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생산하는 모든 제품은 자연자본(Natural Capital)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자연자본 공시는 기업의 자연자본과 관련된 지표를 재무제표에 반영해 투자자에게 공개하는 제도다.
국제사회에서 기업에 요구하는 정보 공개의 범위가 ‘기후변화’에서 ‘자연’(식물, 동물, 물, 토양, 광물 등)으로 확대 강화되면서 자연자본 공시가 주목받고 있다.
2022년 12월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자연자본 공시의 제도화에 대한 국제적 합의(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GBF)가 이뤄졌다. 기존에 당사국의 자율적인 이행에 의존했던 것과 비교해 자연자본 공시 이행 과정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체계를 대폭 강화해 이행 경과를 검토하는 절차가 마련된 것이다.
의무 사항이 아닌데도 자연자본 관련 재무 정보 공개 협의체(TNFD)의 권고안을 자발적으로 채택한 기업과 기관이 416개에 이르고, 우리나라도 작년 말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과 세부 이행 지표를 수립하면서 기업의 생물다양성 정보 공시를 장려하고 있다.
현재는 자율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자연자본 공시가 기후공시처럼 국제 표준이나 법제화 등을 통해 점차 의무화될 가능성이 높다.
EU는 이미 자연자본 공시를 지속가능성 공시 지침(CSRD)을 통해 법제화하고 올해부터 기업에 공시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생물다양성 손실에 대한 경각심이 확대되고 기업활동으로 인한 자연자본 영향이 주목되면서 수산업이나 임업, 식품업처럼 자연자본을 직접 활용해 제품화하는 업종은 물론, 금융이나 운송 등 서비스 업종까지 모든 업종의 기업이 자연자본 관리 소홀에 따른 재무적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스웨덴 식품 기업인 AAK와 프랑스 금융기업인 비앤피 파리바스(BNP Paribas)는 불법적인 삼림벌채를 한 업체와의 거래 의혹으로 주가 하락이나 소송을 치러야 했다.
브라질 식품 기업 JBS는 불법 삼림벌채 농장으로부터 재료를 공급받은 일로 벌금을 물었고, 이후에도 미흡한 대응이 문제가 되어 뉴욕증시 상장이 지연되면서 200억 달러 상당의 금전적 피해를 봤다.
미국 채광기업인 프리포트 맥모란(Freeport-McMoRan)은 채굴 중인 광산의 자연 복구와 생태 보전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 대신 인도네시아 정부에 불만을 표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대표의 발언으로 평판이 저하되면서 주가가 18%나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포모사 플라스틱(Formosa Plastics), 프론티어 물류(Frontier Logistics), 듀코르 석유화학(Ducor Petrochemicals)은 플라스틱 과립 오염 소송으로 막대한 합의금이나 벌금을 부담해야 했다.
한편, 자연자본에 대한 중요성을 앞서 인식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기업들은 국제 기준 수립 과정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기업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
기린은 2022년에 선제적으로 TNFD의 권고에 따라 자연자본 공시를 시행하고, 자사에 유리한 자연자본 공시 기준 확립을 위해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수산물 일본 기업인 닛스이도 세계 수산회사 및 과학자들과 협동하여 수산물 생산과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변혁을 주도하고 있다.
그 외 스페인의 다국적 전기 사업자인 이베르드롤라는 2030 생물다양성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평가방법론을 수립하고 생물다양성 회계 메커니즘을 마련한 후, 2021년부터 전세계 시설에서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호주 최초로 자연자본 보고서를 발간한 포리코는 자연자본 자산에 달러 가치를 부여하여 평가했으며,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인 세일즈포스는 기업 단위에서 할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인 생물다양성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
일본 전기회사 NEC는 상품기획, 설계, 조달, 제조, 판매 등 공급망 전체의 자연자본에 관한 정보를
정보시스템에 포함해 측정하는 등 자연자본 공시를 통해 기업은 위기관리 개선, 전략적 의사 결정 강화, 투자자 신뢰 확보, 신사업 기회 발굴, 국제경쟁력 강화, 최적의 포트폴리오 구성 등의 기회를 얻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실현할 수 있다.
자연자본 공시는 공시 기준의 글로벌 표준화, 비즈니스 중심의 공시 요구, 비즈니스 중심의 공시 등으로 강화되고 있다.
이에 기업은 재무 공시, ESG 공시와 함께 기업 보고의 중대한 한 축으로서 자연자본 공시가 자리매김한다는 패러다임 변화를 인식하고 빠르게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선 사업영역과 공급망에 있어서 자연의 경제적, 재정적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자연의 구성요소(영역, 생물군계, 환경 자산, 생태계 서비스 등), 생물다양성, 자연 관련 의존도, 영향, 위험 및 기회 등의 개념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사와 연관된 자연자본을 정의하고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사적인 차원에서 자연자본 목표 운용 모델을 설계하고 현재 재무보고 체계와 유사한 수준의 자연자본 공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NFD의 권고안 등을 참고해 전사 차원에서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단계별로 내부 실사 평가를 시행해 자연자본을 포함한 ESG 전반의 데이터를 수집·측정하는 체계를 갖추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공시 과정을 내재화하는 등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다.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가계대출 및 개인사업자 대출규모와 연체 현황(24-11-22)/김현열.금융연구원 (0) | 2024.11.24 |
---|---|
2025년 경제전망과 정책시사점(24-11-22)/박춘성.금융연구원 (0) | 2024.11.24 |
미국탄소포집·활용·저장산업동향 및 전망(24.11月)/KOTRA (0) | 2024.11.14 |
「트럼프 노믹스 2.0」과 한국 경제- 2차 관세 전쟁이 한국 경제의 수출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24-11-7)/주원外.현대경제연구원 (0) | 2024.11.14 |
기업대출의 효율적 배분과 성장 잠재력 제고(24-11-8)/신용상.금융연구원 (0)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