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자산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재무제표에 가상자산 관련 계정을 인식하는 회계기준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한 기업의 가상자산 매도 관련 회계처리 이슈는 회계기준 마련에 관한 논의 를 촉발하는 계기가 됨 □ 국제회계기준에서는 가상자산을 보유 목적에 따라 재고자산 혹은 무형자산으로 회계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기업이 발행한 가상자산의 매도와 관련한 명확한 회계처리 기준은 없는 상황 □ 가상자산을 용도와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만큼 이에 따른 가상자 산 관련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표시하기 위한 회계기준이 마련될 필요 □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국내에서도 가상자산 보유 및 발행기업이 증가하면서 관련 회계기 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가상자산 관련 회계 이슈를 파악하고 대응책 마련을 위해 논의 중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로 인한 폐기물 발생량 변화와 대응(22-5-9)/이선화.KDB미래전략연구소 (0) | 2022.05.13 |
---|---|
- 사모펀드의 온실가스 감축방안: SBTi(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사모펀드 맞춤형 지침을 중심으로 外(22-4-28)/KCGS 리포트.KCGS (0) | 2022.05.13 |
실손의료보험이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에 미치는 영향(22-5-9)/김대환 外.금융감독원 (0) | 2022.05.13 |
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 행사범위 제한이 피해자 및 민영보험회사 등 이해관계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2-5-9)/이준교.금융감독원 (0) | 2022.05.13 |
안전한 디지털 이용환경 조성과 디지털 권리 강화를 위한 과제(22-5-4)/김여라.국회입법조사처 (0) | 2022.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