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은 국민건강과 직결되는 건강한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수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중요성이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일반해면어업 생산량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으며, 최근에는 2015년 이후 일반해면어업의 생산량이 100만 톤 이하로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건강한 식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해면어업 생산량 감소는 해결해야만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양식어업은 일반해면어업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으로 건강한 동물성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중요한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해면어업의 경우, 자원량, 해황 등 불확실한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반면, 양식어업은 상대적으로 공급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해면어업의 생산량 감소에 따른 영향을 양식수산물을 통해 일부 완화시킬 수 있는데, 실제로 천해양식어업의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구개발적립금+2021-02)허수진-주요+양식어류+수급전망+고도화를+위한+모형+구축+연구-복사.pdf
2.45MB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OECD, 유럽 가스대란 시의 세계경제 하방 시나리오 제시 /정예지 外.KCIF (0) | 2022.10.04 |
---|---|
AI 분야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 연구(21.12月)/고세란 外.KISDI (0) | 2022.10.03 |
글로벌 경기침체 리스크 점검(22-9-30)/김위대.KCIF (0) | 2022.10.03 |
개인채무자 채무조정제도 유효성 제고방안 外-금융브리프 31권 19호 (22-10-1)/KIF (0) | 2022.10.01 |
홍콩통화청의 CBDC(e-HKD) 시범테스트 실시 계획(22-9-26)/김민규.BOK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