纖雲弄巧, 飛星傳限, 銀漢貂貂暗渡.
金風玉露一相逢, 便勝却人間無數.
柔情似水, 佳期如夢, 忍顧鵲橋歸路.
兩情若是久長時, 又豈在朝朝暮暮.
엷게 낀 구름은 별의 한을 전하고
은빛 고운 물결은 유유히 흐르는데
견우직녀 상봉을 어찌 인간의 해후에 비하랴.
온화한 정은 물과 같고, 그 한때는 꿈만 같아
오작교를 뒤로 두고 그 어찌 떠나리오.
두 마음 한데 얽혀 오래 오래 묵혀지면
또 어찌 그 정분을 조석에 끊으리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唐詩 속 漢武帝 형상에 반영된 皇帝에 대한 비판적 인식/박혜경.단국대 (0) | 2021.10.08 |
---|---|
신위의 紫霞山莊期 시의 한 국면-불교적 성향의 시를 중심으로-/신일권.부산대 (0) | 2021.10.07 |
한시 번역을 둘러싼 논쟁 /장유승.단국대 (0) | 2021.09.23 |
薄命佳人/蘇軾 (0) | 2021.09.20 |
朝鮮中期婢女月蓮의 漢詩硏究/조평환.건국대 (0) | 2021.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