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신학과사상 제90호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예수 부활과 초대교회의 해석/백운철.카톨릭大 국문초록본 논문은 예수 부활의 역사성 문제를 살펴보고 초대교회의 부활 해석을 논구한다. 예수 부활의 역사성을 둘러싼 핵심 논란은 과연 예수는 육신으로 부활하였는가이다. 갈릴래아에서 제자들이 예수의 발현을 체험했다면 예루살렘에서는 여자들이 빈 무덤을 발견하고 발현을 체험하였다. 제자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빈 무덤 이야기를 들었을 때 발현과 빈 무덤은 서로를 보완하면서 부활 신앙을 견고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바오로의 말처럼(1코린 15,16) 유다교의 부활 신앙이 없었다면 예수는 되살아나지 않았을 것이다. 예수 자신도 유다교의 부활 신앙을 공유하였기에 자신의 죽음이 무위로 끝나지 않고 하느님의 승리를 예고할 수 있었다. 육신의 부활 문제는 부활 이전의 단계에 관한 질문을 제기한다. 예수는 사람이 죽은 후에.. 구약성경에 나타난 부활 - 시편을 중심으로/안소근.대전카톨릭大 국문초록본 연구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부활을 고찰한다. 구약성경에서 다니엘서와 마카베오기 하권 외에는 부활에 관한 명백한 증언은 없다는 것이 이미 정설이 되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시편 이외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기존의 해석들을 요약하는 데에 머물렀다. 다만 히브리어 본문에서 분명하게 부활에 대해 말하고 있지 않은 호세 6,2; 이사 26,19; 에제 37,1-14; 욥 19,25-27이 신약성경과 교부들의 해석에서 부활에 대한 언급으로 이해되었음을 살펴보고, 지혜서에서 말하는 불사를 육신 부활과 연결지을 수 있는 가능성도 고찰했다.시편의 경우 몇몇 시편들이 부활과 연결지어 해석되는데, 히브리어 본문에 따른다면 부활에 대한 명백한 언급은 없다. 본고에서는 시편 1; 16; 49; 73; 149에서 부활에..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