συνείδησις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기확장적 이타성을 지향하는 συνείδησις: 고린도전후서와 로마서를중심으로/이현주.한신大 Ⅰ. 들어가는 말 그동안 신약성서학계는 소마, 프뉴마, 프시케와 같은 인간의 실존적 요소들에 대해 꾸준히 학문적 관심을 기울였으면서도, ‘양심’이라는 주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기울였 다.1)특히 해당 개념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전개하는 데 있어, ‘양심’의 기원과 그 작용인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종교적 분석이 어떤 기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무 한 실정이다. 과학과 종교의 정의에 따르면 양심은 무엇인가? 양심은 어디에서 비롯하며 어떻 게 생겨나는가?양심은 도덕심과 어떻게 불/일치하며, 어떤 측면에서 인간 존재에 필요한 감 정으로 기능하는가?‘良心’이라는 한자어의 의미 속에 이미 ‘선하다’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 는것과 달리, 양심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συνείδησις는..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