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경제 산업별 (1)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전망(세계/국내/산업)(22-12-9)/KDB미래전략연구소 1.세계경제/윤영교外 2022년 세계경제는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유동성 확대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심화된 가운데, 미국의 금리인상과 그에 따른 소비 둔화 등의 여파로 전년 대비 하락한 3%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2023년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통화긴축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세계경제를 이끄는 미국의 가계소비 둔화, 중국의 부동산 發 경기침체 우려로 2년 연속 성장률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중 간 대립 격화, 유로 회원국 간 경제적 갈등 표면화 가능성, 주요국 재정지출 여력이 충분치 않다는 점 등도 잠재적 경제 하방 요인이다. 주요 국가 및 경제권역별로 보면, 미국의 경우 소비, 투자, 정부지출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둔화가 불가피..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