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천부경 해설

一 始 無 始 一 析 三 極 無

盡 本 天 一 一 地 一 二 人

一 三 一 積 十 鉅 無 櫃 化

三 天 二 三 地 二 三 人 二

三 大 合 三 六 生 七 八 九

運 三 四 成 環 五 七 一 妙

衍 萬 往 萬 來 用 變 不 動

本 本 心 本 太 陽 昻 明 人

中 天 地 一 一 終 無 終 一


 

이상이 천부경의 원본이라 할수있다. 단 여기서 참조할 것은
궤 ( 櫃 ) 자에서 원본상에서는 나무 목자가 없으니 그리알기 바랍니다..

{ 鳳宇 權泰勳 선생님의 풀이 }

하나가 시작하기를 무(無)에서 했고, 비롯한 하나를 셋으로 나누니무(無)가 다 본(本)이다. 천(天)의 일(一)은 일(一)이요, 지(地)의 일(一)은 이(二)요, 인(人)의 일(一)은 삼(三)이라. 일(一)이 쌓여서 십(十)이 된다. 이것이 그 무(無)를 다듬어서 형태를 빚은 것이니, 삼천(三天)은 이(二)요, 삼지(三地)는 이(二)요, 삼인(三人)은 이(二)니, 삼대(三大)가 삼합(三合)하여 육(六)이라. 칠(七)과 팔(八)과 구(九)를 낳고, 삼(三)을 돌리면 넷(四)이 이루어져 다섯(五)를 둘러쌈이라. 칠일(七一)이 묘하게 불어남이로다. 만 가지가 가고 오더라도 쓰임(用) 은 변하되 본(本)은 움직이지 않는다. 본심(本心)은 본래 태양의 밝음 이요, 사람 가운데 하늘과 땅이 하나이리니, 하나가 끝나고 무(無)도 끝나기를 하나(一)에 한다.
一始無始一 析三極 無盡本 (일시무시일 석삼극 무진본)
하나는 시작없는 하나에서 비롯하여,세끝으로 나뉘어도
바탕은 다함이 없네.

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하늘 하나가 첫째, 땅하나가 둘째, 사람하나가 셋째로다.

一積十鋸無궤 化三 (일적십거무궤 화삼)
하나가 쌓여서 열이 되고 그 커짐이 모자라지 않으면
셋이 되나니.

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大三合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대삼합)
하늘 둘이 셋, 땅둘이 셋, 사람둘이 셋, 이는 큰 셋이로다.

六生七八九 運三四 成環五七 (육생칠팔구 운삼사 성환오칠)
큰셋은 여섯을 모으고,일곱 여덟 아홉을 낳고 셋 넷을 움직여
다섯 일곱 지난 사람을 이루도다.

一竗衍 萬往萬來 (일묘연 만왕만래 )
하나가 묘하게 퍼지니 ,모든것이 오고 모든것이 가는도다.

用變不動本 (용변부동본)
하나는 쓰임은 바뀌어도,바탕은 움직이지 않은채.

本心本 太陽昻 (본심본 태양앙)
참마음으로 참태양을 쳐다보라.

明人中天地一 ( 명인중천지일 )
사람속에 들어있는 하늘과 땅이 하나임을 깨닫는도다.

一終無終一 ( 일종무종일 )
하나는 끝없는 하나에서 끝나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