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포스타시스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의 기독론에 대한 분석과 평가/ 유창형.칼빈대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Theodore of Mopsuestia, 350-428)가 제2차 콘스탄티노플에서 정죄된 것은 신학적인 요소도 있지만 당시 단성론자들 을 달래서 제국의 통일성을 유지하려는 황제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므로 그의 신학은 재결합 신조(433)와 제6차 공의회(680)에 기초하여 다시 검 토될 필요가 있다. 테오도르는 그리스도의 두 본성의 구별은 유지하면서 한 인격을 주장하였다. 이 한 인격은 두 본성의 연합의 결과였다. 그는 위 격적 연합이란 용어보다 인격적 연합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가 사용 한 세 비유 중에서는 영혼과 육체의 연합의 비유가 가장 정통적인 비유였 다. 그가 두 아들론을 주장했다는 비난은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 러나 그는 본성들이 각각 주체성을 갖고 있다고 함..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