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마르크스주의문학비평 #이데올로기 #계급투쟁 #알튀세르 #바리바르 #마슈레 #비평과이론제23권2호 (1) 썸네일형 리스트형 계급 재생산을 위한 문학 -발리바르와 마슈레의 이데올로기 형체로서의 문학에 대하여-/고부응.중앙대 1. 다시 부르는 마르크스주의노동 계급의 혁명은 자본주의가 성숙한 이후 자본주의 체제에서 내파의 과정으 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마르크스의 역사관이었다. 그러나 봉건 체제를 채 벗어나지 않은 제정 러시아에서 발생한 볼셰비키 혁명과 이어 나타난 소련 체제는 마르크스 주의자들의 입장에서는 역사적 난제였다. 1991년의 소련 해체는 마르크스주의자들 의 역사적 난제를 해결하여 주었다. 현재 완성된 전 세계적 자본주의 체제는 마르 크스주의 이론가들에게는 축복이기도 하다.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에게는 자본주의의 비판(critique; 칸트적 의미에서의 분 석과 평가)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가 본격화될 수 있는 조건이 이제 갖추어진 셈이 다. 물론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체제를 종식시키는 혁명에 관심이 없었다고 볼 수는 없다1)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