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에서는 이론·제도·실증분석을 기반으로 도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재정정책의 방향을
제시함.
▶ 도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고성과에 대한 보상을 강화해야 하며 성과관리 시 도전성과와 관련이
높은 성과지표를 활용해야하고 지속적인 증거기반 평가를 통해 정책효과를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함.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labor market view on the risks of a U.S. hard landing(22-4-4)/Alex Domash & Lawrence H. Summers .NBER (0) | 2022.04.06 |
---|---|
재정분권과 지역 간 경제력 격차 및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21-12-29)/김현아.KIPF (0) | 2022.04.04 |
조세지원이 자동차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22-3-15)/김빛마로.KIPF (0) | 2022.04.04 |
실시간 자료에 기반한 주택시장 현황 및 정책적 함의(22-3-15)/최인혁.KIPF (0) | 2022.04.04 |
159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분석과 전망: 러시아의 인식, 목표, 전략(22-4-1)/장세호.INSS (0)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