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동향] 최근 달러 강세가 더욱 뚜렷해지면서 신흥국 통화가치가 연초대비 크게 하락
ㅁ [영향] 달러 강세는 신흥국의 ▲무역 감소 ▲물가상승 압력 ▲외채부담 가중 ▲자본유출 확대
등으로 이어져 신흥국 경제성장 및 금융안정에 걸림돌로 작용할 소지
ㅁ [시사점] 달러 강세로 인해 취약 신흥국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및 부채 위험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신흥국 불안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물가에 저성장마저… 스태그플레이션, 정말 올까?(22-6-30)/장민.KIF (0) | 2022.07.02 |
---|---|
스팩(SPAC)의 투자자 보호에 대한 평가 外-금융브리프31-23(22-7-2)/KIF (0) | 2022.07.02 |
자율운항선박 정의 및 기술 동향(22-6-27)/연정훈.KDB미래전략연구소 (0) | 2022.07.01 |
애플, 후불결제서비스 출시로 금융업 확장 본격화(22-06-27)/이수영.하나금융경영연구소 (0) | 2022.07.01 |
양자컴퓨터와 금융의 변화(22-6-23)/이령화.KOSCOM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