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무릉도원 #몽유도원도 #이상향 #낙원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도원도(桃源圖)의 표현에 대한 연구/오세권.대진대 무릉도원은 동양의 이상적 낙원이자 근원으로 예술 속에서 다양하게 형상화되어 왔다. 무 릉도원의 이미지는 주로 도연명의 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세속을 벗어 난 선경(仙境)으로 관념화하고, 미화되어 있는데 특히 미술이나 문학에서는 이를 동경하고 재현하려 하였다. 한국의 미술표현에 있어서도 그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 안견의 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그리고 이광사, 심사정, 이하곤, 정선, 윤재홍, 김수 철, ... 장승업, 안중식 등 많은 작가들이 무릉도원을 주제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무릉도원도는 도연명의 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 기 보다는 안견의 를 차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도화원기’의 내용과 관련 없이 무릉도원도를 현실과 관계시키면서 새롭고 자유롭게 표현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