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한중 양국은 모두 가계부채가 대폭증가했고 경제상황이 약세에 처해있다.
신용 주도 주택 수요경로 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경제상황을 탐색해 본 결과
긍정적인 측면은 양국 모두심각한 재정위기상황이 아니고 경상수지도 견조하다는 것이지만,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향후 소비지출의 약화 가능성이 있고
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자산시장부양을 위해 제조부문의 왜곡이
호황기의 주요한 성장 동인이었다는 점이 가장 큰 위험이다.
자산시장의 혼돈가운데 성장을 지속할 수있을지는 불투명하다.
= Housing, Household Debt, and the Business Cycle: An Application to China and Korea =
China and South Korea both experienced substantial increases in household debt through 2021, and now both countries face a weakening economy. This essay gleans lessons from the “credit-driven household demand channel” (e.g., Mian and Sufi 2018) to explore how the two economies will fare in the years ahead. On the positive side, neither country is at risk of a severe financial crisis, and both countries have a strong current account position. On the negative side, consumer spending in both countries could be quite weak in the years ahead. For China, the biggest risk is that distortions in the production sector aimed at boosting the property market were a major driver of growth during the boom, and it is unclear how growth can continue to be sustained with the property market stumbling.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과제(24-9-9)/백주하外.한국보건사회연구원 (0) | 2024.09.12 |
---|---|
금융브리프 32권 17호(23-9-9)/KIF (0) | 2023.09.09 |
금융브리프 32권 14호(23-7-22)/금융연구원 (0) | 2023.07.22 |
중국경제는 얼마나 어려운가?(23-7-17)/에코노미스트 (0) | 2023.07.21 |
금가격의 미스터리(23-7-13)/에코노미스트 (0)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