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444)
어린왕자의 재해석/김시몽.고려대
오델로 1."왜 그녀를 창녀라고 부르는 거죠" 새로 쓰는 『오셀로』, 폴라 보겔의 『데스데모나 손수건에 대한 극 /김희진.명지대 2.최근 『오셀로』 영상 작품과 인종주의 문제 삭스의 『오셀로』와 넬슨의 『오』를 중심으로 /강석주.서남대 3.『 오셀로』 에 나타난 사랑의 양태/이행수.대전대 4.『오셀로』에 나타난 작가의 결혼관 /김경혜.순천향대 5.『오셀로』(Othello)의 삼각형 구조를 통한 군대문화 속 여성의 이해/서동하.육사 6.『오셀로』와 우리 시대의 인종과 인종주의 카릴 필립스의 『피의 본성』과 자넷 시어스의 『할렘 듀엣』/김영아.한성대 7.“오 내 아름다운 전사여” 『오셀로』 속 여성과 군대 /서동하.육사
줄리어스 시저 1. 힘에의 의지 /이행수.대전대 2.『줄리어스 시저』에 나타난 설득과 선동의 언어 /김종환.계명대 3.『줄리어스 시저』의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정치 대립을 통해 본 평민들의 꿈 /박효춘.강남대 4.『줄리어스 시저』의 프로이드적 읽기 원시부족과 그룹정치 /장선영.공주대 5.의 거울구조/이행수.대전대
근대 일본 문학자들의 공간 의식과 그 원형 고찰/김채수.고려대
『태풍』의 탈식민주의적 각색 연구 에이메 세제르의 『어떤 태풍』과 필립 오스몬트의 『이 섬은 나의 땅』을 중심으로 /김문기.영남대
리어왕의 해체적 접근 선물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중심으로 /한용재.부산외대
신월시파연구/김시준
李賀詩 小考 /하운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