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에서는 재정분권을 통한 자치분권 견인은 시장에서의 동인과 균형발전 정책과 조율하여 추진할 때
성과를 낼 수 있으며, 재정분권 자체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밝힘
▶ 현행 국세의 지방세 이양방식이 재정분권의 주요 정책수단으로 활용될 때 예상 가능한 양상에 대하여
통계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재정분권이 지역 간 경제력 격차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
조세재정브리프 제121호_재정분권과 지역 간 경제력 격차 및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_최종-복사.pdf
3.82MB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imate Change 2022: Mitigation of Climate Change(22-4-4)/IPCC (0) | 2022.04.06 |
---|---|
A labor market view on the risks of a U.S. hard landing(22-4-4)/Alex Domash & Lawrence H. Summers .NBER (0) | 2022.04.06 |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재정정책 개선 방향(21.12月)/장우현KIPF (0) | 2022.04.04 |
조세지원이 자동차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22-3-15)/김빛마로.KIPF (0) | 2022.04.04 |
실시간 자료에 기반한 주택시장 현황 및 정책적 함의(22-3-15)/최인혁.KIPF (0)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