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제2장 코로나19 팬데믹과 미래사회 변화
1. 코로나19의 전파 및 대응
2. 코로나19로 인한 사회문화 변화
3. 코로나19로 인한 개발트랜드 변화
제3장 코로나19가 환경평가 업무에 미치는 영향
1. 환경영향평가 업무수행 여건 및 방식의 변화(국제 동향)
2. 코로나19가 국내 환경영향평가에 미치는 영향
3. 코로나19에 따른 환경영향평가의 과제
제4장 Post-코로나19 사회에 대비한 환경평가 대응 전략
1. 비대면 환경평가시스템을 위한 제도의 개선
2.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환경평가
3. 사회문화 및 개발트랜드를 반영한 평가방향 전환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안보의 개념과 최근 동향 평가(22-4-14)/이효영.IFANS (0) | 2022.04.18 |
---|---|
전기차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계산을 위한 시간대별 배출계수 추정(22-3-31)/김도원(에너지경제연구원)外.KEI (0) | 2022.04.18 |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Ⅲ)(22-12-31)/신동원 外.KEI (0) | 2022.04.18 |
산림훼손 환경비용 추정연구 : 석회석광산 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22-3-31)/이혁중(선문대) 외.KEI (0) | 2022.04.18 |
스리랑카 디폴트 배경 및 시사점(22-4-13)/남경옥.KCIF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