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1~2022년 우크라이나 위기의 핵심 당사자인 러시아의 인식과 행태에 초점을 맞춰 현 위기의 본질과 의미를 탐색한다. 특히 러시아의 인식, 추구 목표와 대응 전략을 살펴보고, 사태 전개를 결정지을 핵심 변수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전망의 단서를 찾는다. 또한 국제·지역 질서, 러시아, 한국, 한반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러시아는 미국과 나토가 지속적 동진을 통해 자국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번 위기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저지, 유럽 안보 지형 재편, 국제질서의 다극화를 목표로 설정했다. 이 같은 목표의 달성을 위해 외교적 관여 단계에서는 ‘비예측성 극대화’ 전략을, 미국과 서방의 양보를 기대할 수 없게 되자 ‘과감한 실력행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향후 사태 전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 목표, 우크라이나의 저항 역량, 러시아 내 여론 동향, 강제 병합 시도 여부가 주요 변수가 될 것이다.
[INSS 전략보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분석과 전망_러시아의 인식, 목표, 전략 (159호).pdf-복사.pdf
0.37MB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세지원이 자동차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22-3-15)/김빛마로.KIPF (0) | 2022.04.04 |
---|---|
실시간 자료에 기반한 주택시장 현황 및 정책적 함의(22-3-15)/최인혁.KIPF (0) | 2022.04.04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하이브리드 ‘참여 전쟁’(22-3-31)/오일석.INSS (0) | 2022.04.04 |
북한의 코로나19 대응 2년: 점진적 방역 완화 동향과 시사점(22-4-1)/김호흥.INSS (0) | 2022.04.04 |
통화정책의 긴축적 변화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22-3-30)/장보성.자본시장연구원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