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동방삭 #삼천갑자 #골계 #조은 #투도 #동양고전연구제88집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한문학 속의 동방삭 담론: 선비의 복잡한 내면, 인간의 평범한 감정/티안위안(전연田娟).중국해양대 Ⅰ. 서언 Ⅱ. 한국에서의 동방삭 관련 텍스트 수용 양상 Ⅲ. ‘골계’: 배우와 선비 사이 Ⅳ. ‘조은’: 선비의 진과 퇴 Ⅴ. ‘투도’: 장수, 유선, 일상 Ⅵ. 결언 본 연구는 중국의 인물인 동방삭이 한국 한문학 텍스트 속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또 어떻게 담론화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에서의 동방삭 관련 텍스트 수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동방삭은 인간과 비인간,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중의 모습과 복잡한 성격을 가진 존재이다. 사기‧『한서 등 공식 담론과 동방삭의 저술, 그리고 동방삭이 작중 인물로 등장하는 문학 작품들 등 그를 매개로 한 텍스트들이 한국으로 많이 유입되고, 또 광범위하게 읽히면서 이러한 이미지를 형성‧전파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또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