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 환율 안정은 한·미 경제성장률 격차 축소가 해법이다 - 원/달러 균형환율의 추정과 시사점
■ 최근 원/달러 환율 동향
2022년부터 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촉발된 글로벌 달러화 강세 현상이 지속 중이며, 특히, 원화 약세 폭은 주요 선진국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에 대하여 미국 달러의 평균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인 달러 인덱스(Dollar Index)는 2022년 1월 96.5에서 같은 해 9월 112.1까지 급등하였으며, 최 근에도 100을 크게 상회할 정도로 달러화의 초강세가 지속 중이다.
우리 외환시장에도 이러한 글로벌 달러화 강세라는 근본적인 힘이 크게 작용하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 도 같은 기간 1,195원에서 1,456원으로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한편, 주요 선진국 통화 15개의 달러화에 대한 환율을 검토해 볼 경우, 2022년 1월 대비 2025년 1월의 절하율 은 원화가 일본 엔화(26.8%)와 노르웨이 크로네화(22.2%)에 이어 세 번째(17.9%)로 높 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 원화 약세의 원인
미 연준의 트럼플레이션에 대한 대응 조치로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 데, 미국과 한국의 경제성장률 역전 장기화 및 한국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한국 경 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최근 들어 원화가 큰 폭으로 약세를 보이는 원인을 살펴보면, 우선 미국 측 요인으로 시장에서 는 트럼프 노믹스(관세 인상, 감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과 그에 따른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크게 감속(減速)할 우려로 인해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당 분간 이어질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측 요인으로는 탄핵 정국이 지속되면서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못하는 데에 따른 원화의 저평가 현상이 지속 중이다.
무엇보다도 내수 침체로 미국보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023년 이후 2025년까지 3년 연속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이 확실시되면서, 환율 결정의 가장 핵 심 요인인 양국 간 펀더멘털의 격차가 원화 약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 원/달러 균형환율 추정
① 개념과 추정 방법
균형환율이란 현재의 경제 수준 하에서 적정한 통화가치를 나타내는 환율로서, 행태균형환율(BEER) 방법론을 통해 주요 경제변수와 균형환율 간의 관계를 추정한 후 균형환율 수준을 도출하였다.
(개념)
균형환율이란 현재의 경제 수준 하에서 적정한 통화가치를 나타내는 환율로서,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기초 경제 여건을 반영하여 대 외부문과 대내부문의 균형을 달성하는 수준의 환율을 의미한다.
(추정 방법)
본 분석 에서는 행태균형환율(Behavioral Equilibrium Exchange Rate, BEER) 방법론을 이용하 여 원/달러 균형환율을 추정하였다.
(추정 과정)
본 분석에서는 주요 경제변수의 안정 성과 공적분 관계를 확인 후 오차수정모형을 통해 장기 균형관계에서 추정된 파라미 터값과 주요 경제변수를 활용해 균형환율 수준을 도출하였다.
② 추정 결과
균형환율을 추정한 결과 2024년 12월 균형환율은 1,351원으로 실제 12월 원/달러 평균환율 1,437원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괴리율은 약 6% 수준으로 현재 원화가 저평가 구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태균형환율을 추정한 결과 2021년 하반기부터 원/달러 환율이 균형환율 수준을 상회(원화 저평가 상황)하고 있으며, 2024년 12월 균형환율은 1,351원으로 실제 12월 원/달러 평균환율 1,437원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행태균형환율을 바탕으로 실제 원/달러 환율과의 괴리율을 계산 해 본 결과,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 속도와 폭이 확대되면서 2024년 12월 기준 대략 저평가되어 있었다.
실제 원/달러 환율은 균형환율보다 높은 수준(원화 저평가 구간)에 있어 현재 수준에서 향후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미-중 무역갈 등 및 글로벌 관세전쟁 등으로 인해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
외생적 충 격으로 인해 실제 원/달러 환율이 균형환율 수준에서 이탈했을 경우 상당한 시간(대 략 평균 24~30개월)에 걸쳐 균형환율 수준으로 회귀하므로 향후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미-중 무역갈등 및 글로벌 관세전쟁, 미국 디스인플레이션 둔화와 금리인하 지연 등으로 인해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상존한다.
또한, 최근 몇 년간 균형환율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는 점도 장기적으로 원/달러 환율의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으며, 그럴 경우 1,400원대의 환율이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시사점
원화의 과도한 저평가 국면을 해소하고 시장 변동성이 기업의 리스크로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첫째, 최근 원화 약세의 주된 원인이 한·미 금리 역전이 아니라, 한·미 경제성장률 역전 때문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금리 인하를 통해 펀더멘털을 강화하고 경제성장률을 높여 환율을 안정시키는 방향의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
둘 째, 미-중 무역갈등 및 글로벌 관세전쟁, 미국 금리인하 지연과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글로벌 경제 상황 과 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와 필요시 적극적인 외환시장 안정화 대책이 요 구된다.
셋째, 추세적인 균형환율 상승 및 원/달러 환율의 급변동으로 국내 물가 상 승 및 가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점검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원/달러 환율의 급변동 및 환율 상승에 영향을 받기 쉬운 수출입 기업 들이 효과적으로 환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 확충 및 기업들의 자체 적인 환리스크관리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일 협력 시사점(25-2-19)김규판外.대외경제정책연구원 (0) | 2025.02.21 |
---|---|
국가별 패널자료를 통한 경제성장과 탄소배출의 탈동조화 분석 및 시사점(25-2-19)/연정인.한국은 (0) | 2025.02.21 |
DeepSeek의 AI 모델과 반도체산업 영향(25-2-18)/이미혜.수출입은행해외경제연구소 (0) | 2025.02.21 |
퇴직급여제도 일원화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정책 방향/남재우.자본시장연구원 (0) | 2025.02.17 |
자동차보험과 건강보험 진료수가 차이와 사회적 비용 : 자기신체사고 사례(25-2-14)/전용식外.보험연구원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