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연구 제49권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존 밀뱅크의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존재론에 대한 비판에 관하여 /임순숙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Ⅰ. 들어가는 말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는 이성의 자율성을 주장하는 근대 성은 잘못되고 파괴적이라고 강력하게 비판한다.급진 정통주의 신학자인 존 밀뱅크(John Milbank)에게 근대적인 자율적 이성은 중립적이지 않 다.오히려 근대의 이성은 공동체의 덕보다는 근본적으로 개인의 권리만 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폭력적이다.따라서 급진 정통주의 신학은 근대성 이 전제하는 토대주의적 전제들이 정당하지 않다고 고발한다.2) 2) James K.A. Smith, Introducing Radical Orthodoxy: Mapping a Post-secular Theology, 한상 화 역, 『급진정통주의 신학: 탈세속 신학 개관』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CLC, 2011), 95-9.. 버나드 로너간의‘지평-분석(horizon-analysis)’을 통한 데이비드 트레이시의 신학적 토대 연구/구균하.서강大 I. 들어가는 말 신학은 근대 이전까지 존재론에 근거한 하나님에 대한 진술을 통해 진 리주장의 정당성을 가질 수 있었다.그러나 근대가 촉발한 주체로의 전환 은 존재론적 당위에 근거한 진술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했고, 인식 주체에게 포착되는 지식(앎)만이 참되다는 주장에 이르게 했다.이러한 전환은 근대 이후의 신학으로 하여금 새로운 신학적 진술 방법을 모색하게 했으며, 신학은 인식주체인 실존의 하나님 경험에 근거한 진술로 이를 극복고자 했다.그런데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실존적 경험에 따른 하나님 에 대한 진술도 그 실효성을 잃어가는 것 같다.그리스도교에서 삶의 의미 와 가치를 찾는 이들의 숫자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 축적된 사회조사의 결과2)를 통해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