 이때
마사코 여사가 살아계신 것을 알았다. 어떻게 살아오셨을까?
여러 가지를 여쭙고 싶었다.
“아버지가 열정적이었다면
어머니는 심지가 곧고 차분한 분이셨어요. 낯도 좀 가리셨고요.
말 안 듣는 아들에게
큰소리 한번 치신 적이 없었어요.
아마도 아버지와 어머니 두 분이 서로 상반된 성격이라 오히려 끌렸던 것 같아요.”
이런 마사코 여사가
크게 상처를 받은 일이 있다고 한다. 1979년 한국에서 본
연극 ‘화가 이중섭’에서
마사코가 남편을 버리고 일본에 귀국한 것처럼 묘사되어 있고,
특히 가족을 찾은 이중섭을 장모가 냉대했다는 부분이다.
마사코의 부모님은 기독교인으로
두 사람 사이를 반대하기는커녕
한국에 갈 때 그녀를 응원하고 지지해 줬고, 사위가 가족들을 만나기 위해 일본에 올 수 있도록 애써 주신 분이었다.
이 오류의 시작은
원작인 1973년에 발간된 고은 작가의 소설 ‘이중섭 그 예술과 생애’이다.
야스나리 씨가
어머니를 그리며 가장 생각나는 것 중 하나가 ‘김치’라고 했다.
마사코 여사는 원산에서
시어머니에게 김치 담그는 법을 배워 늘 저녁 식탁에 김치를 올렸다고 한다. 야스나리 씨는
“나는 어머니의 김치로 자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추억했다.
“아버지 작품 중에서
제일 좋아하는 것은
‘흰소’입니다.
일본에서 한 번도 아버지 작품 전시를 하지 못했는데,
일본에서 아버님의 작품전을 하는 것이
제 꿈입니다.
사실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1953년 일본에 일주일 오셨을 때 안겼던 희미한 기억이 전부입니다.
그래도 슬프다고 느낀 적이 없어요.”(야스나리 씨)
주옥같은 작품들을 남기고 요절한 이중섭, 평생토록
그 한 사람만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며
홀로 헌신적 삶을 산 마사코.
가족을 사랑했고 아꼈던
두 사람의 사랑을 떠올리며
마사코 여사의 명복을 빌어 본다.
( 이즈미 지하루 /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자연풍경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화-그림이란 무엇인가 - 圖·畵·회화(繪畵)·사(寫)의 語源을 통해 본 동양화의 의미/김기주.동덕여대 (0) | 2023.02.13 |
---|---|
2022한국미술시장(22-12-21)/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0) | 2023.01.04 |
가을산 (0) | 2022.11.15 |
주왕산(22/10/30) (0) | 2022.10.31 |
한국 근대의 기하학적 추상 디자인과 추상미술 담론 /서유리.광운대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