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지눌 #진각혜심 #간화선 #한국선 #반조법 #동아시아불교문화39집 (1) 썸네일형 리스트형 韓國禪의 보편성과 특수성 - 普照 知訥과 眞覺 慧諶을 중심으로 -/한가람.동국大 Ⅰ. 서론 Ⅱ. 韓國 선법과 중국 선법의 접점 Ⅲ. 普照 知訥의 看話禪 1. 知訥의 返照法 계승 2. 知訥의 看話禪 통로와 특수성 Ⅳ. 眞覺 慧諶의 看話禪 1. 慧諶의 看話禪 계승 2. 慧諶의 狗子無佛性話의 독자성 Ⅴ. 韓國의 看話禪의 위치 Ⅵ. 결론 본고는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인 간화선(看話禪)이 어떤 경로를 통해 형성되고 누구를 중심으로 대중화 됐으며, 과연 어떻게 오늘날에 정착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과정을 추적하는 논문이다. 사실 오롯한 한국만의 ‘불교’, 한 국만의 ‘선법’은 존재할 수 없다. 이는 불교가 지정학적으로 인도에서 시작되 었으며 이후 동점(東漸)된 사실만 보더라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 불 교의 ‘선법’ 역시도 마찬가지이다. 과거 한국에서 유행했던 선법, 그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