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육상풍력 시장 동향) 2021년 글로벌 육상풍력 설치량은 전년 대비 10.9% 감소한 82GW를 기록했으며, 2022년 글로벌 육상풍력 설치량은 전년 대비 9.5% 증가한 92GW를 기록할 전망 Ÿ 2021년 글로벌 풍력 설치량이 감소한 주 요인은 북미 및 유럽 지역 설치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대 풍력시장인 아시아 지역 설치량이 감소했기 때문 Ÿ 2022년 지역별 풍력 설치량은 아시아 55GW, 유럽 22GW, 미주 15GW가 설치될 전망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 동향) 2021년 글로벌 해상풍력 설치량은 전년 대비 161% 증가한 17GW였으며, 2022년 글로벌 해상풍력 설치량은 전년 대비 23.5% 감소한 13GW 예상Ÿ 2021년 중국 해상풍력 설치량은 전년 대비 255% 증가한 14GW가 설치돼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 성장을 견인했으나, 2022년 글로벌 해상풍력 설치량은 중국 설치량 감소로 마이너스 성장할 전망 (풍력터빈 공급 동향) 2021년 글로벌 풍력시장에서 Vestas사가 15.2GW 규모의 풍력터빈을 공급해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으며, Goldwind사 12GW, Siemens사 8.6GW 공급 Ÿ 중국 터빈업체들은 글로벌 상위 10개 사 중 6개를 차지하고 있으나, 특이점은 내수시장 공급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 ‑ 중국 Goldwind사는 자국시장 비중이 전체 공급물량의 95%를 차지하고 있으며, Envision, Windey, Mingyang, Shanghai Electric, Dongfang 등 다른 중국 터빈 기업들의 경우 자국시장 비중은 100%에 육박 (국내 풍력산업 동향) 2021년 국내 풍력 신규 설치량은 전년 대비 51.9% 감소한 77.7MWŸ 우리나라 풍력설치량이 100MW 이하로 준공된 것은 2014년 이후 처음으로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풍력발전 확대가 필요하나, 인·허가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 (시사점) 국내 풍력산업 육성을 위해선 경쟁이 치열한 육상풍력 시장 진입보다는 초기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해상구조물 부분의 기술적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해상풍력 시장에 전략적 진입이 필요 Ÿ 5~8MW급 육상 풍력터빈 시장은 Vestas, GE, Siemens 등 글로벌 기업이 장악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의 시장 진입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 Ÿ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총 12GW 해상풍력 단지를 건설할 예정으로 이는 해상풍력 분야 Track record를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전망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통화청의 CBDC(e-HKD) 시범테스트 실시 계획(22-9-26)/김민규.BOK (0) | 2022.09.30 |
---|---|
지구 반대편에서 불고 있는 혁신의 바람 - 브라질 디지털뱅크의 성장배경과 시사점 (22-09-23)/주성철.우리금융경영연구소 (0) | 2022.09.30 |
데이터리즘이 지배하는 세상(22-09-23)/이기홍.하나금융경영연구소 (0) | 2022.09.30 |
해로운 문화(Toxic culture)의 해법, 결국은 관계가 답이다(22.09.28)/조성일.POSRI (0) | 2022.09.30 |
OLED TFT 기술 동향(22-9-26)/신유리. KDB 미래전략연구소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