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편(續篇)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국의 불교사서 편찬과 그 역사적 양상/정천구.부산大 I. 머리말II. 고승전의 등장과 그 변형들III.전등록 중심의 선종사서IV.기전체와 편년체 불교사서 V. 속편들과 탈중세적 불교사서 VI. 맺음말 I.머리말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것이 역사서 편찬이다. 『상서(尙書)』, 『춘추(春秋)』, 『죽서기년(竹書紀年)』, 『좌전(左傳)』. 『국어(國語)』 등 이미 고대 부터 수많은 역사서가 편찬되었고, 한대(漢代)에는 사마천이 기전체(紀傳體)라 는 새로운 형식의 『사기(史記)』를 저술해 내놓았다. 이 기전체는 이후 왕조가 바 뀔 때마다 편찬되는 정사(正史)의 기본 골격이 되었다. 이에 더해 다양한 체재 (體裁)의 역사서가 중세 내내 거듭 편찬되었다. 『자치통감』 같은 편년체는 물론 이거니와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나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