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硏究 제61집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리학의 中和論辨에서 보이는 불교의 영향과변용: 朱熹의 中和新說 修養論 구축 과정을 중심으로/김종용. 불교의례문화연구소 Ⅰ. 들어가는 말 Ⅱ. 불교의 영향: 南宋 理學의 수양론 1. 도남학파의 默坐澄心 2. 호상학파의 已發察識 Ⅲ. 변용: 中和新說 수양론의 특징 1. 格物致知를 통한 求中 2. 未發涵養을 통한 防閑Ⅳ. 나오는 말 요약문 본 연구는 성리학 성립과정에서 보이는 불교적 영향과 그러한 영향을 극복 또는 유교적으로 재해석한 변용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먼저 도남학파는 인간의 내면에서 ‘리(理)’를 구하고자 하였으며 그 구하는 바는 미발(未發) 시에 가능하다 보았다.이에 도남학파에서는미발구중(未發求中)‧미발체인(未發體認)을 목적으로 묵좌징심(默坐澄心)을 수양 방법론으로 내세웠다. 이러한 도남학파의 내면에서 ‘리’를구하고자 하는 것 그리고 그 구체적인 방법론이 앉아서 내면을 다스리.. 이전 1 다음