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역(周易)』 동인(同人)의 우정론/엄국화.서울大 Ⅰ. 들어가는 말Ⅱ. 소통(疏通)의 우정론Ⅲ. 동심(同心)의 우정론Ⅳ. 다산(茶山)의 ‘이인동심 기리단금’ 해석Ⅴ. 나가는 말 Ⅰ. 들어가는 말 나는 평생을 한학자들과 더불어 지냈고, 바로 이 ‘이인동심 기리단금 (二人同心 其利斷金)’이란 말로 나의 배움의 길을 시작했습니다.이 문장은 내한선교사 제임스 게일(James S. Gale) 1 이 1936년 『코리아 미션필드(Korea Mission Field)』에 “주역과 성경의 합류: ‘이인동심 기리단금’ 과 마태복음 18장 19절”이라는 제목으로 남긴 마지막 글의 일부이다.게일 은 한국선교사라면 한국인들과 같이 지내야 하며, 한국인들을 서구인들처럼 계몽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존중하면서 포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여러 국문학 작품들을 영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